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 presentamos 

Prezi AI.

Tu nuevo asistente de presentaciones.

Perfecciona, mejora y adapta tus contenidos, busca imágenes relevantes y edita elementos visuales más rápido que nunca.

Cargando…
Transcripción

The Era of the Pacific Ocean

1858 - 1914

이 시기의 세계 선교의 특징들은 무엇인가?

이 시기의 배경

* 유럽 -> 기타 지역의 식민지화

* 북미에서의 2차 영적 각성 운동

* 영국의 인도 직접 통치 시작

* 일본과 중국의 개방/조약 체결

* 서양인의 아세아, 아프리카 내지 탐험

* 선교사들이 전 세계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역하게 되었다

* 세계 주요 언어 가운데 신약 성경을

대부분 가지게 되었다

* 현지인들이 선교사와 함께 선교하는

사람들의 출현

* 경계 너머의 경계를 넘어서

(해안 -> 내륙 -> 문화, 언어)

선교적 확장

중 국

1865

China Inland Mission

1. 초교파

2. 선교적 열정만 있다면 평신도도 허입

3. 현지에 지도부를 세운다

4. 현지인과 일체화

5. 일차적 목표는 복음 전도, 이차적 목표는 목회, 교육 사역

6. 내륙 전도

1. 1865년, 허드슨 테일러가 CIM을 설립

2. 서태후의 기독교 핍박

한 국

1. 1882년, 한미 수호조약

2. 1884년 알렌 선교사

1885년, 언더우드, 아펜젤러 선교사 입국

3. 1886년, 최초의 회심자

4. 1910년, 세례 받고 성찬 참여한 사람 숫자는 약 3만명

5. 존 네비우스의 자립, 자존, 자치 등의 10가지 선교 원칙

필 리 핀

1. 1898년, 미국의 필리핀 식민지화

2. 1889년, 미 장로회, 1900년, 미 침례, 감리교회가 필리핀에 도착

3. 1902년, 성공회가 미전도지역(루손, 민다나오)의 선교

인도네시아

1. 화란 교회의 신앙 부흥 -> 인도네시아 선교

2. 독일 레니시 선교회 -> 수마트라 바딱 부족

추장 개종 -> 집단 개종

토착적 교회의 출현

남태평양 - 베나와투

* 존 패톤의 타나섬 사역

남태평양 - 말리네시아 제도

* 존 콜러릿지 패터슨의 사역

1. 여러 섬 부족들의 언어를 익힘

2. 현지인들의 습관, 풍습 존중

3. 현지 소년들을 뉴질랜드로 데려다가 교육 후 고향에서 교사로 활동하게 함

4. 백인 상인들에게 현지인들이 유괴당한 사건때문에 현지인들에게 순교

남태평양 - 뉴 기니

* 1870년, 런던 선교회 선교사들의 상륙

* 1877년, 제임스 찰머스가 뉴 기니에서 25년간 사역을 한 후 1900년 플라이강 어구에서 원주민들에게 잡아 먹힘

* 1891년, 성공회 선교사들의 상륙, 1898년, 첫 감독 부임

* 1898년 감리교 선교사들이 동쪽 해안에서 선교

남태평양 - 이리안

* 1861년 우트레히트선교회의 선교사 파송

* 1886년, 노이엔뎃테슬라우선교회가 요하네스 프렐를을

파송했고 13년이 지난 후 첫 영적 열매를 거둠

* 1887년, 레니쉬선교회도 선교사를 파송했고 16년이

지난 후 첫 영적 열매를 수확

* 기독교인이 된 현지인들은 자신의 부족에게 같은 동족으로

인정받지 못함

* 크리스티안 카이제르의 선교가 부족 단위의 회심을

일으켰고 1960년대에 20만명의 루터교인들이 존재하게 되었다

* 일본

1. 1858년, 미국과 일본의 조약으로 일본내 거주 미국인들의

신앙 생활, 예배당 건축 용인

2. 1859, 1869년 미국 선교사들 입국

3. 1866년, 채닝 윌리암즈의 첫 세례

4. 1872년, 제임스 말라가 9명의 청년에게 세례를 주었고

이들이 일본 최초 개신교 교회 설립

5. 1876년, 35명의 학생들이 예수를 믿기로 결정

6. 동지사 대학

7. 1880년대 일본 개신교의 급성장

8. 1912년, 일본 3대 종교는 신도, 불교, 기독교로 선정

이번 주의 학습 과제

선교적 확장

인도 내의 정령 숭배자들에 대한 선교

