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인도, 중앙아시아, 중국을 거쳐 한국까지 100장면에 담긴 2,600년 불교의 역사
BCE 2500년경 - 인더스문명 발생
고조선 건국 BCE 2331
-
중국 하나라 건국 추정 - BCE 2000
중국 하나라 멸망 / 상나라 건국 - BCE 1600
BCE 1500년경 - 아리안족의 인도 침입 / 베다의 문자화
중국 주나라 건국 - BCE 1046
BCE 1000년경 - 브라만교의 설립
BCE 800년경 - 우파니샤드 시대 시작
중국 춘추시대 시작 - BCE 770
BCE 600년경 - 16개 도시국가 성립 / 육사외도 등 사문집단 성행
BCE 624년추정 - 붓다 탄생 / 룸비니에서 석가족 성자로 붓다 태어남
- 농경제에 참석, 나무아래에 앉아 선정 경험(6~7세)
- 아소다라와 결혼, 사문유관을 경험함(19세)
- 라후라가 태어남 / 붓다 출가(29세)
- 부다가야 보리수 아래서 깨닭음을 얻음(35세)
- 녹아원에서 다섯비구에게 처음으로 설법 / 밤바사라 왕이 '죽림정사'를 건립하여 기증함 / 사리불.목건련. 마하가섭이 귀으함(35세)
- 고향인 가바라를 방문 / 이복동생 난타와 아들 라후라가 출가함 / 아난 등 석가족 왕자들과 우바라가 출가함(37세)
- 급고독장자가 '기원정사'를 건립 기증함(38세)
- 대애도 등 여성 출가를 허용. 비구니 승단 탄생(40세)
공자 탄생 - BCE 551
- 사리불, 목건련이 입적함(79세)
BCE 544년추정 - 쿠시나가로에서 붓다가 열반에 듬(80세) / 왕사성의 칠업굴에서 제1차 결집이 일어남
BCE 440년경 - 바이살리에서 제2차 결집 그 결과 부파불교 시작됨
중국 한.위,조 삼국이 제후국이 되면서 전국시대(~BCE 221)가 시작됨 - BCE 403
BCE 400년경 - 마가다국이 갠지스강 유역을 통합함
BCE 340년경 - 대중부의 분열 시작
BCE 327년경 - 알렉산더 왕의 인도 침입
BCE 321년경 - 찬드라굽타, 마가다국의 난다 왕조를 무너뜨리고 북인도를 통일하여 인도 최초의 통일 왕조인 마우리아 왕조를 세움
BCE 273년경 - 마우리아 왕조 3대 아소카왕 즉위
BCE 261년 - 아소카왕, 인도 남부를 제외한 전 인도 통일, 불교에 귀의하여 아소카 석주를 건립하고 인도전역에 불교를 전파함 / 파탈라푸트라에서 제3차 결집 일어남
BCE 240년경 - 상좌부의 분열 시작
진시왕의 진나라 중국통일 - BCE 221
진나라 멸망 / 한나라 건국 - BCE 202
BCE 185년 - 마우리아 왕조 몰락
BCE139년 한무제의 명으로 대월지와의 동매을 위해 떠난 장건이 중앙아시아 교역로(실크로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귀국 - BCE 126
고조선 멸망 - BCE 106
BCE 100년경 - 스리랑카에서 경전이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 / 대승불교 운동 시작
신라 건국 - BCE 57
고구려 건국 - BCE 37
백제 건국 - BCE 18
왕명의 신나라 건국 - 8
광무제가 후한을 건국 - 25
가야 건국 - 42
인도 아유타야에서 허황옥이 금관가야로 옴 - 46
43년경 - 인도 서북부 일대를 통일한 쿠산 왕조가 세워짐 / 쿠산족은 인도에 들어오기 전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일대의 그리스계 국가(빅토리아왕조-대하)를 정복하였기 때문에 인도문화와 그리스 문화가 접목하는 계기가 됨
후한 명제가 꿈에서 금인을 봄 /인도 승려 가섭마등, 축법란이 낙양에 도착 - 67
100년경 - 간다라, 미투라에서 불상이 만들어지기 시작(1세기경) / 쿠산왕조 3대 카니슈카 왕의 후원으로 카슈마르에서 제4차 결집 일어남
안식국 출신의 승려 안세고가 낙양에 도착 - 147
150년경 찬불승 마명이 활동함
지루가참이 낙양에 도착 - 160년경
황건적의 난 발발 - 184
200년경 - 용수와 그 제자 제바가 활동
후한이 멸망하고 위.촉.오 삼국시대(~280년)가 시작됨 - 220
240년경 - 쿠샨왕조가 몰락함 이후 인도 북부는 수많은 나라로 분열됨
