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저비용 고효율 생산시스템:

JIT, Lean Produce, MRP, MRPⅡ, ERP

발생배경 - 9가지 기술적 변화요인

IT 산업을 기반으로

자재관리

영업관리

샘플 - Friend사

ERP 화면 예시

ERP가 모든 것을 해결해 준다는 생각은 환상

- 국내에서는 성공 사례보다 실패 사례가 더 많다

생산관리-설비종합현황

외주관리

  • 리엔지니어링을 선행하여 실시

  • 다국적, 다통화, 다언어
  • 통합업무시스템
  •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에 의한 리엔지니어링의 지원(BRP)
  • 원장형 통합 데이터베이스
  • 오픈, 멀티 벤더
  • 변화관리(교육, 홍보)에 중점

1.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2. 개방형시스템

3. C/S 시스템

4. 생산품질의 초 고급화

5. R-DB와 객체지향 기법

6. 제4세대 언어와 CASE

7. 워크플로

8. 전자문서

9. 웹기술

주의점

  • 목적을 정확히

경영정보

  • 최고 경영자의 확고한 의지

  • 외부 컨설팅 활용

  • 자사에 맞는 ERP 선정

발생배경 - 7가지 기업환경의 변화

필요성

비용

SMERP

1. 기업의 세계화, 국제화

2. 정보의 다향화, 분산화

3. 짧은 제품 사이클과 수익률 감소

4. 생산품질의 초 고급화

5. 지적 지식근로자의 등장

6. 외부 경쟁자의 강력한 도전

7. 보다 나은 고객 지원체제

  • 기업의 다국적화
  • 무한 경쟁체제 돌입으로 인한 변화의 필요성
  • 소수인력으로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의 필요성 증대
  • 기존 시스템의 진부성 제거
  • BPR을 위한 경영혁신과 기업전략의 실현도구로서의 역할 증대
  • "ERP 시스템을 도입하는데는 엄청난 비용이 든다."

  • 중장기적인 관점

SMart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정부의 중소기업 IT지원사업과 연계하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내 중소기업에 무료로 보급하는 기초 S/W로 ERP패키지의 일종

설비이력관리

샘플 - Friend사 ERP

Lean produce

의의

갑자기 탄생한 것은 아니다

BRP

탄생하다

기대되는 효과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 업무흐름재설계)

한계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에 대해 자재 수급 계획과 생산 관리를 통합시킨 최초의 체계적 관리 기술.

기업자원의 비능률적 활용이나 낭비를 제거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Material Requirement Plan)

또 나오는, 도요타(Toyota) 자동차 회사

군살 없는 최적의 생산 시스템

  • 자금관리의 개선
  • 작업의 효율화
  • 투명한 경영
  • 정보시스템 유지비용의 감축
  • 사용자 중심의 컴퓨팅 환경으로 전환

기업에서 가장 큰 고민거리 중에 하나인 재고를 줄이기 위해

  • 정보흐름 변혁을 통해 생산성과 품질향상 추구
  • 고객회사, 하청회사 등의 상하위 공급체계와의 수요 예측 필요성의 대두
  •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 전사 실시간 업무처리
  • 재고 물류 비용의 감소
  • 고객 서비스 개선
  • 수익성 개선
  • 손익관리의 명확화
  • 생산성 향상
  • 생산 계획 소요기간 단축

성격

  • 미국의 '마이클 해머'에 의해 만들어진 개념
  • 고객지향적인 관점에서 프로세스(Process) 중심적으로 보면 낭비적인 일이 보이는 데, 이를 제거하자는 방안
  • 현재하고 있는 일을 개선하자는 의미가 아닌,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자는 혁명적인 개념
  • 중소규모의 제조업체의 생산형태
  • 개별생산 또는 소 로트 단속생산으로 대부분 고객의 주문에 따라 생산
  • 대량생산이 어려운 제품의 생산에 유리
  • 선진국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
  • 생산관리의 입장에서, MRP는 제조자원이 한정되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한 시스템
  • 미정립,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부족,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미흡 등 구현에 있어 제약적

  • 종속 수요 품목의 관리 기법인 자재수요 계획
  • 기능의 최적화
  • 소요 자재를 적시, 적소에 공급하면서 재고 수준을 최소화 시키는 것
  • 린(Lean)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날씬”, “날렵한”이라는 의미.
  • 낭비요소를 제거하여 일체의 낭비도 허용하지 않는다.
  • 도요타 생산 방식(Toyota Production System)은 Lean system의 일종으로, 현재 가장 각광받고 있는 생산 체계
  • 전 세계적으로 많은 회사에서 사용 중

* lot, 최소 발주 단위 및 최소 생산 단위

MRP

MRPⅡ

ERP

MRP

ERP

5가지 활동 원리: 'PUSH' 가 아닌 'PULL'