* 고스너선교회의 비하르 선교

1. 1839년부터 20년동안 5곳에 선교기지 설치

2. 1857년, 900명이 세례를 받음

3. 성도 20만의 고스터복음루터교회 설립

인도 내의 정령 숭배자들에 대한 선교

*라르즈 올젠 쉬크레프스의 비하르 산탈부족 선교

1. 고스너선교회를 통해 인도에 부임

2. 1867년, 선교회 설립

3. 산탈리어 문법 저술

4. 현지인 식의 교회 설립

5. 1901년, 현지 성도 수 15000명

인도 내의 정령 숭배자들에 대한 선교

* 아쌈지역 선교

1. 1841년, 웨일즈 칼빈주의 감리교의 선교

2. 1891년, 1만명의 기독교인, 성경 번역

3. 1860년대 이후, 미 침례교는 고원지역에서 선교

인도 내의 정령 숭배자들에 대한 선교

* 불가촉 천민 선교(전체 인구의 1/5)

1. 1840년 이후 미 침례교가 텔루구 지역에서 사역

2. 존 클로우 목사의 집단 개종 운동

3. 1882년, 성도 수는 20865명

4. 백만명의 기독교인

5. 추라족의 개신교화

중 동

* 기독교 변증 서적 출판

* 이란

1. 로버트 브루스의 사역

2. 에드워드 크레그 스튜어드의 사역

3. 토마스 발피 프렌치의 사역

4. 사무엘 즈웨머의 사역

중 동 - 이집트

1. 1882년 영국의 통치령

2. CMS 병원은 의료, 전도 사역의 중심지

3. 더글라스 쏠튼, 템플 가드너의 사역

4. 정기 간행물 "동양과 서양"을 통해서 이슬람과 기독교 비교, 변증

중 동 - 북아프리카

1. 1829년, 성공회 선교사들의 선교

2. 1882년, 북아프리카 선교회 설립

남부 아프리카

나일강, 나이지강, 잠베지, 콩고 등을 유럽이 탐험, 선교사들이 들어감

아프리카 부족의 추장: 통치자, 권력자

선교사들은 추장의 참모로서 전도와 교회 성장을 꾀함

서부 아프리카

* 카메룬

1. 1858년 알프레드 세이커 입국, 1872 성경번역

2. 영국 침례교 -> 스위스 개혁교회(바젤선교회) -> 파리선교협회

* 나이지리아

1. CMS 선교회의 순수 아프리카 선교부 설립 계획

2. 씨에라리온 기독교 지도자들을 통한 선교

서부 아프리카

* 콩고

1. 신천지 개척과 선교의 병행

2. 현지인 선교사 조사의 등장

3. 델 크로우포드

동부 아프리카

* 우간다

1. 1862년, 스피크 입국

2. 1875년, 스탠리의 호소 편지

3. 1876년, CMS 선교사들의 도착

4. 1885년, 현지어로 마태복음 번역 개정판 완료

5. 1894년, 영국령 후 개신교, 천주교 구역이 나뉨

6. 1896년, 6905명이 세례받고 5만명이 대기

동부 아프리카

* 탄자니아

1. 독일의 식민지였기에 독일인 선교사들의 사역

2. 중앙아프리카 대학선교회의 사역

3.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의 사역

* 케냐

1. 성공회, 연합감리교, 장로교, 기타 여러 단체들의 사역

남 미

* 브라질

1. 1855년, 로버트 켈리 박사의 20년 전도 사역

2. 1859년, 미국 장로교 입국

3. 1876년, 미국 감리교 입국

4. 1889년, 미국 복음주의 성공회는 브라질 남단에서 사역

남 미

* 콜롬비아

1. 1819년,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2. 스페인과의 강한 유대 의식

3. 1825년, 제임스 톰슨 입국

4. 1856년, 미국 장로교 입국, 교육 사역에 집중

중남미

1. 성공회 남미 선교 협회

2. 칠레의 아라우칸 인디언들의 남하

3. 파라과이의 평신도 선교사 바르브루크의 사역

1. 이 시기의 선교에 영향을 준 배경들은 무엇인가?

2. 이 시기에 세계 선교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3. 이 시기의 세계 선교의 특징들은 무엇인가?

* 인도

1. 1858년 이후 인도는 영국 제국의 직접 통치하에 들어감

2. 아리아 사마즈 운동

3. 나라얀 바만 틸라크

4. 라마바이

Descubre cómo crear presentaciones más dinámicas e interesantes con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