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주의
차례
자연법 1. 스토아 학파
: 이성에 의해 이루어짐
2. 이퀴나스 학파(중세)
: 이성은 신이 준것이다.
1. 의무주의
2. 의무주의의 예
3. 공리주의
4. 공리주의의 예
5. 느낀 점
칸트 1. 인간만이 선의지를 가지고 있다.
2. 결과 < 동기
3. 보편적이다.
느낀점
의무주의 예
# 곤경에 처한 사람을 도와주어야하는가?
윤리문제에 따른 다양한 접근
이번 단원을 공부하면서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인식이나 관점을 알 수 있어서 나의 가치관이 성장 한 것 같아서 뿌듯하고 보람을 느끼면서 준비할 수 있었다.
윤리가 멀고 어렵고 심오한 것인 줄 알았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고정관념을 깰 수 있어서 좋았다.
또 여러가지 학자들의 생각을 공부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어서 좋았다.
내가 직접 각 각의 맞는 사례들을 찾아보면서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것 같아서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앞으로 사회에 있는 문제들을 여러가지 도덕적 관점을 통해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늘 것 같아서 아주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20406김현정♥
→ 나는 곤경에 처한 사람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라는 준칙을 떠올릴 수있다.
→ 이성적 존재에 보편화할 수 있고, 인간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대우해야한다.
→그 준칙을 하나의 보편적인 도덕 법칙으로 받아들이고 그에 따른 의무를 실천해야한다.
공리주의 예
공리주의
.
쾌락의 증진과 고통의 감소
# 의사가 불치병 환자에게 ' 당신의 병은 불치병이 아닙니다 '
벤담 - 사회 행복 증진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유동성의 원리 : 모든 행위가 우리 행복을 증가
시키는지 감소시키는지에 따라 평각하는 원리
ex) 어떤 행위가 쾌락을 늘리고 고통을 감소시키면 = 옳은 행위
어떤 행위가 쾌락을 줄이고 고통을 증가시키면 = 그른 행위
→행위 주위자들은 환자가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므로 도덕적으로 정당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공리주의에 따르면, 의사가 선의의 거짓말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규칙이 된다면 의사의 말을 믿을 수 없고 ,의사와 환자 사이에 신뢰가 깨진다.
밀 - 쾌락의 양뿐만 아니라 질적 차이 고려
정신적 쾌락 > 감각적 쾌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