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II-2-3.

지구의 공전

학습 목표

  • 태양 사진을 이용하여 지구의 공전 궤도 모양을 추론할 수 있다.

  • 지구 공전의 증거를 설명할 수 있다.

⑤지구의 공전 속도가 가장 빠를 때와 가장 느릴 때는 각각 1년 중

언제(월)인지 쓰고, 그렇게 판단한 이유를 케플러 법칙을 이용하여

설명하라.

지구 공전의 증거- 연주시차

  • 연주시차 : 지구 공전 궤도의 양 끝에서 별을 바라 보았을 때 생기는 각의 절반이다.
  • 연주 시차는 독일의 천문학자인 베셀이 최초로 측정하였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는 확실한 증거이다.
  • 별 위치의 기준이 되는 별은 매우 멀리 있어 시차가 거의 없는 별들이다.

지구(또는 소호 위성)에서 관측한 태양의 겉보기 크기는 7월 초에 가장 작고, 12월 초에 가장 크다. 따라서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7월 초에 원일점을 지나며, 12월 초에 근일점을 지난다. 케플러 제2법칙(면적 속도 일정 법칙)에 의하면 행성의 공전 속도는 근일점에서 가장 빠르고, 원일점에서 가장 느리므로 지구의 공전 속도는 1년 중 12월 초에 가장 빠르고, 7월 초에 가장 느리다.

마! 프레지

안에 다 있다

바로

이거거덩

지구(또는 소호 위성)에서 관측한 태양의 겉보기

크기가 1년을 주기로 작아졌다가 다시 커지는

것으로 보아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1년을 주기로 멀어졌다가 가까워지는 운동을 반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구의 공전 궤도 모양은 원이 아니라 타원이다.

위치 기준이 되는 별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