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자유를 위해 건배한 두 명의 학생들에게 유죄가 선고
전 세계의 인권상황들을 조사
영국의 변호사 피터 베넨슨
(Peter Benenson,1921-2005)
인권문제들을 이슈화
2007년 영국의 '레스퍼블리카'와 미국의 '무브온' 공동설립
영국 신문 ‘옵저버’ 지에 ‘잊혀진 수인들’이란 제목의 기사를 실어 이들을 위한 국제적인 캠페인을 제안
조사활동을 통한 다양한 전략적 캠페인 활동
전 세계 194개국에 3억 명 이상의 회원
앰네스티 활동의 효시
‘사면을 위한 탄원(Appeal for Amnesty 61)’
활동 시작
기후변화, 인권, 동물의 권리, 부패, 빈곤 및 분쟁
국제적인 연대
가장 큰 인권단체
포르투갈,
국가의 배타적 권력사용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의 독재
(1932~1968)
시민을 지배,억압할 수 있는 권력구조의 문제
이슈에 대한 활동을 촉구
냉전이 극에 치닫게 됨
세계적으로,
수 많은 독립국가들이 UN에 가입
NGO가 태동
미국,
격동기라 불릴만큼 인권운동 활발
인권보호의 근본이되는
국제법과 인권기준의 체계를 세움
세계 최대의 온라인 행동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
정부
NGO
NGO단체 신속결성
국제적 이슈화
국제앰네스티
“일본 정부, 위안부 생존자 인정해야”
교과서에 위안부 관련 설명을 포함하고
생존자 배상과 관련한 행정조치를 즉각 실행할 것을 일본에 요구
약자대변
사형제도 폐지
고문 중단
비정부 기구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1942년, 영국의 옥스퍼드대학 학술위원회
전쟁으로 인한 기근 구제를 위해 시작
UN 창설 이전에 탄생함
1942년, 영국
개발 도상국의 환경 훼손
세계2차대전, 연합군으로 참전
1961년 영국의 생물학자 줄리언 헉슬리 경
1945년, 세계2차대전 종전
"저러다 멸종하겠다."
독일의 붕괴
세계 최대 환경보호 기구 중 하나
국제 연합(UN)이 창설됨
국가주권의 범위를 벗어나 사회적 연대와
공공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자발적인 공식 조직
전 세계 500만명 이상의 개인후원자
정부기관의 지원
협력형
지구의 생물다양성 보존
1950년,
한국 6.25전쟁 발발
한국정부기구 및 국제기구와 협력
긴급구호활동
비권력적, 이윤을 추구하지 않음
NGO는 국제연합 헌장 제71조의 협의적 지위를
위임받아 국제기구에 자문을 해 줄 수 있는 위상을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