중국 최초의 서역 구법승 주사팽이 호탄으로 출발함 - 260
5호 16국 시대가 시작됨 - 304
320년경 - 찬드라굽차가 분열된 인도 북부를 통일하고 굽타 왕조를 세움
돈황석굴을 건설하기 시작함 - 353
전진 왕 부견이 승려 순도를 고구려에 파견, 불상과 경문을 전함 - 372
374 - 도안이 '중리중경목록'을 편찬함
동진의 승려 마리난타가 백제를 방문하여 불교를 전함 - 384
동진의 승려 법현이 율장을 구하기 위해 서역으로 떠남 - 399~414
400년경 - 미륵과 무착, 세친이 활동, 유식학파가 등장 함
구마라집 장안 도착 - 401
혜원이 동림사에서 123명의 문도와 함께 염불결사를 단행함 - 402
415 - 굽타 왕조 구마라굽타 즉위 재위기간(~454년)중에 나란다 사원을 창건함
중국 송나라 건국되고 남북조 시대가 시작됨 - 420
북위 태무제의 패불 - 446~452
담요의 주장에 따라 북위 문성제가 운강석굴을 조성하기 시작함 - 460년경
북위 효문제가 낙양에서 장안으로 천도함 / 북위 효문제가 용문석굴을 개척하기 시작함 - 493
500년경 - 4세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중관학파가 확립됨
양나라 건국, 무제가 즉위 - 502
북위 호태후의 명으로 혜생, 법력이 승운과 함께 서역에서 대승경전을 구해옴 - 518~522
인도 승려 보리달마 중국 도착 - 526
신라,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 공인 - 527
홍륜사 창건 - 527~544
황룡사 창건 - 553~569
북주 무제의 패불 - 574~579
550년경 - 굽타 왕조의 멸망, 이후 인도는 다시 분열하여 혼란기에 들어감
지의가 천태산 화정봉에서 깨닭음을 얻음 - 576
북주 멸망, 수나라 건국 - 581
원광의 중국 유학과 귀국 - 589~600
지의가 옥천사에 머물면서 '법화현의'를 강설 - 593
중국 수나라 멸망 / 당나라 건국 - 618
현장이 장안을 출발하여 16년간 서역 110개국을 유려함 - 629~645
자장의 당나라 유학과 귀국 - 638~643
신라 태종무열왕 즉위 - 654
백제 멸망 - 660
의상의 당나라 유학 - 661~671
현장이 장안의 옥화사에서 입적 - 665
고구려 멸망 - 668
법장이 태원사에서 출가 - 670
의정이 율장을 구하기 위해 해로를 이용하여 서역을 왕복함 - 671~695
나당 전쟁 종료 / 신라의 삼국통일 / 의상의 부석사 창건(화엄종의 시작) - 676
혜능이 조계산에 머물며 설법 - 677
당 고종 사망 - 683
원효가 혈사에서 입적 - 686
측천무후, 주나라를 건국하고 성신황제로 즉위 - 690~705
원측이 낙양 불수기사에서 입적 - 696
법장이 '화엄오고장'을 통해 '오교십종'교판 등을 설명함 - 700
'대일경'형성, 밀교의 번성 / 법장의 '화엄오교장'저술 - 700년경
성덕왕의 오대산 상원사 창건 - 705
당 현종 즉위 - 712
혜능이 광주 국은사에서 입적 - 713
당 현종의 '개원의 치' - 713~741
선무외가 당나라에 옴 - 713
금강지가 당나라에 옴 - 719
신라의 혜초가 인도 여행기 '왕오천축국전'을 집필 - 727
무상의 당나라 유학 - 728
신회가 활대의 종론을 통해 복종선을 비판 - 732
선무외가 입적 - 735
신라 석굴암과 불국사 창건 - 751
안사의 난 발발 - 755~763
시불 왕유 사망 - 759
760년 - 산타라크시타, 티베트 방문하여 인도불교 전파
시선 이백 사망 - 762
무루가 장안의 황궁에서 입적 - 762
시성 두보 사망 - 770
혜초가 중국 오대산 건원보리사에서 입적 - 780
김지장이 구화산에서 99세로 입적 - 794
800년경 - 다르마팔라 왕, 비크라마시라 사원 건립
당나라에서 도의 귀국 - 821
당 무종의 패불 - 842~846
범일이 당나라에서 귀국 - 847
체징이 보림사를 세우고 가시산문을 엶 - 860년경
황소의 난 발발 - 875
견훤이 왕을 칭함 - 892
견훤이 후백제 건국 - 900
궁예의 후 고구려 건국 - 901
궁예가 국호를 마진으로 변경 - 904
당나라 멸망, 오대십국 시대 시작 - 907
궁예가 국호를 태봉으로 변경 - 911
거란족의 오나라 건국 - 916
