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뇌의 손상과 우뇌의 보상이론
태아기 때 뇌는 우반구가 먼저 발달, 좌반구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태
뇌의 성장속도 가속화됨.
다른 뉴런들과 연결되지 못한 뉴런들 중 대부분은 태어나기 직전에 소멸.
좌반구가 손상되면 이를 보상하기 위해 우반구에 상당한 수의 뉴런이 생기게 됨.
우뇌의 기능이 과도하게 편재해 있는 불균형적인 뇌구조를 가지게 됨.
자폐증환자 열 명 중 한 명,
뇌 손상이나 발달장애를 가진 사람들 중 2천 명 중 한 명 꼴.
여성에 비해 자폐증 발병 확률이 높은 남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
Jhon Langdon Down 박사에 의해 처음 소개됨.
●
idiot(바보)+ savant(박식한 사람) 합성어.
●
현재는 ‘savant syndrome’이 더 널리 쓰이고 있음.
●
뇌 기능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특정 분야에서 천재성을 갖게 되는 현상.
- 킴 픽 (Kim Peek)
걸어 다니는 백과사전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엄청난 정보를 기억함
뇌량이 없어서 좌뇌가 우뇌에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없음
사진 출처: http://condition.org/sa5.c.htm
1. 일기 쓰기
2. 신문이나 드라마를 본 후내용 떠올리기
3. 틈틈히 5- 10분 명상&친구, 직장동료들과 산책하기
4. 게임하기, 30분 이내로
식생활 개선과 함께 멘탈 에어로빅을 하면 더 효과적
- 뇌 기능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특정 분야에서 천재성을
동시에 갖게 되는 현상.
- 좌뇌의 손상과 우뇌의 보상이론
- 엄청난 양의 개인적 경험을 기억해 낼 수 있는 능력
- 편도체
- 대뇌
- 전두엽
●
경험을 통하여 개인을 형성하게 하고, 개인의 뇌와 행동을 변화시키는 기제와 과정
●
서술적 기억: 사실적 지식과 개인의 경험에 대한 장기기억
- 의미기억
- 일화적 기억 : 개인의 경험에 대한 기억
: 사실적 지식에 대한 기억
- 퀘르세틴
- 오메가 3
- 고과당 식품 지양
- 유산소 운동
- 게임
1. 편도체
2. 대뇌
●
대뇌구조의 24개 영역이 일반인에 비해 큼.
●
우 편도체가 정상인보다 약 20%정도 큼.
우 편도체는 자전적 기억* 관장.
-> 자전적 기억의 암호화와 재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
3. 전두엽
●
HK
- 과학 문헌에 보고 된 유일한 2번째 케이스.
일반인은 오래된 과거의 기억을 우전두엽에만 저장.
과잉기억증후군을 앓는 사람은 우전두엽, 좌전두엽에 모두 저장.
- 삶에서의 사소한 일을 모두 기억.
*자전적 기억: 삶의 연대기, 개인적인 기억이 저장되는 부분
p4.
강석기, 「과학을 취하다 과학에 취하다」, MID출판, p.147
p5-6.
안수경,「서번트 증후군을 가진 학생의 가정생활과 학교생활 사례연구」, 2006, p.4~15.
p9.
질 프라이스, 배도희, 「모든 것을 기억하는 여자」, 북하우스, 2009, p.9, p49
p10.
조연경, 「과잉기억증후군, 인생 통째로 기억 ‘부럽다VS고통’ 원인불명」, 뉴스엔, 2012.02.12
p11.
Brandon A. Ally, PhD,1,2,3 Erin P. Hussey, EdM,1 and Manus J. Donahue, PhD2, 「A case of hyperthymesia: Rethinking the role of the amygdala in autobiographical memory」
p12-13.
서유현(서울대 의과대학 교수), 「인체기행: 전두엽과 해마의 자극」
뇌 신경가소성을 가속시켜 작업기억력에 영향을 줌
●
Hyper (과도한) + Thymesis(기억) 합성어
●
엄청난 양의 개인적 경험을 기억해낼 수 있는 능력
+
과거경험을 기억하는 데 비정상적으로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경우
1. 질 프라이스 (Jill Price)
2006년 '뉴로케이스'에 등장한 첫 여성의 사례
11세 이후 자신에게 일어난 일을 기억.
14살 이후의 삶을 완벽하게 기억.
암기력에는 취약, 기타 인지능력은 평범.
- 기억력 향상을 위해서는 뇌세포가 파괴되는 것을 막고, 뇌세포를
더욱 단단하게 만드는 게 중요.
- 해마의 용적을 늘리는 것 또한 기억력 증진에 영향을 미침.
-세로토닌
뇌 신경가소성에 영향을 미치는 뇌신경세포 생성 관련인자
유산소운동은 세로토닌 농도를 증가시켜 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
-테스토스테론
뇌의 신경세포 생성과 가소성에 영향
- 뇌세포가 파괴되는 것을 막아줌.
- 사과, 키위, 양파
- 뇌세포의 막을 단단하게 만들어줌.
->정보전달이 잘 될 수 있도록 도와줌.
- 등푸른 생선
-지나친 당분의 섭취는 해마를 손상
-해마가 손상되면 치매 위험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