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권의 분포와 활용
바다가 지구 표면의 70%를 덮고 있기 때문이다.
수자원 사용량의 변화 해석
다음 그래프는 1900 년 부터 2000년까지 전 세계의 용도별 수자원 사용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수권의 물의 분포
그림은 같은 위도에 있는 사막과 해안 지방을 나타낸 것이다.
01 수권의 물: 바다에 있는 해수와 육지에 있는 담수로 구성
물의 순환
02 해수: 물의 대부분인 97.5%를 차지
학습목표
수자원 사용량의 변화 해석
농업용수
1. 수자원은 어떤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가?
-해수는 짜서 쉽게 이용하기 어려움
물은 바다나 육지로부터 증발(A,
C)이나 식물의 잎으로부터 증산(B)에 의해 대기로 이동하고, 비나 눈이 되어 지표에 도달하며(D), 하천수나 호수, 또는 지하수가 되어 바다로 되돌아온다(E,F)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가 모두 늘어났고,수자원의 총 사용량도 늘어났다.
2. 용도별 수자원의 사용량과 수자원의 총 사용량은 어떻게 변했는가?
해안 지방
03 담수: 빙하>지하수>호수나 하천수 순으로 분포
겨울에 더 온화한 기후를 나타내는 지역은 어디일까?
1. 지구 환경에 영향을 주는 물의 역할을 설명 할 수 있다.
-담수 중 77%를 차지하는 빙하는 얼어 있어 쉽게 이용하기 어려움
수자원 사용량의 변화 해석
3. 용도별 수자원 사용량의 변화가 위 그래프처럼 나타나는 까닭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2.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은 제한적이므로 물이 소중한 자원임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쉽게 이용 가능한 호수나 하천의 물은 지구 전체의 물 중 0.01% 에 불과 - 쉽게 이용 가능한 물이 극히 제한적
-인구 증가, 산업화, 인류의 문명 발달, 생활 수준의 향상 때문에 수자원 사용량이 늘어났다.
4. 앞으로 수자원의 총 사용량은 어떻게 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는지 토의해 보자.
-계속 증가하여 수자원의 고갈 문제가 생길 것이다.
수자원 사용량이 점점 증가하는 이유
수자원 고갈
01 늘어난 인구의 식량 생산을 위한 농업용수 증가
인구 증가로 인해 수자원의 수요가 증가하고, 물의 오염과 기후 변화로 인해 수자원의 공급이 줄어들 것이므로 물 부족이 우려된다.
02 산업화로 인한 공업용수 증가
03 문명 발달과 생활 수준 향상으로 인한 생활용수의 증가
수권
01 ( )은 다른 권에 물과 에너지를 이동시키며 지구 환경에 영향을 준다.
02 수권의 물은 해수와 담수로 구성되어 있는데, ( )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담수 중에는 ( )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해수
빙하
말라가는 황하: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로 강물을 마구 끌어다 쓰면서 강이 말라버리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줄어드는 아랄 해: 아랄 해로 흘러드는 물을 농업용수로 끌어다 쓰면서 아랄 해의 크기가 급격하게 줄었다.
수권
그림은 물의 순환을 나타낸 것이다.
물의 순환의 영향
수권의 물의 분포
01 수권: 지구 표면에서 물이 차지하는 부분
수자원
다음 그림은 지구 전체에 분포하는 물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02 수권의 물의 분포: 바다, 육지의 빙하, 지하수, 하천수와 호수
1) 수권의 물은 대부분 바다에 분포
01 수자원: 물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소중한 자원으로 쓰이므로 수자원이라고 부른다.
02 수자원의 이용
1) 생활용수: 인간이 일상적인 생활을 위해 소비하는 물
2) 공업용수: 산업 활동에 사용되는 묾로 산업체에서 제품을 생산하거나 생산 시설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
3) 농업용수: 농사를 짓거나 가축을 키우는데 쓰이는물
4) 하천 유지용수: 하천이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물
-지구 표면의 약 70%를 덮고 있으므로 우주 공간에서 지구를 보면 푸르게 보인다.
2) 물은 한 곳에 머물러 있지 않고 기권, 수권, 지권 사이를 끊임없이 순환하며 지구 환경에 영향을 준다.
(1) A ~ F 중 수권의 물이 기권으로 이동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 현황
A,C
(2) A ~ F 중 기권의 물이 지권으로 이동하는 것은?
03 수권의 물은 많은 양의 태양 복사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열을 공기 중으로 방출하여 생명체가 살기 좋은 기후를 만들어 준다.
04 바다는 따뜻한 열대 지방으로부터 찬 극지방으로 열을 운반하여 지구가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골고루 분산시켜 준다.
D
차시예고
추운 극지방이나 기온이 낮은 높은 산에 내린 눈도 계절이 바뀌면 사라질까?
물의 순환
수권의 물의 분포
01 물의 순환의 원동력: 태양 에너지
1. 수권의 물은 주로 어디에 분포하는가?
바다
2. 육지의 물은 주로 어디에 분포하며, 어떤 상태로 존재하는가?
02 물의 순환 과정 : 바다나 육지의 물이 태양 복사 에너지를 받아 증발 - 대기 중의 수증기 -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됨 - 눈이나 비가 되어 바다나 육지에 도달 - 육지에 도달한 물은 하천수, 호수, 지하수 등이 되어 다시 바다로 돌아감
육지(빙하), 얼음(고체)
ㅇ
x
3. 지구 상의 여러 곳에 분포하는 물 중에서 우리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물은 주로 어디에 있으며 그 비율은 얼마인가?
SUMMARY
호수와 하천수, 0.01%
ㅇ
x
7-1 지구 상의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