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몽골의 역사

몽골의 민주주의 시대

  • 1959년 12월

인민 경영주에 대한 협동 종합화 완료, 사유재산 소유제 기능 상실

  • 1960년

몽골인민공화국, 신헌법승인 사회주의 실현

  • 1960년~1990년:

몽골인민공화국의 사회주의 건설을 완료

일당독제체제가 내부적으로 쇠락을 초래

1990년에 발생한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 운동은 몽골 민주화 운동의 외적 요인

  • 1989년 12월 10일:

몽골민주연맹 결성을 공식 선포

  • 1990년 2월 18일:

제1차 몽골민주연맹 대회의에서 몽골인민혁명당에 이어 몽골 역사상 두 번째 정당인 몽골민주당이 창당

  • 1990년 5월 10일

몽골인민공화국 헌법을 개정함으로써 합법적인 다당제 체제를 인정

7월 29일 민주적 절차에 의한 최초의 자유선거를 실시

몽골인민혁명당의 푼살마긴 오치르바트가 몽골인민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

몽골제국 시대

(1) 칭기즈칸의 등장

(2) 몽골제국의 부흥

4. 쿠빌라이칸

2. 귀위크칸

별 내용 없음

1. 오고타이칸

3. 몽케칸

·1260년: 쿠빌라이칸이 대칸에 즉위, 이에 반대하는 사한국이 독립을 선언

·1271년: ‘대재건원’에서 그 뜻을 취하여 ‘대원’이라는 국호를 선포

·1272년: 현재의 베이징에 위치한 새 수도 ‘대도’를 완공, 대도와 상도를 오가는 양도순행을 실시

·1272년: 남송을 정벌

·1274,1281년: 고려와 연합하여 두 차례 일본 정벌에 나섰지만 태풍으로 실패

·1292년: 인도차이나 자바 섬 원정

→ 유라시아 대륙에 몽골 세계제국을 건설, 이로 인해 국제 교역이 대폭 증대

·1229년: 오고타이칸이 2대 칸으로 등극

·1234년: 금나라를 정복

·1235년: 수도 카라코룸을 건설

·1240년: 바투가 이끄는 대규모 서방 원정을 시작

→ 이로써 초원지대를 통치하던 유목 국가로서의 성격을 벗어나 정주·농경국가를 지배하는 세계 제국으로 발돋움하게 됨

· 1162년: 테무친의 탄생

· 1186년: 테무친이 여러 부족들을 통합하고 몽골 부족의 ‘칸’으로 즉위(1차 즉위)

· 1206년: 주변 부족들을 정벌하고 ‘칭기즈칸’으로 즉위, 천호제를 조직, 나이만을 정복(2차 즉위)

· 1207년~1211년: 주변 나라들을 복속하고 금나라와 전쟁을 시작

· 1219년: 칭기즈칸의 네 아들과 주요 장군이 모두 참여하는 대규모 원정을 통해 호라즘 및 서방 원정을 시작

· 1225년: 호라즘을 멸망시키고, 중앙아시아·서아시아 도시들 초토화, 지배하지 않고 전군 철수

· 1227년: 탕구트 원정 도중 사망

·1251년: 몽케칸이 대칸에 즉위,

원난과 티베트 지역을 평정

·1252년~1254년: 2차례 고려를 침공

·1258년: 페르시아 및 소아시아 일대를 장악

·1259년: 남송 원정 도중 몽케칸 사망

(4) 몽골제국의 역사적 의의

(3) 원의 쇠망

내적 요인 :

-쿠빌라이칸의 사망 이후 대칸위 계승권을 둘러싼 왕실 내부의 분열

-라마승의 횡포로 국가 재정의 파탄

-가뭄, 홍수, 지진 등 잇따른 자연 재해의 발생

외적 요인 :

