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위기 논쟁의 3대 쟁점은 공급의 감소, 수요의 증가, 분배의 불평등에 대한 견해 및 해결책 사이의 시각차
- 공급 요인 : 경지면적 감소와 생산비 상승, 단위당 생산성 정체 및 기상재해 발생에 따른 생산량 감소 등
- 수요 요인 : 인구증가, 식품소비량 증가, 육류소비 증가에 따른 곡물수요 증가, 바이오에너지 소비증가 등
- 분배 요인 : 곡물생산의 지역적 불균형, 곡물메이저의 지배력 확대, 투기자본의 개입 등
CONTENTS
1. 들어가기 : 왜 빈곤과 식량인가?
2. 기본적인 빈곤과 식량문제 이해
3. 우리는 왜 이 일을 하는가?
- why : *잠재성potential vs. 가능성possibility
- how : * Inside-out vs. Outside-in
- what : * 공동체의 비전(VOC)
4. 나오기
- 나의 비전은 무엇인가?
- "우리의 비전은 우리 스스로 성취한다!"
기아대책_빈곤
I. 빈곤과 식량
why
식량문제 현황
식량위기_대안
빈곤의 현황
생산력 확대
- 유전자 GMO 기술을 이용한 개체크기 증가
- 식물공장을 이용한 개체수 증가
식량 위기 모니터링
자급률/자주율 관리
- 국내생산 확대, 비축시스템 강화 및 조기경보 시스템을 위한 국제대응력 강화
- 자급율 : 국내생산 식량을 통해서 스스로 자급할 수 있는 정도
- 식량 자주율 : 국내 생산 곡물에다 한국 공기업과 사기업 등이 해외에서 생산 유통한 곡물을 포함해 곡물 자급 정도
식량위기에 대한
다차원의 대안
- 세계은행WB은 일일 기준 1.90달러의 국제 빈곤선을 사용한 측정
- 국제 빈곤층이 2012년 전 세계 인구의 12.8%인 9억 200만 명에서 2015년 전 세계 인구의 9.6%인 7억 200만 명
- 2016년은 전세계 인구의 11%인 8억 1천 5백만명
- 매년 만성 기아에 시달리는 인구는 전세계 적으로 8억 1,500만명 정도가 된다.
- 영양실조와 굶주림으로 고통받는 인구 중 98%가 개도국 주민이며 사하라 이남
- 아프리카 사헬지대 : 사막화 가속으로 2000만명이 기아에 시달림
- 시리아 난민 : 2011년 시작된 내전으로 25만명 사명, 11,000명 난민으로 전략
- 북한 주민 식량위기 : 대홍수와 극심한 가뭄으로 식량위기 지속화, 대부분 영양실조
식량원조 food aid
개발도상국 농업기술 지원
- 식량지원은 기근, 전쟁, 생산력 부족 등으로 수원국 내 식량공급이 부족할 경우 공여국들이 자국 식량을 직접적으로 지원(tied food aid)
- 수원국 정부에 현금을 지원하여 인근지역 등에서 식량을 조달(untied food aid)하게끔 하는 지원
- 식량지원은 크게 긴급식량지원과 개발식량지원으로 구분
- 농업기술 역량 개발 및 R&D 지원 강화
- 기술협력은 수원국의 국민의 지식, 기능, 기술적 노하우 및 생산능력 등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원공여국 정부와 민간단체의 지원을 말함.
빈곤의 4가지 정의
식량문제 원인
곡물 수요 증가
국가실패 생산-공급 위기
기본적인 인구증가로 인한 곡물 수요 증가 및 바이오연료 소비량 증가
긍정론 VS. 비관론
- 부정부패 및 정경유착으로 식량의 생산과 공급라인의 불균형 발생
- 잘못된 제도의 선택_식민지 잔재
세계 식량체계 불균형
Rowntree의 생계개념
Orshansky의 빈곤 측정
- 가치판단에 따른 주관적인 빈곤 정의
- 최저생계비 도출 : 반물량 방식
(식품비 지출X엥겔지수의 역)
- 다국적 곡물 기업을 중심으로 결합한 다국적 농식품 복합체의 지배력 강화(생산, 유통, 소비 체계 전반 장악)
- 대표적 다국적 곡물 기업 ADM
- 카길은 세계 곡물 무역의 75% 장악, 거대화학기업 몬센토는 옥수수 종자의 41%, 콩 생산의 25%를 통제, 지배력 강화에 따른 독점으로 식량가격 상승
자연적 원인/기후변화
육류 소비 증가
- 절대적 기준을 최소 영양소에 근거하여 화폐가치로 환산
- 최소기준선 개념 제시 : 전물량방식
- 식료품비만 계산하기
소고기, 닭, 돼지고기는 최근 50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
Q4. 식량위기에 대해서 나는 긍정적? 부정적?
