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빈곤의 진짜 이유는 무엇인가?
이 책에서는 "세계관"에 근거하여
그 이유를 찾고자 한다.
모든 문화는 저마다 다른
여러 종류의 믿음체계를 가지고 있다.
세계관에 따라 답은 달라진다.
- 이 빈곤주의는 사람이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면 사람의
이성과 영혼과 마음을 한층 더 병들게 하는 가난의 문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 사고는 사람들이 굶주리고, 심지어
여기서 빠져나갈 생각조차 하지 못하게 한다.
- 빈곤주의, 운명론과 같은 잘못된 가치관은 사단으로부터 나온 것.
하나님은 가난을 만들어 내신 분 X.
- ex) 인도의 전생의 ‘업’ 정신: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선, 다음 생애를 위해 현세의 고 통을 감내하는 것 ↔ 일본의 ‘감바리’ 정신: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같은 환경에서 삶을 시작한 도미니카인과 일본인. 여전히 가난한 도미니카인, 열심히 노력하고 포기하
지 말자는 정신으로 성공한 일본인.
4. 하나님은
한 인격자이시다.
2.가난에 대한 이야기
1. 모든 사람들은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3. 변화시키는 이야기
: 지리적으로 적도 북쪽 10~40도의 지역,
북부 아프리카, 아시아에 걸쳐있다. 이 지역의 나라들은
가장 가난하고 도움이 필요하다.
Ex) 소말리아; 사람은 너무 많고 자원은 적은 나라? 평방 16명/1km
일본; 소말리아와 비슷한 넓이 국토, 자원 부족. 평방 335명/1km
Darrow L.Miller
서문
1) - 각자 애니미즘적 문화권에 있는 사람들은
운명이나 정령들이 전능하다고 본다.
- 운명론: 태국에서 농부는 '자콘' 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가난한 운명을 타고난' 이란 뚯을 갖고 있다.
- 세속주의는 인간을 복잡한 기계보다는 약간 더 나은
존재, 즉 물질적인 세계를 구성하는 하나 더 추가된
구성요소 정도로 이해한다.
3) 잘못된 가치관을 제거하는 해결책
1. 매일 1장씩 읽고 미리 나누어드린 인쇄물에 기록
2. 시작 및 마침 시간은 짧게 요약해드립니다.
3. 각 조 조장은 퍼실리테이터가 됩니다 :)
4. 작성해 온 인쇄물에 질문 중에서 투표를 해서 2개를 선정합니다.
5. 시간에 맞추서 2개 정도의 문제에 대한 답을
공유하면서 생각을 나눕니다.
: 지리적으로 적도 북쪽 10~40도의 지역,
북부 아프리카, 아시아에 걸쳐있다. 이 지역의 나라들은
가장 가난하고 도움이 필요하다.
① 복음 전파
② 생각을 새롭게 함
③ 모든 족속을 제자 삼음
: 하나님 나라의 원리와 성경적 세계관을 한 족속들의
기본질서와 정신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을 말함.
Ex) 소말리아; 사람은 너무 많고 자원은 적은 나라? 평방 16명/1km
일본; 소말리아와 비슷한 넓이 국토, 자원 부족. 평방 335명/1km
① 식량은 제한돼 있는데 반해, 세계의 인구는 과포화
② 자연자원의 부족
ex) 주요 수출품이 낙타뿐인 소말리아. 일본, 미국, 한국에는 낙타시장이 없다.
③사회 기간시설의 부족
ex) 인도: 충분한 자연자원이 있지만, 도로나 다리 등의 시설 문제로 굶주림.
아프리카: 수천 개의 언어의 다양성은 상업, 교육, 의사소통에 어려움.
