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절개관
& L-tube
비위관영양 삽입방법
1. 손씻기
2. 물품준비 : 비위관, 테이프, 투명필름, 펜, 윤활제, 10ml주사기, 청진기
3. 삽입길이 측정
- 대상자의 코~귓볼&귀~검상돌기까지의 길이 측정하여 튜브에 표시!
4. 비위관 끝에 윤활제 바르고 삽입
- 삽입 동안 잘 들어가지 않거나 호흡곤란 증상 나타나면 삽입 중단!
- 아이에게 잘하고 있다고 격려하기
- 튜브가 비강을 통과한 후에는 관을 삼키도록 하기
- 표시된 길이까지 모두 삽입하기
5. 아이의 얼굴에 비위관을 테이프로 고정하기
김다은(11) & 이지우(74)
기관절개관 관리 시 주의사항
비위관영양으로 밥 먹이기
1. 무균적으로!
2. 주 1회 교환하기!
3. 매일 1회 소독하기!
4. 소독 시 절개부의 붉어짐, 붓기, 출혈 등 관찰하기!
5. 흡인 후에는 꼭 건조시키기!
6. 기관절개관 이탈과 막힘은 응급상황!
-> 신속하게 새 튜브 연결하기!
기관절개관은 목의 앞부분을 절개하여
기관에 구멍을 만들고 튜브를 넣어
기관 내부와 외기를 연결한 것입니다.
외관
내관
우리 아이는 왜 기관절개관을 갖고 있나요?
1. 기도 유지 & 호흡곤란 치료
2. 분비물 제거
3. 감염 방지
1. 손씻기
2. 좌위 취하게 하기
3. 비위관의 위치 및 개방성 확인
1) 청진기, 주사기로 소리 듣기
-비위관에 공기 주입하며 배에서 소리 듣기
2) 위내용 흡인
-주사기로 10ml 정도의 공기를 튜브에
주입한 후 위 내용물 흡인
4. 음식물 삽입
5. 피부 손상 관리, 구강 관리
이럴 땐 병원에 방문해 주세요!
- 관이 잘 들어가 있는지 확실치 않을 때
- 아이가 통증, 호흡곤란, 말하기 곤란
등을 호소할 때
- 배가 크고 부풀어 있을 때
- 삽입부위에 붉어짐, 붓기, 출혈 등이
있을 때
흡인 1:11~5:00
관리 6:25~13:25
비위관영양을 왜 하나요?
1. 오심/구토 예방
2. 투약
3. 삼키기 곤란하거나
식도가 막혔지만
소화력이 있는 경우
경장영양법이란?
구강으로 음식물을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
삽입한 튜브를 통해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
L-tube? 비위관영양!
코를 통해 식도를 거쳐 위 속으로 삽입
위에 직접 음식 투여
비위관 삽입 시 주의사항
아이가 심한 기침을 할 때
입술 주위가 파랄 때
구토할 때
-> 비위관 제거하고 병원 방문!
기관절개관 관리하는 방법
THANK YOU
출처
흡인? Suction?
기도 내의
분비물(혈액, 객담, 가스)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것
막히면 호흡곤란! 수시로!
1. 손 씻기
2. 흡인
2. 내관 제거
3. 필요 시 흡인
4. 새로운 내관 삽입
1:34~4:15
4:21~4:30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하). 수문사(2014).
간호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6.
Youtub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