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의 특성과 순환
높고
낮다
혼합층 - 바람이 강하게 불수록 혼합층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수온 약층 - 혼합층과 심해층사이의 열과 물질교환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심해층 - 전체 해수의 약 80%를 차지한다
표층 해수의 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태양 복사 에너지
해수 온도의 연직분포
혼합층
태양에 의한 가열과
바람에 의해 물이 섞이기 때문에
수온이 일정
심해층
수온이 낮고 변화가 거의 없음
위도별 해수 온도의 연직 분포
저위도
바람이약하다 → 혼합층이 매우 얇고,
태양복사 에너지를 많이 받는다. (수온약층 발달)
중위도
바람이 강하게 분다 → 혼합층이 두껍다
수온 약층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부분으로
상층보다 하층의 온도가 낮아서
대류가 일어나지 않고 안정되어 있음
★마지막 정리★
Q&A
1. 저위도지방은 태양의 고도가 ( )으므로
해수면에 도달하는 태양복사에너지가 ( )
고 고위도지방은 태양의 고도가 ( )으므로
도달하는 태양복사에너지가 ( )다.
2.아래설명은 어느 위도의 해수 수온의 연직 분포의 특징인가?
( )
3.혼합층은 ( )에 의해 가열되
어 수온이 높고, ( ) 위에서 부는 바람
에 의해 혼합되어 깊이에 따라 수온이 일정
한 구간을 말한다.
바람이약하다.
혼합층이 매우 얇다.
태양복사 에너지를 많이 받는다.
고위도
태양복사에너지를 적게 받는다
→ 심해층만 발달한다.
위도에 따른 바람의 세기와
태양 복사 에너지 양의 영향을 받는다.
위도별 해수 온도의 연직분포
해수 온도의 연직 분포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에 따라
혼합층, 수온 약층, 심해층으로 구분한다.
1. 표면 해수의 온도 분포
따뜻한 물이 흘러드는 층
저위도 지방으로 갈 수록 바닷물의 표면 온도가
고위도 지방으로 갈 수록 바닷물의 표면 온도가
왜??
태양 복사 에너지가 많고
위도별 표층 수온 분포
가로가 위도, 세로가 표층 수온이다.
위도가 낮을수록 표층 수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위도에 따라 해수면이 받는 태양 복사 에너지 양의 분포
이걸 그래프로 나타내면
가로가 위도, 세로가 해수면이 받는 열광이다.
위도가 낮을수록 태양 복사 에너지의 입사량이 많아짐을 알 수 있다.
태양 복사 에너지가 적기때문
저위도 해역 - 바람이약하다 → 혼합층이 매우 얇고, 태양복사 에너지를 많이 받는다. (수온약층 발달)
중위도 해역 - 바람이 강하게 분다 → 혼합층이 두껍다
고위도 해역 - 태양복사에너지를 적게 받는다 → 혼합층의 수온 약층은 발달하지 않고 심해층만 발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