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20171215

퍼실리테이터 양성교육

Follow-Up

퍼실리테이터

깨달음(Awareness)

실습(EXP)

이론(THEORY)

Understanding

지난 시간 퍼실리테이션 리뷰

실습하기

정의_definition

Mental Model_정신모델

역할_roles

평가_Assess

표출_Surface

조성_Acclimatize

  • 모듈5. ERRC(창증감제)
  • 모듈5. 브레인라이팅(4.3.5)
  • "집단이나 조직이 협업과 시너지를 창출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이를 위하여 공정하고, 개방적이고, 참여적인 과정으로 집단이 일을 해낼 수 있도록 한 쪽 편에 서지 않고 중립을 지키는 것이다" - Michael Doyle
  • "집단이 효과적으로 기능하여 양질의 의사결정을 해낼 수 있도록 구조와 절차를 형성하는 과정, 다른 사람들이 최상의 성과를 내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 Ingrid Bens
  • "최고의 사고와 실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 이를 위하여 개인이 최상의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서 완전한 수준의 참여를 끌어내고, 서로 이해하며, 공동의 책임감을 가지도록 발전시키는 것이다" - Sam Kaner
  • 모듈4. 의미부여와 그라운드룰
  • 의미부여
  • 감사와 인정/개최배경의 설명/참여자의 중요성/결정또는 후속조치
  • 그라운드룰(Ground Rule)
  • : 참여자간의 지켜야 할 약속 /필요시 퍼실리테이터가 제안가능
  • 모듈10. 주먹오 기법(fist to five)
  • 0~2 부정 피드백 탐색이 주 목적
  • 누가 어떤 점수를 냈는지 꼭 기록할 것
  • 아이디어별 점수 합계도 기록하기

2004

2010

Feedback

2013

2007

2001

PASAQADE Process

by. Koo Facilitation Group

조성_Acclimatize

표출_Surface

목적_purpose

  • 모듈2. 준비(장소점검, 아젠다세팅)

모듈1. 5ps - 이론

  • 모듈5. 브레인라이팅(4.3.5)

정렬_Arrange

  • 모듈3. IB

평가_Assess

탐색_Quest

Purpose(목적)

- 무엇이 주요 목적인가?

Product(결과물)

- 어떤 결과물을 나와야하지?

- 우리가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어떤 것을 통해 알 수 있지?

Participants(참여자)

- 누구를 참여시켜야하지?

- 그들의 기대는 무엇이지?

Probable issues(사전이슈)

-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슈?

Process 절차

- 우리가 직면하게 될 사전이슈-참가자를 고려하고, 기대결과물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는 무엇인가?

  • 3 keywords
  • 진진가
  • Check in(0~5)
  • 자기소개 빙고(3X3, 5X5)
  • 세가지 사물에 빗대어 소개하기

모듈9. 탐색

모듈7. 친화도(MECE)

모듈10. 주먹오 기법(fist to five)

  • MECE : 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
  • MECE는 말 그대로 서로 배타적이지 않고 합이 전체가 될 수 있는 요소의 집합을 의미

조성_Acclimatize

목적_purpose

  • 모듈4. 의미부여와 그라운드룰
  • 의미부여
  • 감사와 인정/개최배경의 설명/참여자의 중요성/결정또는 후속조치
  • 그라운드룰(Ground Rule)
  • : 참여자간의 지켜야 할 약속 /필요시 퍼실리테이터가 제안가능

누락정보의 탐색

- 추가 의견이 있으신가요?

전제의 탐색

- 어떤 주장이나 믿음을 뒷받침하고 있는 근거를 확인

- 무엇이 우려되시나요?

인과의 탐색

- (주장에 대해) 원인 또는 결과가 무엇인가요?

합목적성 탐색

- (지금까지의 과정이) 목적에 부합한다고 생각하시나요?

명확성

- 더 확인할 것이 있을까요? ~에 대한 의미파악이 되셨나요?

모듈1. 5ps - 적용

모듈1. 5ps - 이론

  • 0~2 부정 피드백 탐색이 주 목적
  • 누가 어떤 점수를 냈는지 꼭 기록할 것
  • 아이디어별 점수 합계도 기록하기

표출_Surface

  • 모듈6. ERRC(창증감제)

Purpose(목적)

- 왜 이 세션을 진행하는지? 궁극적인 목표는?

