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온라인 평생학습 플랫폼 '늘배움'
2.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K-MOOC
3. 평생교육 이러닝 포털 시스템
4. 전문 인재 양성 플랫폼 구축(2018)
5. 학점 인정 및 연계 시스템
6. 전문인력정보은행제 도입
7. 평생교육 행정정보시스템 구축
8. 블록체인 기반 학습이력 관리
시사점
에듀테크 연구소
인평원의 역할 : 평생교육지원체제
교육도시 설계를 위해 우선적으로 학습교환 설계
Introduction
부산대 컴퓨터공학과 졸업
부산대학교 멀티미디어협동과정 석사 졸업
부산대학교 멀티미디어협동과정 박사 졸업
(주)유니엄 컨설팅 개발팀장/이사
(주) 유니콘에듀 대표이사
다빈치에듀테크연구소 이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컨설턴트
과학창의재단 전문가멘토
부산대학교 산학협력중점교수
부산대학교 컴퓨터 및 정보통신연구소 연구교수
2017년 교육부장관상 수상(컨소시엄 우수)
2018년 교육부장관상 수상(공로상)
2019년 교육메세나탑 수상
2019년 부산시교육청 교육감상 수상
2019년 EBS 미래교육 플러스 패널 출연
360VR 콘텐츠 공유 플랫폼 http://360cam.kr
AR Career
VR ART
- 사회 모든 것이 네트워크화
- 노인 학생 비율이 절반을 넘는 평생학습의 세상
- 교육포탈에서 즉시 학습하는 적시학습(Just-in-time-learning)의 시대
-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험해보고 배우는 시대
- 아바타가 교사 대역
- 3~6개월 대학인 마이크로 칼리지 확산
- 직업의 창출과 소멸주기가 빨라짐에 따라 진로교육측면에서 인재상 변화
- 존재하지않던 일자리 생성하는 능력이 필요
- 사회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융합지식의 응용역량과 욕구를 읽어내는 감각 중요
- 노동시장의 양극화로 인해 교육부분에서 양극화 심화
- 학교의 단순교육기능이 아닌 지역사회의 기관과 연계를 강화하여 네트워크형 교육체제로 발전
(출처 : 유엔미래포럼 밀레니엄 프로젝트 2030)
산업구조의 변혁
세계 교육혁신 트렌드
- 디지털 기술이 제조업을 변화시킴
- 시스템을 통해 사물인터넷과 통신
- 5G고속망을 활용한 실시간 협업
- 생산성 향상을 위해 데이터를 활용
- 인공지능 인재양성을 위해 교육혁신 이니셔티브 추진
- 칸랩스쿨과 미네르바스쿨 등을 통해 글로벌 교육의 방향성 제시
- 버지니아의 페어팩스 카운티는 공립학교의 혁신
- 에콜42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특화된 교육시스템을 제공
- 실무형 인재 양성(한국 혁신아카데미 추진)
- 4차 산업혁명을 향한 인재육성 종합 이니셔티브
- 과학기술 및 게임산업의 강점을 통해 교육혁신
Digital Transforamtion
- Digitize(Digitization)
- 물리적 포맷의 정보를 디지털 포맷으로
- 디지털 방식으로 정보를 이용하고 접근
- Digitalize(Digitalization)
- 기존의 사업에 기술을 적용
-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프로세스를 디지털화
- Digital Transformation
- 디지털 기술을 사회 전반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사회 구조를 혁신시키는 것.
-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솔루션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플랫폼으로 구축·활용하여 기존 전통적인 운영 방식과 서비스 등을 혁신하는 것을 의미
- 디지털 전환을 추진한 사례로, 아마존 AWS, 제너럴 일렉트릭(GE)의 프레딕스 플랫폼
-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통해 제4차 산업혁명이 실현
교육혁신 사례
세계 에듀테크 트렌드
실감화 연결화 지능화 융합화
(실감화) VR/AR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콘텐츠, 플랫폼, 단말 등 전 교육 가치사슬 단계의 진화를 의미
(연결화) 교육의 모든 관계자가 연결되어 기존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교육서비스 창출
(융합화) 기반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학종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다양한 교육방법들이 융합되어 총체적인 교육의 변화를 촉발
(지능화) 인공지능을 통해 개인의 수준과 역량을 분석하여 개인별 맞춤형 교육을 구현
-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새로운 기반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영역이 융합되고 경계가 허물어지는 컨버전스 현상이 나타남.
-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반 기술이 적극 도입됨으로써 융합화의 추세는 가속화됨
<그림 > ‘실감화’ 교육혁신(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원, KEIT PD Issue Report, 2013)
<그림 > 지능화 패러다임의 진화 단계(출처:한국정보화진흥원 미래전략센터)
<그림 > 전통적인 교육과 초연결교육의 비교(출처:휴넷 에듀테크연구소)
<그림 >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교육의 진화(출처:Envisioning)
Need for Re-Education
- 기술변화와 4차산업혁명이 사회전반을 급격하게 변화시킴
- 직업의 생성/소멸주기가 급격히 짧아짐
- 세계화와 다문화
- 고령화
- 가족구조의 변화
- 기존의 교육시스템은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지못함
- 미래직업세계에 맞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배울지(교육방법)를 혁신 필요
- 개별맞춤형, 언제어디서나, 창의성, 협엽, 융복합 문제 해결, 적응력, 리더십
- 전방위적인 변화에 따라 학교교육까지 모두 아우르는 혁신적이고 유연한 재구조화를 통한 평생학습체제 필요
Digital Literacy
-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에 빠르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Digital Literacy' 요구됨
- "21세기 문맹인은 읽고 쓸 줄 모르는 사람이 아니다. 배운 것을 잊고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없는 사람이다." (Alvin Toffler)
- Information Literacy - 정보를 탐색하고 분석하여 가공할 수 있는 능력
- Media Literacy - 미디어를 이해하고 저작할 수 있는 능력
- Technology Literacy - 도구와 기술을 다룰 수 있는 능력
- SNS Literacy -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소통 행위와 정보 생산 행위가 갖는 의미와 영향을 파악하는 능력
- 디지털 리터러시는 기술과 도구 사용능력, 인포메이션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SNS 리터러시 등을 포괄하는 개념
- 그래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와 기술 활용 능력을 의미하는 디지털 시민으로서의 필수적이고 보편적인 능력을 의미
- 시민의 지적 역량과 학습 능력이 한 사회와 국가의 현재와 미래의 운명을 결정
- 미국이 최고의 강대국으로 만든 출발점 언론 자유와 시민들의 문해력 향상
- 디지털 시민성을 높이기 위해 모든 시민에게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
- 따라서, 4차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갈 디지털 시민들에게 적합한 재교육이 필요함
4차 산업혁명시대
평생교육과 에듀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