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파국
도구적 측면의 일방적 발달을 추구한
이성주의 문명의 필연적 결과
"현대의 예술작품들은
죽음의 원칙인 물화에
미메시스적으로 따른다."
즉, 비동일자로서 자기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
그러나, 현대사회는...
비판적/난해한/비합리적 작품 마저도
체제 내에 포섭하여 예술의 비판 무력화
단지 향유의 대상으로 전락시켜버리는...
따라서 현대 예술은 끊임없이 사회와 자신을 구별
'합리성'의 '비합리성'을 보여주기위해
스스로 부조리화 한다.
쇤베르크와 존 케이지
근대미학 '내용과 형식'
아도르노 '재료와 처리'
앵포르멜과 칼리그램
참고문헌
아도르노 미학
현대 예술의 역할과
아도르노로 예술 읽기
20083306 박린
"아우슈비츠 이후 서정시는
야만
이다."
Walter Benjamin
- 아도르노 사상의 성좌Konstellation를 통해 본
아도르노의 형이상학 비판, 주준휘, 2009.
- T. W. 아도르노, M. 호르크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김유동 역, 2001.
- http://cafe.naver.com/everymonth/10598
- http://cafe.naver.com/gosnc/501
(아방가르드와 문화산업)
- http://blog.daum.net/dogcanbegod/353
- http://ko.wikipedia.org/wiki/%EC%95%A4%EB
%94%94_%EC%9B%8C%ED%99%80
-진중권,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 아트북스, 2003
아직 프롤레타리아 총파업에
마지막 희망을 걸었을 벤야민
벤야민 vs 아도르노
앤디워홀
자유주의의 천국 미국도
결국 또하나의 파국
가상의 파괴!
아도르노는 이미,
스탈린주의의 폐해를 목격
예술은 '아름다운 가상이길 포기'
즉, 대상성의 파괴로
예술의 본질인 '아름다움' 포기
"기만하지 않으려면 예술은 추해져야 한다!"
개별자의 고유성은 추상적 수치로
통분 해버리는 '대감금'의 체제에서
칸트 비판
예술
의 역할은 무엇인가
카지미르 말레비치
<검은 사각형 Black Square>, 1913년, Oil on canvas, (41 3/4 x 41 7/8 inches).
가상의 파괴
가상의 구제
현대예술은 현대의 사회적 상태의 미메시스
벤야민- 아담의 언어
그러나 이는 '반영'이 아니다!
추상적으로 변한 그 형식속에 침전될 뿐.
아도르노 - 자연미 미메시스
(수수께끼)
사회를 비판하기 위해서 '참여'해서는 안 된다.
예술 =
사회
급진적으로
다른 '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