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Filament
은하들이 특히 많아 긴 끈처럼 보이는 지역
우주는 거대 가락과 거대 공동이 있어 마치 스폰지와 같은데, 이처럼 많은 은하가 모여 나타내는 우주 구조물을 우주 거대 구조라고 한다.
은하가 특별히 적게 발견되는 지역
Void
이러한 우주 거대 구조는 물질분포의 미세한 간격의 차이가 중력의 영향으로 변이가 커져서 만들어진 것이다.
우주의 변화 컴퓨터 모의 실험
▶ 우주의 전체 구조 이해하기
▶ 우주의 미세한 밀도 변화의 존재 알기
우주 거대 구조: 거대 가락, 거대 공동
우주에 아주 미미한 밀도변화로 현재 우주를 만들었다.
1. 다음 그림은 슬론 탐사가 밝힌 우주 거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은하들이 특히 많이 분포하여 긴 끈처럼 보이는 지역을 거대 공동(void)이라고 한다.
② 은하들이 특히 적게 분포하여 빈 공간으로 보이는 지역을 거대 가락(filament)이라고 한다.
③ 우주 거대 구조에서 은하들의 분포는 균일하다.
다음 시간엔
④ 우주에서 물질의 분포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불균일해진다.
⑤ 초기 우주는 물질 분포가 완벽히 균일하였다.
우리 은하의 구조
헤일로, 원반, 중앙 팽대부로 구성됨
1. 원반의 부피를 계산해 보자.
2. 원반에 존재하는 별 하나가 평균적으로 차지하는 부피를 계산해 보자.
3. 계산 결과로 보아 우리 은하 원반에 존재하는 별들 사이의 평균 거리는 대략 얼마라고 볼 수 있는가?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의 거리는 약 4.2 광년이다. 이와 비교해보자.
-우리 은하를 둘러싸고 있는 중력장임
-대부분 암흑 물질로 구성됨
-구상성단, 100억년 이상의 늙은 별들이 존재
-우리 은하 생성 초기에 탄생했을 것으로 추측
-우리 은하 중심부의 납작한 타원체
-오래된 별로 구성됨, 젊은 별들도 공존
-중심부에 초거대 블랙홀이 존재
-수많은 별과 기체가 있음
-약 2억년에 한 번 회전
-활발히 별이 만들어지고 있음
약 10만 광년
-분류 기준 : 나선팔의 유무와 형태
-타원 은하, 렌즈형 은하, 정상 나선 은하, 막대 나선 은하,
불규칙 은하로 분류함
-나선은하는 나선팔이 감긴 정도에 따라 a,b,c,d로 세분
-타원은하는 둥글기에 따라 둥근 것부터 납작한 순으로
E0, E1, ..., E7으로 분류
3만광년
정상나선은하
반지모양나선은하
막대나선은하
타원은하 나선은하
겉모양 타원형 나선팔 가짐
구조 헤일로, 중앙 팽대부 헤일로,원반,중앙 팽대부
색 붉은색(늙은별) 파란색(젊은별)
별의 주로 나이가
나이 오래된별 다양함
기체 고온의 기체 존재 다량의 저온 기체 존재
발견위치 은하단과 같은 저밀도 지역
고밀도 지역
질량 다양 다양
초거대 보통 태양 보통 태양
블랙홀 질량의 수억 배 질량의 수백만 배
렌즈형은하
타원은하
불규칙은하
은하의 충돌
두 은하의 충돌
정리하기
(1) 우리 은하
(가) 은하의 종류: 막대 나선 은하
(나) 우리 은하의 크기: 약 10만 광년
(다) 우리 은하 속 태양계의 위치: 은하 중심으로부터 약 3만 광년
거리의 ( )에 위치
(라) 원반 두께: 1000광년
(마) 원반에 존재하는 별: 약 5×10 개
나선팔
10
헤일로
(2) 우리 은하의 구조
(가) ( )
① 우리 은하를 둘러싸고 있는 중력장임
②대부분 암흑 물질로 구성됨
③구상성단, 100억년 이상의 늙은 별들이 존재
④우리 은하 생성 초기에 탄생했을 것으로 추측
(나) ( )
① 수많은 별과 기체가 있음
② 약 2억년에 한 번 회전
③ 활발히 별이 만들어지고 있음
원반
중앙 팽대부
(다) ( )
① 우리 은하 중심부의 납작한 타원체
② 오래된 별로 구성됨, 젊은 별들도 공존
③ 중심부에 초거대 블랙홀이 존재
정리하기
긴
(3) 외부 은하
(가) 허블은 세페이드 변광성의 밝기와 변광 주기를 관측하여 변광성까지의 거리를 알아내었다
→ 세페이드 변광성이 속한 성운이 외부 은하임이 밝혀졌다.