Lean 생산의 특성

도입의 승패

  • 제품의 가치를 필수적으로 정확히 부여
  • 제품군의 가치흐름을 정확히 분석
  • 가치의 흐름 과정에 어떠한 정체도 발생하지 않는 '흐름화'
  • 모든 가치는 고객이라는 종착점으로 부터 이전단계를 끌어당기는 방식
  • 수직관계의 협력사들과 연계된 협동을 통해 완전성을 추구

(린 생산)

  • 다품종소량생산
  • 수평적 조직이 형성
  • 효율성과 생산성 면에서 월등한 성과
  • 일정한 자율성을 부여 받고 팀 단위로 다양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의욕이 고취
  • 장기적 협력관계에 있는 부품공급 업체들과 처음부터 공동 개발하여 중층적 계열관계를 통해 생산, 원가절감과 JIT 생산이 가능
  • 계약 부품업체의 수를 줄이기
  • 제조-부품업체간의 장기적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

(Manufacturing resources planning)

Material Requirement Plan,

'자재량 소요 계획'

자재소요량계획으로서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서 자재가 투입될 시점과 투입되는 양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

기업 전체를 경영자원의 효과적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경영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한 수단

JIT와 Lean Produce

  • JIT는 린 생산방식의 하나의 특징, 하지만 도요타 생산방식을 JIT 생산방식이라 칭하기도 함
  • 도요타 생산방식과 JIT 생산방식, 린 생산방식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강조하는 것은 "낭비의 지속적 제거"

1980

2000

한계

  • 반복적인 생산에 제한
  • 안정된 생산 레벨을 요구
  • 생산과정이 매우 유연한 제품을 감당할 수 없다
  • 간판 시스템과 사용될 때 여전히 재공품을 요구
  • 밴더(Vendor, 특정제품 판매회사)가 근처에 위치해야 안정적

1970

1990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Ⅱ

MRPⅡ

MRP, MRPⅡ, ERP

ERP시장의 포화로 발현된

차세대 ERP

전통적인 ERP 시스템에 포괄적이고 특정의 외부적인 요소가 통합된 시스템

Manufacturing resources planning,

'제조 자원 계획'

MRP의 자재사용 전개 시스템을 중심으로 회사의 모든 제조자원의 사용을 통합적으로 계획하고 통제하는 관리 시스템

한 눈에 보기

MRP, MRPⅡ 사용이 효과적인 경우

업그레이드

한 화면에서 모든 작업이 이루어지다

  • 소품종 대량생산의 제조환경이 다품종 소량생산의 형태로 전이
  • 고객지향의 업무체계가 각광받기 시작 → 수주관리, 판매관리의 기능이 중요
  • 재무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
  • 생산가정이 복잡하고 여러 개의 조립단계를 거쳐 제품이 완성되는 때
  • 제품원가가 비쌀 때
  • 구성부품 제작이나 구입을 위한 소요시간이 상대적 으로 길 때
  • 최종제품의 생산공정이 길 때

JIT, Lean produce / MRP, ERP 차이

지향점은 비슷 → 낮은 재고관리, 높은생산성

  • 고객기업과 협력사 등 외부 프로세스까지도 웹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 포털 및 특별한 솔루션 등 기존 ERP 인프라 구조에 추가

JIT, Lean Produce: Pull 시스템

→ 유동성있게 변화하여 생산

MRP, ERP: Push 시스템

→ 시스템 자체의 계획에 따라

JIT, Lean Produce: 간판방식 관리 (눈으로 보면서 관리)

MRP,ERP: 컴퓨터 관리

특징

정보(Information)보다 지식(Knowledge)이 대두되다

한계

인간존중사상의 경영철학

도요타(Toyota) 자동차 회사가 효시

  • 부문의 최적화
  • 영업 및 재무계획, 구매 및 수주계획, 원가관리, 공장 회계, 마케팅 및 일반 지원업무까지도 흡수하여 이를 통합적으로 운용
  • COPICS라는 패키지 방식이 등장

MRPⅡ역시 미정립,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부족,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미흡 등 구현에 있어 제약적

21C IT 환경의 키워드

1950년대 중반 일본기업의 경영환경

→ 국토는 좁고 인구는 많음

→ 원료, 부품, 및 완제품의 재고를 보유하는 것은

공간의 낭비

→ 완벽한 제품을 만들며 그 밖의 다른 낭비적 요

소를 없애기 위하여

  • 종신고용
  • 기업노조(company unions)
  • 종업원에대한 태도
  • 자동화(Robotics)
  • 실무자들의 토의식 관리
  • 하청업자 네트워크
  • 품질관리 분임조(QC,clrcle)

