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끝나지 않았다... 는 사실!!
퀴즈 !!!!!
3번 문제입니다
2번 문제입니다
1번 문제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태풍은 주로 봄철과 늦가을에 주로 나타난다. (O,X)
우리나라에서 산사태가 일어난
곳은 우묭산 이다 (말해 YES OR NO)
가뭄에 대한 대책 한가지 이상을 말하시오.
답
: 녹색댐 기능 강화, 댐건설,지하수개발, 관개 수로 설치
들어 갑니다요~~
극복한 사례
오늘날에는 눈으로 인한 제약을 극복하고 많은 눈을 오히려 관광 자원으로 이용하고 있어요.
스키장
태백산 눈꽃 축제
태풍 곤파스에 이동 경로(2010)
태풍
태풍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오른쪽 지역은 태풍의 진행 방향과 바람의 방향이 비슷하여 강력한 바람이 발생한다. 반면 왼쪽지역은 태풍의 풍향과 주위에 풍향이 반대가 되어 그만큼 풍속은 약해진다.
눈으로 인한
제약을 극복한
지역을 찾아서
눈 구름이 형성되는 과정
- 시기: 우리나라에서 태풍은 늦 여름에서 초가을인 8~9월에 주로 발생
- 영향: 일 년에 2~3개 정도가 영향을 준다.
- 피해: 강풍에 의한 피해, 건물의 침수와 붕괴, 정전, 산사태,해일 등 많은 피해를 가져온다. 남부 해안 및 도서지역, 경상남도 지역의 태풍 피해가 큼
매우 차가운 공기 덩어리와 따뜻하고 습윤한 공기 덩어리가 만날때 많은 눈이 내리게 된다.
우리 태백시 일대는 무릎까지 쌓이는 눈 때문에 비닐하우스가 주저 앉고 냉해를 입기도 합니다.
산간 지역이라 제설작업이 어려워 교통이 마비되어 두세 시간씩
도로위에 정차해 있기도 하죠
홍수에 대한 대책
가뭄에 대한 대책
- 댐 건설, 삼림 녹화 사업과 습지 보전 사업을 통하여 녹색 댐 기능을 강화하는 방법
- 지하수 개발, 빗물 저장 시설, 공동 우물, 관계 수로 등을 설치
제방건설, 댐과 저수지 건설, 삼림 조성 등이 있으며, 홍수 예보와 경보체계를 구축하고 지리 정보 시스템(GIS)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하천 관리를 해야한다.
두번째
폭설로 인한 교통 혼잡
폭설로 인해 무너진 비닐하우스
우리나라의 폭설, 산사태는 어떤영향을 줄까?
첫번째
1. 폭설
우리나라의 홍수 가뭄 태풍은 어떤 영향을 줄까?
폭설이란??
일시에 갑자기 많이 내리는 눈을 말한다.
원인: 우리나라는 북쪽에 차가운 시베리아 기단이 상대적으로 한반도 주변에 따뜻한 바다를 건널 때 변질되기 쉬운곳에 위치하여 때에 따라 많은 눈이 내린다.
이용: 스키장과 같은 레저 시설은 눈이 많이 내리는 것이 도움이된다. 봄에 농업용수로 사용하기도 한다.
피해: 교통 혼잡, 비행기 이착륙의 어려움, 농작물 피해, 설물 붕괴 등
3.우리나라의 자연재해
홍수
태풍의 피해 감소 대책
정확한 예보 체계를 구축하고, 선박을 대피 시키며, 축대나 담장을 보수하고, 배수 시설을 점검 해야함.
- 발생: 홍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재해로 여름철에 장마전선과 태풍으로 인한 집중 호우시 발생하고 있다.
국지적으로 단시간내에 많은 양의 강 한 비가 집중하여 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3. 폭설과 산사태 예방 대책
가뭄
2. 산사태
(2) 산사태 예방 대책
1)우리나라의 홍수, 가뭄, 태풍은 어떤 영향을 줄까??
2)우리나라의 폭설, 산사태는
어떤 영향을 줄까??
숲 가꾸기 산사태 예측 주민 대피 체계 지속적 관리
사방댐 설치
사방 댐
여기서 잠깐!
산사태란??
흙,바위, 나무 등이 지형적, 기상적인 원인에 의하여 산지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는 현상이다.
(1) 폭설에 대한 대책
홍수 피해 사진
- 원인: 집중호우,지진,화산폭발,산지개발 및 산림벌채 등에 의해 발생
발생: 우리나라에서 가뭄은 가을철에서 봄철에 이동성 고기압이 오랫동안 머물때 발생하여 농작물 제배에 영향을 준다.
피해: 농작물 재배에 영향, 봄철 파종기에 심각한 피해 유발
인명 및 재산 피해 발생
건축물 설계 제설 작업 교통 소통 대책 개인적 노력
우리나라의 홍수 피해(전라남도 순천)
2011년 7월 장마철 집중 호우로 홍수가
발생하여 비닐하우스가 물에 잠겼다.
- 피해: 폭우와 영향으로 제방 붕괴, 배수 시설 부족으로 인한 홍수 피해(농경지 및 주거지 침수, 시설 붕괴 등))
이동성 고기압이란??
중심위치가 머물러 있지 않고 움직이며, 비교적 규모가 작은 고기압
5. 자연재해와 인간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