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1) 발생
- 인도의 전통 종교인 '브라만 교'와 엄격한 사회제도
'카스트'에 반발하면서 생겨남
- 인간 평등과 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중시
2) 확산
- 한나라 시대에 중국으로 전파 : 바닷길, 비단길 등
교역로를 통해서 전파
- 대중들의 구제를 중요시하는 '대승불교'의 경향이
동아시아에서 주류로 자리잡음
1) 수용 : 백제를 통해 6세기 중반에 수용
2) 쇼토쿠 태자 통치 시기 불교 진흥 강화
3) 8세기 '나라 시대' : 국가적 혼란 수습을 위한 불교 진흥
- 전국 각지에 '고쿠분사' 건립, 총괄 사원 '도다이지' 건립
4) 12세기 '가마쿠라 막부 시대'
- 왕실 및 귀족과 연계된 불교 견제를 위해 '선종'을 지원
- 불교의 대중화 경향 확대
1) 유교와의 결합
- '효'의 가치를 강조하는 불교 경전 '부모은중경' 등의
편찬
- 제사 등 조상 숭배의 인정
2) 현지 토착신앙과의 결합
- 우리나라의 토속신인 '산신, 칠성'이 불교와 결합
- 일본의 전통 신앙인 '신토'와 불교가 결합
1) 현장(당나라) : 인도 순례 후 '대당서역기' 저술
2) 감진(당나라) : 일본으로 건너가 도다이지를 중심으로
불교 계율 전수
3) 혜초(통일신라) : 인도 순례 후 '왕오천축국전' 저술
4) 엔닌(일본) : 당나라 유학 후 '입당구법순례행기' 저술
불교를 통한 동아시아의 인적, 물적 교류
: 3세기 ~ 7세기
1) 삼국시대에 중국을 통해 유입
- 고구려와 백제는 4세기 후반(소수림왕 / 침류왕),
신라는 5세기 초에 유입되어 6세기 공인(법흥왕)
→ 중앙집권체제 정비 과정에서 백성들의 사상 통일을
위해 수용
2) 통일 신라 초기 ~ 중기 불교가 대중화
(원효, 의상 등의 노력)
3) 통일신라 후기 : 호족 세력의 지원으로 '선종' 유행
4) 고려 : 불교의 다양한 종파 통합 움직임(의천, 지눌)
1) 강승회 : 오나라 지도자 '손권'을 불교에 귀의시킴
2) 법현(동진) : 인도 순례, '불국기' 저술
3) 달마(남북조 시대) : '선종'을 창시
4) 혜자(고구려) : 일본의 섭정인 '쇼토쿠 태자'의 스승
중국 본토의 불교
- 5호 16국 시대부터 본격적으로 확산
- 북위의 경우 '왕이 곧 부처'라는 '왕즉불 사상'을
이용하여 국가적으로 대규모의 지원
→ '윈강 석굴', '룽먼 석굴' 등 초대형 석굴 조성
- 수나라와 당나라를 거치면서 대중들에게 전파
1) '국가를 지키는 종교'로서 지배층과 밀접하게 결합
2) 승려들이 군주를 경배하고 국가의 통치를 받음
3) 국가에서 주도하여 대규모의 탑과 사찰 건립
4) 외적의 침입을 격퇴하길 바라는 '대장경' 간행
→ 지배층의 권위 확보 및 국가의 단합을 위한 불교의
수용을 알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