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학습조직

Learning organizatoin

1. 시스템 사고

부분적인 현상보다 전체와 전체에 포함된 부분들 사이의

역동적 관계를 이해하는데 촉점을 둠

시스템적 사고의 11가지 법칙

1 어제의 해결책이 오늘의 문제거리 일 수 있다.

2 세게 밀수록 반동도 커진다.

3 행위는 나빠지기 전에 먼저 좋아진다.

4 쉬운 방법은 문제를 원점으로 돌아오게 한다.

5 해결책이 문제 자체보다 더 부정적일 수 있다.

6 빠른 것이 느린것만 못하다.

7 원인과 결과가 시공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8 작지만 적절한 행동으로 지속적인 개선을 이룰 수 있다. (레버리지 효과)

9 꿩 먹고 알 먹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10 코끼리를 반으로 쪼갠다고 두 마리의 코끼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

11 다른 누구도 탓할 수 없다.

 

Exercise

가령 100억 원의 투하자본으로 10억 원의 순익을 올리게 되면 자기자본이익률은 10%가 된다. 하지만 자기자본 50억 원에 타인자본 50억 원을 더해 10억 원의 수익을 낸다면 자기자본이익률은 20%가 된다. 차입금 등의 금리 비용보다 높은 수익률이 기대될 때는 타인자본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레버리지 효과란?

차입금 등 타인 자본을 지렛대로 삼아 자기자본이익률을 높이는 것으로 '지렛대 효과'라고도 한다.

2. 개인적 숙련

조직은 학습하는 개인들을 통해서만 학습할 수 있다.

기업경영과 연구 개발,

아니면 사업 그외의 다른 활동등 실제적인 힘은 바로 '사람'이다.

개인적 숙련은 능력과 자질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그 이상의 것이다.

개인적 숙련은 우리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계속 명확하게 규명하는 활동이다.

개인적 숙련도가 높은 사람은 더 노력을 한다. 일에 더욱 더 넓고

은 책임감을 가진다. 그리고 더욱 빨리 배운다.

높은 수준의 개인적 숙련을

도달한 사람들의 특징

3. 정신 모델

1. 자신들의 단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2. 깊은 자신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3. 개인적 숙련을 통해 비전을 지속적으로 설정합니다.

정신 모델이 우리의 행위 방식을 형성시켜 준다.

정신 모델= 소우주(microcosmos), 머리속에 내재된 사고 방식이나 이미지

건강한 조직은 어떠한 환경에도 대처할 수 있는 최상의 정신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사람들을 단합시키는 방법을 체계화 시킬 수 있는 조직이다.

사고에 대한 사고(thinking about thinking) = 메타인지

비즈니스에 관해서 중요한 가정들을 표면에 부상시켜야 하므로 정신모델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주요 의사 결정자들이 공유하고 있는 정신모델이므로

정신 모델은 시스템 사고에서 중요한 요소임

3. 구성요소

"Senge"는

학습조직 구축에 필요한 기반을 5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1. 시스템 사고

2. 개인적 숙련

3. 정신 모델

4. 공유 비전

5. 팀 학습

exercise,

4. 공유 비전

공유 비전

특성 2

1.경영자의 개인적인 신념에 지나치게 의존해서도 안되고

2.구성원들에게 위기감을 심어주기 위해 만들어서도 안되며

3.너무나 고상한 목표를 선택해서도 안됩니다.

학습조직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성은 끊임없이 실험하며, 과거의 행동을 고수하기보다는 새로운 행동을 고안한다. 의문이나 반대되는 의견을 오히려 권장한다. 다시 말해서 학습조직은 기존의 사고의 틀을 일단 보류하고 주장과 탐구를 거쳐 새로운 실험행동을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공유 비전은 아이디어가 아니다. 사람들의가슴 속에 있는 어떤 힘, 감동을 주는 힘이다.

어떤 조직체 내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그림들이다.  그들은 그 조직체에 깊이

스며들어 있고, 다양한 행동들에 응집력을 줄 수 있는 공동체 의식을 창조해 낸다.

생성적 학습 : 창조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

공유 비전은 상당 부분 외부적인 것이다.

비전은 활력을 준다. 조직체를 세속적인 것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활기와 흥미를 창조한다.

5. 팀 학습

구성원들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팀의 능력을

합일시키고 개발하는 과정

학습조직이란?

팀학습은 공유비전을 바탕으로 조직의 실행 늘력을 동일한 방향으로 이끌어갈 수 있도록 만들어 나가는 과정이다.

"대화"는 팀학습이 이루어지는 필수 조건 입니다.

1. 정의

Garvin(1993)은 학습조직을 '조직원이 학습할 수 있도록 모든 기회와 자원을 제공하며 학습결과에 따라 지속적 변화를 이루는 조직이며, 변화에 능숙한 조직'으로 정의하였다. 구조개혁이나 인원감축 등 혁신이 지속적 변화를 유발하지 못하는 한계성으로 출발하였다.

반면 P. Senge

피터센게_Peter Senge

1.토론 : 둘 이상의 사람들이 그들의 입장을 제시하고 상대방에게 이해시키는 투쟁적인 과정

2.대화 : 자신의 입장을 제시하고 상대방에게 이해시키되 비판을 수용하고 상호 피드백을 통해 의견일치를 유도하는 과정

-> 팀전체를 발전시킬 방안을 찾기 위해 필요합니다.

학습조직은 인간,조직, 기술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기업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며 지식의 경제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학습조직은 일정한 시점에서 완료되는 것이

아니라 조직 구성원들간에 끊임없이 학습을 통해 지속적으로 변화해 가는 것을 추구한다.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