대기중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메탄) 농도 증가로 인한 온난화, 사막화 문제
Townsend 박탈지표
라이덴의 주관적 생계비
Q3. 나는 빈곤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식량위기 비관론
식량 위기_낙관론
- 상대적 박탈개념 : 사회의 보편적 생활양식과 비교하여 박탈된 삶을 사는 집단
- 상대적 빈곤 측정 : 중위소득 40%/50%/60%(OECD), 평균소득 1/2(선진국,WB), 평균소득 1/3(개발도상국, WB)
- 주관적 생계비 : 개인의 상황에 대한 가장 훌륭한 판단자는 그들 자신
- 최저생계비 산출 : 생계에 곤란함을 격지 않는 총소득, 소득의 이동(잉여-불충분-극단적 결핍)에 따른 순소득의 현금가치
- 합의적 빈곤선 도출 : 빈곤의 한계적 수준, 빈곤의 의미상 차이 필터화
- 주장 : 곡물위기는 일시적 현상, 개발도상국에 대한 농업투자와 신품종 및 신기술 접목을 통하여 식량위기 극복이 가능
- 주체 : 자유무역주의를 주장하는 국제기구, 곡물메이저, 유럽연합과 같은 농산물 수출국들이 주장(WTO, OECD, USDA, 다국적 종자회사 및 식품회사, 미 국제식량 정책연구소)
- 주장 : 인구성장, 소득증가, 기후변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만성적인 식량 부족이 예상되며 농산물 가격폭등으로 식량위기가 심화
- 주체 : 개도국 개발을 담당하는 국제기구와 농산물수입국이 주장하는 논리( FAO, UNDP 등의 국제기구와 영국 포어사이트연구소, 미국 월드와치 연구소 및 맬서스, 사무엘 헌팅턴, 레스터 브라운 등이 주장)
식량위기를 해결
할 수 있을까?
Q2. 내가 정의하는 빈곤은?
잠재성potential
vs.
가능성possibility
*비관론
- 주장 : 인구성장, 소득증가, 기후변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만성적인 식량 부족이 예상되며 농산물 가격폭등으로 식량위기가 심화
- 주체 : 개도국 개발을 담당하는 국제기구와 농산물수입국이 주장하는 논리( FAO, UNDP 등의 국제기구와 영국 포어사이트연구소, 미국 월드와치 연구소 및 맬서스, 사무엘 헌팅턴, 레스터 브라운 등이 주장)
- 근거
세계적인 도시화, 산업화 추세에도 경지면적은 늘어나고 있으나 증가폭은 매우 적은 것이 세계 공통적인 현상
최근 10년간 세계 곡물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개도국과 신흥개발국의 농업생산성은 오히려 감소
선진국은 녹색혁명(Green revolution) 이후 농업투자가 감소추세이며 개도국의 경우 투자는 증가하나 세계경제의 영향을 크게 받는 상태
가뭄, 홍수와 같이 세계적으로 빈번해지고 있는 기상재해는 곡물생산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새롭게 부각
*낙관론
- 주장 : 곡물위기는 일시적 현상, 개발도상국에 대한 농업투자와 신품종 및 신기술 접목을 통하여 식량위기 극복이 가능
- 주체 : 자유무역주의를 주장하는 국제기구, 곡물메이저, 유럽연합과 같은 농산물 수출국들이 주장(WTO, OECD, USDA, 다국적 종자회사 및 식품회사, 미 국제식량 정책연구소)
- 근거
현재의 농경지만으로도 인류가 필요로 하는 곡물을 충분히 생산할 수 있으며 추가수요가 발생할 경우에도 확대여력은 충분
농경지의 확대가 어려운 국가도 단위면적당 생산량 증대와 식물공장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로 경지의 한계는 극복이 가능
기후변화 등 농업환경의 악화에 따른 전 세계 곡물의 생산성 감소는 내재해성 품종개발로 극복이 가능
생명공학 기술에 의한 슈퍼 푸드(Super Food)의 등장으로 기존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해질 전망
