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1. 대발견시대의 배경이 된 요소들은 무엇인가?
2. 16세기 천주교 선교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3. 17세기, 18세기 천주교 선교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4. 이 시기 천주교 선교의 특징은 무엇인가?
5. 이 시기의 특징적인 인물은 누구인가?
1. 마태오 릿치
1571년, 예수회 가입
1578년, 고아에 부임 그 후 4년 뒤 중국 선교사로 임명
천주교의 중국 상황화 시도
20만명 이상의 중국인이 천주교를 믿음
2. 중국인이 천주교 사제가 되다
바울 슈 - 상하이, 마이클 양 - 복강성, 레오 리 - 항주
3. 요한 아담 샬 본 벨
천문학자로 왕실의 관심
왕가의 일부가 기독교인이 됨
4. 플레밍 페르디난드 페르비이스트
중국 왕 강희제와 친분
샬의 동료, 후계자
5. 로 웬 챠오
중국인 첫 감독 (서양 이름: 프라이 그레고리오 로페스)
1674년, 북부 중국의 대리 감독
* 로베르토 데 노빌리
1. 이태리 귀족 가문 출신
2. 타밀어를 사용하는 남인도에서 50년간
브라만 대상으로 사역
3. 천주교 수도사가 아닌 브라만의 삶을 살았다 - 토착화
* 존 데 브릿토
1. 마라바국에서 사역
2. 성공적인 사역에도 불구하고 공개 참수당하는 순교
* 곤스탄틴 조셉 베스치
1. 타밀어 문법, 사전 편찬
* 태국
예수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역의 열매가 없음
* 베트남
알렉산더 드 로드스
1615년, 예수회의 사역지였던 베트남으로 사역지 결정
교리 교사들의 조합 결성
세 가지 서약 (독신 생활, 재물의 공유, 조직과 상급자에 대한 순종)
1658년, 30만명의 천주교인
베트남어 문자를 라틴어 알파벳으로 바꿈
* 콩고, 알골라 및 밀집지역
1. 포르투갈의 주도하에 카푸친 수도회 수도사들이 선교
2. 1645-1700년 사이에 60만명에게 세례
3. 1700년부터 매년 12000명 세례
* 르완다
1. 1643년부터 네덜란드인들의 무역소 설립
2. 천주교 선교 활동에 비호의적
* 모잠비크
1. 1624년, 예수회가 8개 선교기지 설립, 20명의 선교사의 활동
2. 세례는 포르투갈의 식문 주권 인정하는 선입견 강화
3. 1628년, 포르투갈 왕에게 충성
4. 맹목적인 천주교 신앙
* 마다가스카르
1. 1642년, 프랑스 동인도 회사의 식민지 건설 계획
2. 카르멜, 나사로 수도회의 사역
천주교의
아프리카 선교의
어려웠던 점들
1. 열악한 기후
2. 높은 선교사 사망률
3. 불안한 정치 환경
4. 일관성 없는 유럽의 지원
5. 선교사들의 무지/부정적 인식
1. 1534년, 자크 카르티에가 뉴 프랑스라 명명
2. 퀘백을 발견한 프랑스가 본격적인 관심을 가짐
3. 1615년, 최초의 천주교 미사
4. 1632년, 예수회와 여러 수도회들의 사역
5. 꿈에 환상을 본 수녀들의 사역
1534년 프랑스인 쟈크 카르티에가 캐나다지역에 대한 소유권 주장
"노예들 면전에서 십자가를 받들어 모십니다 .. 우리의 구원이 십자가에 의존하고 있음을 그들에게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1615년 몬트리올에서 첫 천주교 미사
이 시기의 원주민은 인디언 삼국 (후론, 알곤퀸, 이로쿠이)
약 15만명, 서로 전쟁이 잦음
예수회가 주도적으로 선교에 참여
1633년 프랑스 수녀들의 선교참여
우슬라 수녀회의 인카네이션 메리가 두 차례 환상을 보고
1639년 6명의 수녀들이 카나다 행
열악한 선교 환경
보급이 잘 되지 않았고,
인디언 국가들 사이의 전쟁은 불안한 환경을 만들었고
선교사들의 육체적 고통과 죽음
서구인들의 신대륙에서의 경제적 유익 추구에 따른
정치적이고 비윤리적인 행동들
* 파라과이 (구아라니스 공화국)
1. 기독교인 마을 형성
1610-1623 사이에 23개의 기독교인 마을
인구 10만
신부의 보호 속에서 노예 생활로부터 자유로움
2. 스페인 정복자와 혼혈인들인 마멜루크족의 위협
3. 천주교 신부가 지도자
현지 지도자 양육 부재
* 식민 열강의 변화
개신교 국가들의 약진
* 현지 정치 상황으로부터의 영향
중국, 태국, 북베트남에서의 핍박
남 베트남에서 천주교는 성장
* 예수회의 해체
1773년 해체
당시 22,589명의 회원
* 프란시스코 자비에르
1. 예수회의 창립자로서 1540년에 인도로 파견, 고아지역에서 선교
2. 타밀어로 교리문답서 번역, 어린이를 우선 전도 후 부모 전도
3. 1547년에 고아에서 만난 일본인의 권유로 일본에서 2년 반 동안 사역
4. 인도의 사도, 일본의 사도라고 불리운다
* 마태오 리치
* 기술의 발전
1. 화약 - 위력과 충격
2. 해양 기술의 발달
3. 인쇄술의 발달
* 탐험가들 - 미지의 땅을 발견하다.