④인구 과잉에 대한 해결책
가렛하딘 ‘구명보트의 원리’: 세계는 커다란 배, 구명보트에 다 태울 수 없으므로, 몇 사람을 제거해야 한다. 기근 때문에 사람들이 죽으면 굶주리는 이들에게는 비극이지만 나라나 세계에는 좋은 일이다. “자연이 하는 대로 내버려 두라”
‘가족계획 운동’ : 유엔주최, 카이로 회의- “우리가 어떻게 하면 제 3세계의 유색 인종들이 아기 낳는 것을 멈추게 할 수 있는가?”
⑤굶주림의 원인이 한 나라나 지역 내부의 요인에서 발생.
①식민주의 착취, 서양의 소비지향주의, 원인이 외부에서 발생.
: 정부가 아닌 다국적 기업에 의해 통제?
②다국적 기업을 탓하는 건 문제 핵심을 빗나감.
세계 인구 6%, 세계 자원 40% 소비하는 미국.
③해결책: 파이(pie) 하나를 점점 작게 나누어 가야 한다.
지역적, 세계적 구조가 가난한 이들을 위해 자원을 재분배
하도록 바뀌어야 한다.
3) 잘못된 가치관을 제거하는 해결책
5) 어떻게 세계관이 전파되는가?
: 이전, 현재 식민지였던 호주, 미국, 홍콩 등의 나라들은 부유하다.
식민지 경험이 없는 네팔, 아프가니스탄 등의 나라들은 가난하다.
하는 것은, 그 안에 사는 사람들로 하여금 무기력하고 속수무책으로 보이게 한다.
물리적 세계의 불균형 때문에 가난하고 굶주린다.
문제가 물리적 용어로 정의되면, 해결책 또한 물리적 용어로 이루어 진다.
자연을 폐쇄구조(closed system)로 본다.
①식민주의 착취, 서양의 소비지향주의, 원인이 외부에서 발생.
: 정부가 아닌 다국적 기업에 의해 통제?
②다국적 기업을 탓하는 건 문제 핵심을 빗나감.
세계 인구 6%, 세계 자원 40% 소비하는 미국.
③해결책: 파이(pie) 하나를 점점 작게 나누어 가야 한다.
지역적, 세계적 구조가 가난한 이들을 위해 자원을 재분배
하도록 바뀌어야 한다.
2) 세 가지 전형적인 세계관
① 복음 전파
② 생각을 새롭게 함
③ 모든 족속을 제자 삼음
: 하나님 나라의 원리와 성경적 세계관을 한 족속들의
기본질서와 정신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을 말함.
① 수평적으로 전파
: 예수님이 부활하신 후에 제자들에게 다음처럼 말씀하셨다.
“예루살렘과 온 유다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1c’ 복음이 팔레스타인, 인도, 아프리카, 스페인 북쪽, 아일랜드까지 퍼져나갔다. 20c’ 말 현재, 이교도나 미지의 부족인에게도 전파되고 있다.
② 수직적으로 삶에 침투 가치관, 사회구조, 문화 기관을 형성.
: 사회의 사법, 정치, 사회, 경제구조에서 법제화되고, 그런 후 대중문화에 흘러가 일반인들의 행동양식,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③ 시간에 따라 확산정보기술의 발달로 빠른 시간 안에 전파.
: ex)니체 <광인>, 보통 사람이 자신의 행동의 최후(세계관)를 경험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을 니체는 알고 있음.
①성경적 유신론
: 궁극적인 실체는 인격적. 하나님이 존재하기에 인식될 수 있는 객관적인 실체가 존재한다.
②세속주의
: 궁극적인 실체는 물질적. 따라서 영적인 것, 초자연적인 것을 부정.
③애니미즘
: 궁극적인 실체는 영적. 물질적인 세계는 환영이며, 정령들에 의해 생명력을 갖게 된 것.
4) 세계관이란, 세상이 어떻게 운행되며 그 기본적인 구성
이 어떠한가에 대해 우리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신념으로 갖는 일련의 전제들이다.
①홍수, 지진, 가문, 질병등의 나쁜 일들은 신들이 화가 났거나 인간에 무관심할 때 발생.
②모든 문제는 외부로부터, 영적인 영역으로부터 온다. 해결책도 같은 방법으로 풀어야 한다.
