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우리 시대가 요구하는 대통령 리더십

대통령 리더십이 갖는 의미

대통령 리더십의 7대 필수 덕목

대통령 리더십이 갖는 의미

목차

1. 비전 제시와 실행 능력

  • 마키아벨리 《군주론》, “군주가 군주로서 갖춰야 할 덕은 모두 갖추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또 군주는 항상 인민을 생각하고 인민의 지지를 놓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 ‘왕이 길을 잃고 방황하면 그 대가는 백성들이 치른다’는 영국 속담처럼 대중은 지혜로운 군주를 구별할 수 있는 안목과 식견을 길러야 하는 것이 중차대한 임무라 하겠다. 대통령이 성공하는 것은 정부의 성공인 동시에 국민들의 의식수준도 평가받을 수 있는 성적표와도 같다.
  • 에딩거 : "현대 정치에서 리더십은 경제적 불안정, 전쟁, 등으로 그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 페이지 : "대통령의 리더십은 인간생활에 핵심적 의미가 있는 현상이며, 이를 이해하고 교육키는 노력은 인류의 복지 증진을 위한 가장 경제적이고 생산적인 투자라고 주장"

1. 대통령 리더십이 갖는 의미

2. 대통령 리더십의 7대 필수 덕목

3. James Baber의 직무태도유형

4. Meyer & Kelly 목표달성 유형

5. 국정 운영방식

6. 결론

  • 대통령의 리더십 = "정치"

  • 정치에서 리더십은 영향력이나 동의 보다는 강제력이나 권력에 의지해 집단의 목적을 달성하는 경우가 허다함

  • 대통령의 리더십 대상은 그 어떤 리더보다 영역이 광범위하고, 동원할 수 있는 리더십 자원도 다양하며, 리더십의 결과나 효율성에 따라 평가가 정해짐

  • 대통령의 리더십은 한 국가의 운명을 결정한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성공과 실패는 리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한 민족과 국가의 운명과 미래에 직결 → 국민이 잘살면서 국제적인 위상을 높히기 위해서 대통령 리더십의 성공이 필요
  • 대통령은 분명한 역사관을 기본 바탕으로 국민과 나라 전체가 함께 바라보고 나아가야 할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 이에 상응하는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실행 능력을 보여야 한다.

  • 국민은 대통령이 추구하는 목표에 공감대가 형성될 때 일체감을 느끼고 대통령의 정책을 지지하게 된다. → 국민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하는 리더십은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 거시적인 차원에서 한국사회 전체의 구조적인 변화에 대해서 이해

  • 미래사회에 대한 비전을 제시

  • 특히 한국 정치가 당면한 위기상황에 대해 본질적인 이해와 이론을 통한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

대통령 리더십의 7대 필수 덕목

2. 국정 및 경제성과 창출 능력

7. 커뮤니케이션 및 외교 능력

6. 위기관리 능력

5. 변화와 혁신 능력

4. 올바른 성격과 인품

3. 화합과 통합의 능력

  • 투명한 국가경영으로 건전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 리더는 도덕성이 필요함

  • 이러한 인품은 후천적이기 보다는 선천적이며, 권력을 갖게 되었을,때, 리더의 인품은 고스란히 보여지게 된다.

  • 빌클린턴 "르윈스키 스캔들", 윤창중, 채동욱
  • 국정을 통합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한 덕목

  • 민심을 잘 파악하여 이에 부합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분열되었는 민심을 화합,통합시키는 능력이 중요하다.

  • 넬슨 만델라의 "아파르헤이트 정책"에 대한 투쟁 끝에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인종과 민족간에 통합 사례
  • 대통령의 언어는 매우 중요하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국가 내부에서만 이뤄지는 게 아니라 자국의 위치를 국제무대에서 얼마나 신장시킬 수 있느냐 여부가 달렸기 때문이다.

  • 커뮤니케이션이 우수하다는 것에는 대통령의 위트, 즉 유머감각도 한몫 한다. 상대를 비난하는 언어가 난무하는 정치판에서 대통령의 위트는 갈등을 완화
  • 프랭클린 루즈벨트 - 그의 성격은 고집이 강했고 고압적인 태도와 독선적인 면이 많았다. 하지만 '노변정담'을 통해 부드러운 이미지 강조하였고 대공황의 경제위기를 뉴딜정책을 실시하여 극복해낸 역사적 인물로 평가 받음

  • 박정희 - 모두가 가난했던 시절,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새마을 운동의 실시로 괄목할 경제성장을 일궈낸 경제성과 창출능력이 뛰어난 대통령으로 평가 받음
  • 변화와 혁신에 능한 리더는 기존의 자원을 통해 새로운 가치나 부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난 리더

  • 급변하는 국제사회 환경 속에서 자국의 위치를 확고히 할 수 있도록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내는 것이야말로 생존확률을 높이고 국력을 높이는 길이

  • 국익을 우선하는 자세와 애민사상에 기반한 시대를 바꿀 뚜렷한 비전을 갖는 것이 중요
  • 각종 재난, 전쟁, 대형 사고 등과 같은 국가와 국민들의 생존에 위협을 가하는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가장 빛이 나는 건 대통령의 위기관리 능력이다.

  • 국가의 위기는 예고 없이 불시에 닥친다. 이럴 때 대통령은 남다른 기지를 발휘해 국가의 위기를 기회로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 아무리 좋은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해놓았다 하더라도 리더가 누구냐에 따라 실패할 수도 있다.

대통령

James Baber의 직무태도유형

국정의 시스템 운영방식

Meyer & Kelly 목표달성 유형

국정의 시스템 운영방식

결론

대통령

  • 직무 태도

  • 만족도
  • '세월호사고' 인한 국가의 위기 상황에서 박근혜 정부의 리더십이 요구되는 상황

  • 리더의 덕목을 모두 갖춘 지도자를 선거로 선출하기란 어려운 일 →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줄 인물을 내각으로 구성

  • 원추형 운영 → 방사형 운영

2. 원추형

  • 대통령이 원추의 꼭지점에서 하단부의 참모들에게 개별적으로 지시를 내리는 국정시스템

  • 뚜렷한 상하관계, 지시가 신속하게 전달, 보안유지가 용이

  • 유기적인 협조체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

3. 병렬형

  • 중심부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 대통령이 주변 조직들과 동등한 위치에 있는 국정운영

  • 민주적이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쉬움

  • 자칫 구심력을 상실하고 혼란을 겪으며 우왕좌왕할 수 있음

1. 방사형

  • 대통령을 중심으로 청와대 행정부 국회가 원을 그리듯 둘러싸고 있는 유형

  • 장점 : 콘트롤 타워가 탄탄, 지휘체계가 효율적

  • 단점: 콘트롤 타워가 붕괴될 시, 조직이 일거에 붕괴

전두환

노무현

김영삼

노태우

장면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