왕건이 추대되어 고려를 건국, 궁예 피살 - 918
견훤이 신라 경애왕을 피살하고 경순왕을 옹립함 - 927
경순왕 감부가 고려로 귀부함 / 견훤이 신검 등에 의해 금산사로 유패됨 - 935
견훤의 고려 투항과 고려의 후삼국 통일 - 936
후주 세종의 패불 - 955~958
조광윤의 송나라 건국 - 960
균여 입적 - 973
송나라의 중국 통일 - 979
거란의 1차 침입 - 993
1000년경 - 이슬람세력의 인도침입
거란의 2차 침입 - 1010~1011
1042 - 비크라마사라 최고 고승 아티샤, 티베트를 방문
고려 문종의 아들 의천 송나라 유학길에 오름 - 1085
초조대장경 완성 - 1087
의천의 교장판각 시작 - 1091
국청사 완공과 교장 판각 중단 - 1097
여진족의 금나라 건국 - 1115
금나라에 의해 오나라 멸망 - 1125
금나라의 복송 격파, 강남에 남송 건국됨 - 1127
주희(1130~1200) 탄생 - 1130
무신정권 시대 시작 - 1170
지눌의 정계결사 조직 - 1190
1203 - 이슬람 세력의 비크라마시라 사원 파괴 / 공식적인 불교의 소멸
1206 - 인도 최초의 이슬람정권, 노예정권의 시작
칭기즈칸이 몽골족을 통일 - 1206
몽골의 1차 침략 - 1231
고려의 강화천도 / 몽골의 2차 침략 / 초조대장경 화재로 소실(12월) - 1232
몽골에 의한 금나라 멸망 - 1234
고려 몽골에 의한 3차 침략 - 1235~1239
재조 대장경 판각시작 - 1236
몽골에 의한 황룡사 전소 - 1238
재조대장경 완성 - 1251
무신정권 시대 종료, 고려의 개경 환도 - 1270
쿠발라이칸, 국호를 원으로 고침 - 1271
삼별초의 항쟁 종료 - 1273
원나라의 남송 정벌과 중국 통일 - 1279
일연의 삼국유사 저술 - 1281
인도 승려 지공이 고려에서 활동함 - 1326~1328
홍건적의 난 발발 - 1351
보우가 왕사가 됨 - 1356
신돈이 공민왕의 신임을 얻은 신돈의 개혁 정치 시작 - 1365
주원장의 명나라 건국, 원나라는 북원으로 축소 - 1368
나웅이 왕사가 됨 - 1371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직지심체요절'을 인쇄함 - 1377
무학이 왕사가 됨 / 이성계 조선건국 - 1392
세종, 훈민정음을 반포 - 1446
훈민정음을 사용한 '석보사절'과 '월인천강지곡' 간행 - 1449
왕수인(1472~1528) - 1472
성종, '경국대전'을 공포 - 1485
1526 - 무굴제국 성립
문정왕후의 수렴청정 - 1542~1552
을사사화 발생 - 1543
보우, 문정왕후의 후원으로 봉은사 주지가 됨 - 1548
선교양종의 승과 부활 - 1551
허웅 보우 입적 - 1565
임진왜란 발발 - 1592~1598
이지 사망 - 1602
자백 진가 입적 - 1603
서산대사 휴정 입적 - 1604
사명 유정 입적 - 1610
운서 주굉 입적 - 1612
누루하치의 후금 건국 - 1616
김신 덕청 입적 - 1623
이자성의 난 발발 - 1630~1640
홍타이지, 후금을 대청으로 변경/청나라 건국 - 1636
병자호란 발발 - 1636~1637
명나라의 멸망과 청나라의 중국 정복 - 1644
백련교의 난 발발 - 1796~1804
제1차 아편전쟁 발발 - 1840~1842
태평전국의 난 발발 - 1850~1864
백파 긍선 입적 - 1852
제2차 아편 전쟁 발발 - 1856
김정희 사망 - 1856
1857 ~ 1947 - 영국의 인도 지배
초의 의순 입적 - 1866
갑신정변 발생 - 1884
동학농민운동 발발 - 1894
승려의 도성 출입금지 해제 - 1895
원흥사가 대법산이 됨 - 1902
명진학교(동국대학교) 개교 - 1906
원종의 성립 - 1908
각황사 창건 - 1910
사찰령 반포, 임제종 성립 - 1911
청나라 멸망 - 1912
각황사를 현 조계사 자리로 이전 - 1937
조선불교조계종 성립 - 1941
1948 - 간디 사망
1955 - 임베드카르, 인도불교협회 조직 및 신불교 운동 전개
1956 - 나그푸르에서 수십만 명이 불교에 귀의
대한불교조계종 성립 - 1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