·1368년: 주원장(홍무제)이 이끄는 명나라 군에 의해 몽골고원으로 패퇴

·1483년: 몽골의 러시아 지배가 종료

몽골제국의 의의 → 진정한 의미의 ‘세계제국’과 ‘세계사’를 실현

1. 유럽과 아시아에 걸친 대제국을 건설

2. 육상·해상 교통로를 발달시키고 국제 통신망을 건설함으로써 동서 간 경제·문화 교류를 촉진

3. 기독교와 이슬람교를 동방에 전파

4. 지리학·천문학·역학·수학·지도제작법 등을 전래, 신항로의 발견을 촉진

북원과 명의 대결시대, 청 복속 시대

14세기 말~ 15세기 중반: 몽골의 정치적 분열, 내분

18세기 : 청에 복속

‘6만 호 몽골(동몽골)’과 ‘4만 호 오이라트(Oirat, 서몽골)’로 나누어졌다가, 다시 ‘6만 호 몽골’이 남북으로 분열되어 3개의 독립국을 형성하였다. 오이라트는 15세기 말, 캅카스(Kavkaz) 산맥 북쪽에 정착하여 현재 러시아연방공화국 내 칼미크(Kalmyk) 공화국을 형성

오이라트의 에센 타이시가 대칸에 등극하지만 1455년에 사망. 이후 오이라트는 급속히 와해됨.

-1717년: 청이 몽골 전역을 장악함.

-1727년: 청과 러시아가 캬흐타(Kyakhta) 근처의 보오린(Bohlin) 골에서 ‘보오린 조약’을 체결해 현재 몽골과 러시아 간의 국경선을 확정하고, 캬흐타에서 ‘캬흐타 무역 조약’을 체결하였음. 청은 한족과 만주족을 몽골 지역에 이주시키는 등 동화정책을 추진하였다.

17세기: 서부의 오이라트(Oirat),

동부의 할흐몽골,

고비 남쪽의 내몽골로 분리

-1626년: 후금의 홍타이지(HuángTàijí)가 차하르 부를 공격하자 이에 대항해 링단 칸은 호르친(Khorchin)을 공격함.

-1632년: 홍타이지는 링단칸을 정복하기 위해 자신이 직접 출전해 정벌을 감행함.

-1634년: 링단 칸은 허흐노르로 피신을 가던 중 천연두에 걸려 사망. 링단 칸의 사망으로 칸을 중심으로 하는 지도자 공백 상황이 발생.

-1636년: 내몽골의 16개 아이막(Aimag), 49개 호쇼의 왕공들은 홍타이지를 몽골의 대칸으로 인정하고, 내몽골은 만주(후금)에 복속됨

-1689년: 청·러시아 간 네르친스크 조약(Nerchinsk條約)으로 청·러시아 간 국경선을 확정하였는데, 부리야트 몽골을 비롯한 북부지대는 러시아에 합병됨.

-1691년: 할흐몽골, 내몽골 왕공들의 회맹을 통해 몽골은 청에 복속되었됨.

몽골의 북방 유목민족 시대

몽골의 독립

2. 유목제국

1. 기마유목민

1924년 11월 26일

1921년

몽골인민공화국 선포

(세계 두번째의 사회주의 국가)

1912년~1919년

· 몽골 계통: 선비, 유연, 거란, 몽골

· 튀르크 계통: 흉노, 돌궐, 위구르

· 퉁구스 계통: 여진, 만주

몽골혁명의 아버지 담디 수흐바토르 몽골인민당 창당

소비에트 적군과 연합

중국군 몰아내고

7월 11일 독립선포

몽골은 러시아 보호하에 자치주로 존립

그러나 다시 중국의 공격을 받게 됨

기원 전 2천 년 ~ 1천년년 사이에 거주

“도시도 성채도 갖지 않고 어디를 가나 집을 가지고 다니며, 모두 말 위에서 활을 쏠 줄 알았고, 농사가 아니라 가축을 키우며 살았다.” - 헤로도토스 「역사」

“물과 풀을 따라 옮겨 다니며 살아 성곽이나 일정한 거주지가 없고 농사를 지어먹고 살지 않았으나, 각자가 나누어 갖고 있는 땅은 있었다. ··· 어린 아이들도 양을 타고 돌아다닐 수 있으며 활을 당겨 새나 쥐를 쏘아 맞추고, 조금 크면 여우나 토끼를 쏘아 맞추어 식량으로 삼았다. 남자들은 힘이 세고 활을 잘 다룰 수 있어 모두 무장 기병이 되었다.” - 사마천 「사기」

1939년

5월 ~ 8월

1946년 2월

일본이 몽골 침입

할힌골 전투 발발

몽골은 소련과 연합하여 일본격파

외몽골은 중국이 몽골인민공화국으로 인정

내몽골은 1947 5월 중국의 자치구로 편입

design by Dóri Sirály for Prezi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