1. Christopher Columbus
2. Vasco da Gama
* 유럽의 정치 경제적 상황
1. In the 14thcentury
2. In the 15th century
* 유럽, 세계로 눈을 돌리다! Prince Henrique
- Portuguese prince
- The need for a new route to Asia
- The series of discovery
-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kingdoms and the solution
The Era of Great Discovery
1. Spain and Portugal had two main purposes
- To bring to gospel to the unknown nations
- To contact with Christian churches
2. Competition between Spain and Portugal
3.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특징들
- Portugal: religious piety, 1 million people, agriculture,
Asia for pepper and spices
- Spain: greed for gold
지중해에서 세계로
1. Individuals
The Benedictines - AD 529
2. Stationary monastery
The Cluniacs - AD 910
The Cistercians - AD 1098
3. Crusade monastery
The knights of St. John - AD 1113
The knights of Templar - AD 1119
The Teutonic knights - AD 1190
4. Traveling monastery
The Dominicans - AD 1216
The Franciscans - AD 1223
The Society of Jesus - AD 1540
- 1622년에 교황 그레고리우스 15세가 포교성성을 세움
-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고 노력
- 선교영역에서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쇠퇴와 프랑스의 약진
- 현재 관습 존중, 현지인들이 자신의 죄를 스스로 발견하도록 돕는 전략
- 해외 감독 교구의 숫자 증가 / 대리 감목(1637년이후)
인도, 중국, 동남아, 아프리카, 북미(캐나다), 남미
- 1500년 이후 Pedro Alvares Cabral의 인도 도착 이후 포르투갈의 천주교 선교사들이 남인도에서 성도마교회를 만남.
- 당시 인도는 무슬림들의 확장에 위협을 느낌
- 1557년 고아가 대감독교구가 됨 (아세아 교구를 관장)
- 예수회의 창립회원인 자비에르가 포르투갈의 후원을 받으며 인도로 1542년 갔다.
이전에 집단 개종한 바라타스 카스트에게 신앙교육
주기도문, 사도신경, 십계명,
청년 교육 -> 어른 교육
반복 교육
* 천주교의 일본 선교
1. In 1511, Malacca became the center of Portuguese's spice islands
2. Xavier met a Japanese criminal in Goa and arrived Japan in 1549
3. Xavier changed his view "tabula rasa" an idea formed by Latin America and West Indies
4. Xavier's mission strategy
- Daimyos first
5. Alessandro Valignano's strategy
- In all possible ways, missionaries and Christians must adapt themselves to local custom and prejudice
- Selected Japanese should see for themselves the European civilization
- Japanese needed to be admitted to the priesthood
6. In 1590, Japan was unuted by Hideyoshi and Hedeyoshi kicked foreigners out of the country
* 천주교의 중국 선교
1. In 1557, Macao became a tiny Portuguese settlement
2. 순찰사 발리냐노가 중국 선교의 비전을 품고 고아에서 신학교수였던 마태오 릿지를 마카오로 데려왔다.
3. 마태오 릿지 1600년 중국 천자를 만났다.
4. 시계 수선과 지도 제작 기술로 선교지에 머물다.
5. 선교적 이슈들
- 제사를 숭배로 볼 것인가 존경으로 볼 것인가?
- 하나님을 무엇으로 번역할 것인가?
6. 선교의 열매 - 성도 2000명
* 천주교의 필리핀 선교
1. In 1565, 최초로 어거스틴 수도회가 도착하고 차후에 스페인의 예수회원 등 여러 단체가 도착했다.
2. In 1579, 마닐라가 멕시코의 지도를 받는 주교 교구가 되었다.
3. 인도 중국과 달리 문명이 발달되어 있지 않았다.
4. 남미에서 운용한 선교 방법
- Christian village, church, school and orphanage
- Universities
- Heavy burden on th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estates
1. 유럽의 남미 접촉 약사
1492 - 콜럼부스 (산 산바도르)
1500 - 카브랄 (브라질)
1519 - 코르테즈 (아즈텍)
1529 - 피사로 (페루)
2. 스페인과 프르투갈의 남미 정책
정복 - 통치 - 기독교화
3. 천주교 남미 선교의 주도 세력와 이들의 선교 전략
성례전이 거의 없고, 현지 종교지도자 양성이 없고
4. 유럽인의 현지인에 대한 생각과 정책
부정적 - 게으르고, 비도덕적이고, 비겁하고
tabla rasa
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선교의 주도권을 쥐고 있었다
장점: 넉넉한 재정, 역동적인 사역
단점: 식민 정치의 불가분관계, 경쟁적,
인적 자원의 부족으로 사역의 공백
예수회 (The Jesuit Order)
- 1534년 이그나티우스 로욜라와 6명의 친구들이 결성
- 새로운 수도회
- 교황에게 순종적
- 이단자들의 재회심과 이교도들의 회심을 사역 목적
배우고 익히며
느는
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