참고문헌

지식기반으로 시스템을 통합관리하는 새로운 정보시스템

COPICS

1.제임스 P. 워맥, 다니엘 T. 죤스, 다니엘 루스, 현영석 역(1991), 생산 방식의 혁명, 기아경제 연구소 pp. 56~105

2.와카마츠 요시히토, 곤도 테츠오 공저, 정광렬, 신영희 공역(2004), 최강 도요타 사람만들기 물건만들기, 두남, pp. 120~140 pp. 223~257

3.야마다히도시, 김흥민 역(2003), TOYOTA 최강경영 낭비제거, 두남, pp. 30~80

4.이상문(2010), 글로벌 시대의 초일류 기업을 위한 생산관리, 형설출판사 pp. 61~72

5.오노 다이이치, 김영현 역(2004), 도요타 생산방식, 미래사, pp. 10~23, pp. 64~72

6. 이상문(2010), "글로벌 시대의 초일류 기업을 위한 생산관리", 형설출판사, pp. 160~182

7. 이순룡(2012), "제품 서비스 생산관리론", 법문사, pp. 662~691

8. 양종택(2003), "생산 운영관리", 법문사, pp. 45~52

9. 윤승철(1997), "재고관리 방법과 응용", 시공사, pp. 20~24

JIT

전통 경영 방식과의 차이

양이 줄더라도 생산성을 올린다

(just-in-time)

(Communications Oriented Production Information and Contrl System)

전산지향적이라기 보다는 관리 지향적.

Total System 방식을 지향.

  • 품질을 수단으로 하여 원가를 줄인다
  • 생산요소 시간을 최소화, 생산로트의 크기를 작게
  • 작업자는 누구나 스스로 작업공정을 통제할 수 있는, 모든 작업자들의 협력과 신뢰를 기초로 하고 있는 시스템

참고문헌

10. 원석희(2002), "서비스 운영관리", 형설출판사, p. 107

11. 곽영환(2004), "서비스(공공분야 포함) 품질경영연구", 거목정보, pp. 142~158

12. 박광순(1984), "경영 과학의 응용", 한국경영과학회, pp. 46~67

13. 윤정모(2001), “e-Business를 위한 uniERP 실무사례연구”, 상조사, pp. 19~78

14. 함용석(2008), “무한세계 SAP ERP 여행”, 두남, pp. 27~31

15. 신철(2002), “알기쉬운 ERP Plus”, 미래와경영, pp. 34~79

16. 김용식(1997), “저비용 고효율 생산시스템”, 중소기업진흥공단, p. 61

17. 가나자와 다카시, 홍성찬, 이호준, 배경율 공역(1996), “현장중심의 생산관리시스템”, 대청정보시스템, p. 68

목차

적시에 생산해 적시에 판매

구체적으로 이렇게

- 2006, 제일모직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등에 들어가는 핵심 소제를 생산하는 회사)

'시간을 맞춘다'

(1) 제조준비시간의 단축 - 생산의 리드타임

(2) 재고의 감소 -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양만큼

(3) 리드타임의 단축 - lot의 크기, 제조준비시

간을 단축

(4) 자재취급노력의 경감 - 전통적 생산시스템

과 상이

(5) 불량품의 최소화

  • 사람(people)과 프로세스(process),제품(product)의 ‘3P’를 혁신해 좋은 회사에서 ‘위대한 회사’로 성장한다는 목표
  • 적시에 필요한 제품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투자를 확대하는 전략으로 승부
  • 연구개발과 혁신역량 강화에 주력
  • 1999년 270억에 불과했던 매출은 2005년 2173억원으로 10배 가까이 상승
  • 2005년 매출액 2조 6298억원, 영업이익 1926억원, 경상이익 2003억원, 당기순이익 1514억원을 기록

함께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적시생산 시스템 (just-in-time:JIT)에 요구되는 부품 등 자재를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수량만큼 조달하여 낭비적 요소를 근본적으로 제거하려는 생산시스템

4. MRP, MRPⅡ, ERP, ERPⅡ

(1) 정의

(2) 발생

(3) 특징

(4) 의의

(5) 필요성

(6) 효과

(7) 한계

(8) 주의사항

(9) 샘플-Fridend사 ERP

(10) SMERP

5. JIT, Lean produce / MRP, ERP 차이

6. 참고문헌

7. 마침

1. JIT

(1) 정의

(2) 배경

(3) 경영철학

(4) 특징

(5) 사례

2. Lean produce

(1) 정의

(2) 배경

(3) 5가지 활동원리

(4) 특성

(5) 도입의 승패

3. JIT와 Lean produce 차이, 한계

서비스경영론 조춘봉 교수님

2013-2학기 과제

5조 - 호텔조리식당경영학과

20132728 김혜민

20132732 노현정

20132735 박나래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