로봇공학, 정보통신 기술 등과 농업생산기술의 융·복합으로 혁신적 생산효율의 증대도 가능
- 자연적 원인/기후변화 : 대기중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메탄) 농도 증가로 인한 온난화, 사막화 문제
- 곡물 수요 증가 : 기본적인 인구증가로 인한 증가 및 바이오연료 소비량 증가
- 육류 소비 증가 : 소고기, 닭, 돼지고기는 최근 50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
- 세계 식량체계 불균형 : 다국적 곡물 기업을 중심으로 결합한 다국적 농식품 복합체의 지배력 강화(생산, 유통, 소비 체계 전반 장악), 대표적 다국적 곡물 기업 ADM, 카길은 세계 곡물 무역의 75% 장악, 거대화학기업 몬센토는 옥수수 종자의 41%, 콩 생산의 25%를 통제, 지배력 강화에 따른 독점으로 식량가격 상승
- 국가실패 생산-공급 위기 : 부정부패 및 정경유착으로 식량의 생산과 공급라인의 불균형 발생
- why : 마음모형그림 삽입
*나는 왜 빈곤과 식량에 관심이 있는가?
*빈곤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는걸까?
*빈곤은 외부의 도움이 부족해서일까?
*잠재성potential vs. 가능성possibility
*잠재성-역량 vs. 가능성-경쟁력
*비전의 잠재성 vs. 목표의 가능성
-how :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Inside-out vs. Outside-in
*잠재성 - facilitation
*기독교 세계관 : 창조-타락-구속-완성
- what : 무엇을 해야할까?
* 공동체의 비전 : 그들 스스로 그들의 비전을 추구한다.
* transformational ministry : 변혁 사역
- 유전자 이용 생산력 확대 : 식물공장
- 자급률과 자주율 동시에 관리 : 국내생산 확대, 비축시스템 강화 및 조기경보 시스템을 위한 국제대응력 강화
- 개발도상국 농업기술 지원 : 농업기술 역량 개발 및 R&D 지원 강화, 기술협력은 수원국의 국민의 지식, 기능, 기술적 노하우 및 생산능력 등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원공여국 정부와 민간단체의 지원을 말함.
- 국제개발협력 사업을 통한 개발식량 원조 : 국가차원, 권역 차원에서 식량 관리 및 NGO통한 지원, 식량지원은 기근, 전쟁, 생산력 부족 등으로 수원국 내 식량공급이 부족할 경우 공여국들이 자국 식량을 직접적으로 지원(tied food aid)하거나 수원국 정부에 현금을 지원하여 인근지역 등에서 식량을 조달(untied food aid)하게끔 하는 지원입니다. 식량지원은 크게 긴급식량지원과 개발식량지원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로컬푸드 운동 : 안전한 먹거리 확보를 위한 지역경제 활성화
- 식량 위기 모니터링 : 다자간 식량 모니터링을 위한 사업
INTRO
기아대책_빈곤
Q1. 지금 머리속에
있는 생각을 A4 에그려보세요!!
how
what
공동체의 비전 : 그들 스스로 그들의 비전을 추구한다.
Inside-out vs. Outside-in
생각이 결과를 낳는다
빈곤과 식량
여기에
접속해 주세요!
발표자료
강사에게
질문
강사가
청중에게 질문
minnation.symflow.com
OUTRO
민경인 간사
what is your
Vision Of
Community
오늘 하루도 누군가 내일에 대한 희망을 품을 수 있도록 일하는 것
기아대책 * KT그룹 20180503
- 기아대책 2010~2017
- 교육훈련팀, 국제협력팀, 국제사업부 아시아 2팀(필리핀), 긴급구호
- 국제정치, 정치경제학 전공
- 평생 교육, 정치철학, 국제개발협력
- 하나님나라, 변화, 희망, 공동체
- 낭만민네이션(별명)
Q3. 내가 생각하는
내가 속한 공동체의 비전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