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1. 학생부종합전형이 대학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
2. 실제 고등학교 현장에 계시는 분들은 학생부 종합전형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요?
3. 우리가 생각했을 때, 학생부종합전형은 득과 실 중 어느 것이 더 많을까요? 이유는?
4. '정시로 돌아가자'라는 의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 현행 대입 제도에 대해 간단히 알아봅시다.
1) 수시 전형
- 학생부 종합 전형 : 내신 + 생기부 각 영역
- 학생부 교과 전형 : 교과 내신만 정량 평가
- 논술, 실기 등 기타 전형
2) 정시 전형 : 대학수학능력시험
1. 학생들의 다채롭고 활발한 학교 생활 촉진
2. 사교육을 뿌리로 한 수능 대신, 학교 생활에 충실하면
저소득층 및 농어촌 지역에 기회가 많다.
3. 객관식을 빨리 푸는 것만 강요하는 획일식 교육에서
어느 정도 탈피가 가능하다.
1. 객관성, 공정성, 신뢰성의 문제가 있다.
2. 오히려 다방면에서 뛰어나야하기 때문에 사교육을 더욱 조장해 빈부격차와 박탈감을 조성한다.
3. 학교 생기부에 대한 조작, 교사의 역량에 따른 생기부의 차이 등의 문제가 다양하게 발생한다.
- 수능 성적을 위주로 한 획일적 선발 탈피
- 학생의 활동을 근거로 다양성을 판별
- 대학 입학 제도의 자율성을 보장하고자 함
- 대학 입시의 한 형태.
외부 수상 등의 스펙이 아닌,
'학생생활기록부'와 '자기 소개서',
'교사 추천서' 등을 근거로 정성평가하는 제도.
- 2014년부터 꾸준히 늘어가는 추세
- 2019년 수시 전형의 상당 부분 비중을 차지
- 허나 지방의 대학들은 학생부종합전형을 많이 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입학 정원의 감소 및 전형에 드는 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