① 식량은 제한돼 있는데 반해, 세계의 인구는 과포화
② 자연자원의 부족
ex) 주요 수출품이 낙타뿐인 소말리아. 일본, 미국, 한국에는 낙타시장이 없다.
③사회 기간시설의 부족
ex) 인도: 충분한 자연자원이 있지만, 도로나 다리 등의 시설 문제로 굶주림.
아프리카: 수천 개의 언어의 다양성은 상업, 교육, 의사소통에 어려움.
④인구 과잉에 대한 해결책
가렛하딘 ‘구명보트의 원리’: 세계는 커다란 배, 구명보트에 다 태울 수 없으므로, 몇 사람을 제거해야 한다. 기근 때문에 사람들이 죽으면 굶주리는 이들에게는 비극이지만 나라나 세계에는 좋은 일이다. “자연이 하는 대로 내버려 두라”
‘가족계획 운동’ : 유엔주최, 카이로 회의- “우리가 어떻게 하면 제 3세계의 유색 인종들이 아기 낳는 것을 멈추게 할 수 있는가?”
⑤굶주림의 원인이 한 나라나 지역 내부의 요인에서 발생.
3) 문화 속에 살고 영향을 주고자 한다면 반드시
세 가지 기준에서 세계관을 점검해야 한다.
: 지리적으로 적도 북쪽 10~40도의 지역,
북부 아프리카, 아시아에 걸쳐있다. 이 지역의 나라들은
가장 가난하고 도움이 필요하다.
내생의 운명으로부터 도피를
시도하거나 새로운 황금기를 기다려야 한다.
6) 세계의 궁극적 실제
①그곳의 개인적인 세계관을 알아야 한다.
②그들이 함께 살고 일하고 있는 사람들의 세계관을 연구.
③실체에 대한 잘못된 시각을 회개, 주님의 세계를 포용하는 ‘의식 있는 기독교인’ 되어야.
①유신론:
유럽, 영국에서 계몽주의 시대에 들어서면서 붕괴, 신의 권위로부터 인간의 자율성 추구
②이신론:
하나님은 초월해 계시고, 내재하지 않는다.
③무신론적 유물론/세속주의:
하나님이 인간에 내재하지 않다면 신이라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는가?
믿음은 개인적인 것으로 국한됨
조지 그랜트는 한 '훌륭한 사람',
히포의 어거스틴을 이렇게 묘사한다.
세계관이 개발과 무슨 관련이 있는가?
4) 결론
- 점진적 세속주의,
급진적 세속주의,
애니미즘적 접근법
- 모든 사람은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자신의 세계관에 대해서 점검해 보도록 하자.
- 하나님의 의도는 모든 문화들이 개혁되어 그분의 선하심과
영광을 드러내는 것. 기독교인 개개인이 올바른 세계관을 갖고,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기초를 다져야 한다.
6) 결론
세 가지 입장은 진실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명백한 사실이지만, 빈곤의 문제를 성경의 관점으로
볼 때, 성경적 세계관은 우리로 하여금 좀 더 폭넓고
깊은 분석을 하도록 하며 근본적으로 다른 해결책으로
이끌어 준다.
진정한 구제란?
4) 결론
1. 가난한 자들을 위한, 그들과 함께 하는 사역에서 우리의
근원과 방법과 결과는 모두 '하나님' 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2. 사람들의 이야기에 관심을 기울이는 데서 출발.
3. 그들의 문화적 가치관을 잘 검토 해서,
어떤 점들이 개발을 막고 가난을 초래하는 지 판단해야 한다.
- 점진적 세속주의,
급진적 세속주의,
애니미즘적 접근법
- 모든 사람은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자신의 세계관에 대해서 점검해 보도록 하자.
- 하나님의 의도는 모든 문화들이 개혁되어 그분의 선하심과
영광을 드러내는 것. 기독교인 개개인이 올바른 세계관을 갖고,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기초를 다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