(나) 세페이드 변광성과 거리
① 변광성은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함 → 절대 밝기가 밝을수록 변광 주기가 ( ) 특징을 가짐
→ 변광 주기를 측정하면 절대 밝기를 알 수 있음
② 절대 밝기와 겉보기 밝기를 비교하여 거리를 산출함
(4) 다양한 모양의 은하
(가) 은하의 분류
① 타원 은하(E0~E7), 렌즈형 은하(S0), 정상 나선 은하(Sa,Sb,Sc),
막대 나선 은하(SBa,SBb,SBC), 불규칙 은하(Irr)로 분류함
② 나선팔이 감긴 정도(a,b,c,d)와 둥글기(E0, E1, ··· , E7)로 세분함
붉은색
파란색
오래된
타원은하 나선은하
겉모양 타원형 나선팔 가짐
구조 헤일로, 중앙 팽대부 헤일로,원반,중앙 팽대부
색 ( ) ( )
별의 주로 나이가
나이 ( )별 다양함
기체 고온의 기체 존재 다량의 저온 기체 존재
발견위치 은하단과 같은 저밀도 지역
고밀도 지역
질량 다양 다양
초거대 보통 태양 보통 태양
블랙홀 질량의 수억 배 질량의 수백만 배
세페이드 변광성과 거리
외부 은하
밝은 세페이드 변광성일수록 변광 주기가 길다(더 천천히 깜빡거린다). 그러므로 맥동 변광성의 변광 주기를 측정하면 그 변광성의 실제 밝기(절대 등급)을 알 수 있다.
세페이드 변광성(별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여 크기가 변하면서 별의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변광성) 중에서 특히 변광 주기가 1일~50일인 별
변광 주기가 15일인 별은 절대 등급이 약 -4.5이고, 변광 주기가 30일인 별은 절대 등급이 -5.5이다. 즉, 변광 주기가 짧을 수록 광도가 낮아 절대 등급이 높아진다.
① 변광 주기는 15일, 평균 겉보기 등급은 4등급이다.
② 변광 주기가 15일이므로 절대 등급은 -4.5등급이다.
③ 별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줄어든다.
3. Stars tale
생각열기. 우리 몸을 이루는 원소는?
중력과 기체압의 평형
별의 질량
별의 진화
적색 거성 단계의 별
질량이 큰 별의 최후
적색 거성 단계의 태양
질량이 작은 별의 최후
우주에서 배우는 노블레스 오블리주
함몰함 → 중심부 온도가 1억 K 정도로 높아짐 → 헬륨 핵융
합이 시작됨
→ 표면 온도 낮아짐
탄소, 산소까지 만들 수 있음
백색 왜성이 됨
예) 목성 : 목성은 태양 질량의 0.1%로, 별이 되지
못하고 식어 행성이 됨
→ 두 힘이 평형을 이루어 별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됨
헬륨 핵융합
수소
핵융합
수소 핵융합
[질량이 큰 별의 내부 구조]
수소
핵융합
탄소핵
우리 태양계가 탄생하기 얼마
전 이름 모를
초신성 하나가
뿌린 다양한
원소들로 가득찬 기체 구름에서 태양계가 생기고 생명이 시작되었다.
수소 핵융합 반응
탄소핵 생성
적색 거성
수소 핵융합 반응
우주에서 배우는 노블레스 오블리주
별의 진화 과정
질량이 큰 별의 최후
→폭발 중에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짐
→ 태양 질량의 10~20배인 별은 중성자별로 진화
→ 20배이상 무거운 별은 블랙홀로 진화
질량이 큰 별은 적색 초거성에서 철을 생성한 이후에 초신성폭발을 통해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진다.
수소
핵융합
헬륨
수소
초신성 폭발로 생긴 성운들
태양계
2.99999K
3.00000K
은하 중심
은은 강하 물수
3.00002K
2.99998K
헤일로
2
원반
3.00003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