- 무엇이 이 세션이 열리게끔 만들었는지? 우리가 해결하려는 문제는 무엇인지?

-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암시에는 무엇이 있는지?

Product(결과물) 3Hs

- What do you want people to have in their hands(deliverables), the heads(knowledge) and their hearts(beliefs) that they didn't have before the meeting started?

- 이 세션으로부터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 3개월이 지난 이후에, 어떻게 그 세션이 성공적이었는지를 알 수 있을까?

Purpose(목적)

- 퍼실리테이션의 철학을 이해하고, 기본원리 습득

Product(결과물)

- 퍼실리테이션 모듈(hands)

- 퍼실리테이션 이론과 적용(heads)

- 퍼실리테이션의 철학, 그리고 being(hearts)

Participants(참여자)

- 정치축제 기획자

- 외부 관심자

Probable issues(사전이슈)

- 식사를 하고오기 애매한 시간, 밥을 준비하라

- 오늘 처음 오신 분들에게 리뷰를 해야함

Process 절차

- Opening - 리뷰 - 이론(T) - 실습(E) - 깨달음(A)

Next meeting

공유비전_CSV

0. OPENING

1. 퍼실리테이터

- 아이스브레이킹

- 퍼실철학리뷰

- 참여자 욕구파악

- 퍼실설명_PASAQADE

- 퍼실 실습

Contents

공유비전과 공유가치창출

- 공유비전과 CSV(공유가치창출) : 공유비전은 과거에 만들어진 비전이 현재 공유되는지를 측정한다면, CSV는 지속적으로 가치를 만들어내서 비전 공유를 넘어 비전을 함께 만드는 것.

- CSV는 사회적 필요, 사업적 기회, 기업이 가진 자산(구성원, 조직, 리더십)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계속 창출하는 것이다.

- 조직에서는 이와 같이 새로운 가치가 창조됨으로 새로운 비전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조직이 혁신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든다.

3. CLOSING

2. 홀라크러시

- 빅피쳐_학습조직 + 메타인지

- 공유비전_공유가치창출CSV

- 시스템 사고_SYSTEM DYNAMISM

- 홀라크러시_관점+원리

골든서클

우리는 왜 이 일을 하는가?

  • why_why not change the world?
  • how_새로운 방법론(홀라,퍼실)
  • what_민주주의 플랫폼

시스템사고

테이블 소개

왜 우리는

홀라와 퍼실을 하는가?

시스템사고_시스템다이나미즘

테이블 1

테이블 3

테이블 2

- SYSTEM THINKING : 시스템사고란 전체적인 관점에서 STOCK(조직구조)와 FLOW(인풋과 아웃품의 흐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 SYSTEM DYNAMISM : System Thinking은 최근 Special Dynamism으로 확대되었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조직분석의 개념이다.

- SYSTEM DYNAMISM 의 5개 핵심 요소: 경쟁관계(CR) / 협조관계(CR) / 영향자(SH) / 인풋 / 아웃풋

- 레버리지 포인트 : stock과 flow가 만나는 지점에서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상전이가 일어난다. 이러한 포인트를 발판으로 다시 혁신과 성장을 꿈꾸게 된다.

- 플러스 루프와 마이너스 루프 : 양을 늘리는 방향은 플러스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상쇄하는 방향은 마이너스

테이블 6

테이블 5

테이블 4

퍼실리테이션 양성교육_빅픽쳐

3차

4차

5차

6차

1차

2차

season1. 양성교육

season2. 양성교육

기본교육

심화교육

질문 4

어떤 체제나 모델을 만들 때, 한 사람이 가지는 영향력은 어느정도까지일까?

보통의 통념으로는 한 사람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는 염세주의적인 관점이 팽배하다.

비그포르스의 예에서 생각해보자.

비그포르스가 없었다면, 한손이 총리가 되어서 '국민의 집'을 이야기할 수 있었을까?

묄레르는 사회정책기조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었을까?

사민당의 영향력은 지속될 수 있었을까?

퍼실리테이터 양성교육 2강

퍼실리테이션 실습 +

홀라크러시 조직분석

2018 정치축제기획단

만약 배를 만들고 싶다면, 사람들에게 목재를 가져오라고 하거나 일감을 지시하지 말라. 대신 그들에게 바다를 그리워하게 하라

_생텍쥐페리

Enter text here

Enter text here

Enter text here

Enter text here

Enter text here

Enter text here

Enter text here

Enter text here

Enter text here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