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사회계층/직업/장애/성별에 대한 차별 표현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우리 사회는 남성 중심의 가부장 사회였기 때문.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여성들의 위상이 높아지고,
사회 기여도 또한 높아짐으로써 이러한 국어사전에 나타나는
성차별에 대해서 바로잡아야 한다.
출처
2. 아내를 내쫓음
수청
2. 아녀자나 기생이 높은 벼슬아치에게 몸을 바쳐 시중을 들던 일
☞과거에는 쓰였으나 현재는 쓰이지 않음.
"지난 때에 쓰이던 말로서", "봉건사회에서", "역사적 쓰임에서"
등과 같은 보조 표현이 필요
·접두사 '여-'
<여교사·여경·여의사 등>
☞남성형인 기본형에 접두사 '여-'를 붙임으로써
지위나 직책보다는 성별을 부각시킴.
·화대/·관능미
☞여성을 남성의 성적 대상으로만 보고 있음.
·아녀자
1.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2. 어린이와 여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여성들은 남성과 대등한 위치가 아니라,
아이와 동급이 되어 낮잡아 불리고 있다.
·의식하지 않고 본다면 알아채지 못함.
·무의식에서 이루어지는 차별을 지양
·사전과 의식의 동시 개선이 필요
<똥차>
-3. 결혼이나 졸업 따위의 일을 하거나 마쳐야 할 적절한 시기를 놓친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
-용례: 나이 서른이 되자 그녀는 사람들로부터 사람들로부터
똥차 대접을 받았다.
☞용례에서 여성을 부정적으로 기술하여 품위를 크게 떨어뜨림
·여필종부 ·처자 ·출처
☞남성은 여성의 상위자, 주인 등으로 표현하여
아내가 남편에 종속된 이미지로 설명되고 있다.
·며느리
-아들의 아내
-용례 : 떡두꺼비 같은 아들 둘을 나란히 낳았으니까 운암댁은 임씨 가문의 며느리로서 이제 구실을 다한 셈이라고 생각했다. - 윤흥길, 완장
☞여성은 집안일을 하는 존재로써 남편에게 봉사하고
가정에 충실해야 하는 것으로 묘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