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content…
Loading…
Transcript

조별 보고서 코멘트들

1. 아프리카의 미신의 영향력이 큰데, 왜 그런가? 기독교 교리가 약해서?

2. 세속화 된 서구 -> 불신 사회의 배경에서

기독교인들이 갖추어야 할 것이 무엇일까?

360도 선교 -

C. Peter Wanger

* 90도 선교 -

특정 종족으로 선교사 파송, 복음 전도

* 180도 선교 -

사람들이 구원받고, 새로운 교회가 개척

* 270도 선교 -

신생 교회가 자치, 자전, 자립

* 360도 선교 -

신생 교회가 선교회를 조직하여 타문화권에서 선교

지중해 시대의 선교

로마제국 내외

이름도 모르는 선교사들

주로 아래로부터의 선교

사방으로 퍼지던 선교

예루살렘

로마

알렉산드리아

콘스탄티노플

이슬람

조직화된 선교의 시작

정교일치

목 차

위로부터의 선교

거의 유럽에 국한

무슬림과 대치

대서양시대의 선교

대발견의 시대

스페인 포르투갈의 천주교 선교

스페인

포르투갈

이태리

프랑스

교황청의 선교 (이태리, 프랑스)

개신교의 생존, 다툼

정교회의 중심 이동 -> 러시아로

모라비안-경건주의와 헌신

윌리엄 캐리

영국

미국

독일

북유럽

허드슨 테일러

학생자원운동

1. 지난 주 조별 활동 보고서의 코멘트들

2. 360도 선교

3. 19세기 비서구 교회의 선교적 시도들

4. 20세기 초반 비서구 교회의 선교적 시도들

5. 필리핀, 브라질, 인도, 중국,

한국의 타문화권 선교

일본 복음주의해외선교회

* 1956년에 설립해서 5명의 선교사를 버마, 오키나와, 대만, 필리핀에 파송

19세기

비서구 교회의

선교적 노력들

한국 교회의 선교

중국해외선교동맹

제 1기: 1912-1955, 태동기

* 1912년 조선 예수교 장로회 총회가 하나님께 감사의 첫 열매로 타문화권 선교 결정

* 1913년 5월, 11월 중국 산동성 내양현 일대에 선교사 파송

* 1937년이후 청도까지 선교 대상지역 확장

* 중국에서 의료선교, 맹인학교, 성경학교, 일반 학교 운영

* 일제강점기였기에 선교 대상국은 중국으로 한정

* 전통적인 농업 경제

제 2기: 1955-1970, 개척기

* 1955년, 해방 후 최초의 선교사인 최찬영 선교사를 태국으로 파송

* 1960년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파송한 독신 여성 선교사 3명이 파키스탄에서 교육선교

* 1970년도에 67개국과 수교 관계

* 농업이 주된 산업, 산업 기반 시설이 미약

제 3기: 1971-1989, 도약기

* 선교사, 사역 국가, 선교단체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

* 1973년, 30명의 선교사들이 6개의 선교 단체를 통해서 10개국에서 사역

* 1989년, 92개의 선교 단체를 통해서 1178명의 선교사들이 72개국에서 사역

* 1980년대부터 OM, OMF, SIM, Wycliff/GBT등의 초교파 국제 선교 단체 소속의 한국인 선교사들이 생김

* 기독교 인구는 천만명이 넘은 시기

* 1990년, 145개국과 수교를 맺음

제 4기: 1990-2000, 팽창기

* 여전히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타문화권 선교사 파송

* 1988년, 선교한국 시작

* 1990년에 소련, 1992년에 중국과 수교 관계

* 1996년 OECD 회원국으로 가입

* 1988년도 서울 올림픽 개최

* 1990년 여행자유화조치로 1-2주 단기 선교, 장기 선교가 가능해졌다

제 5기: 2000-현재, 성숙기

* 2011년, 한국인 해외 선교사 숫자는 22,014명

* 매년 10%이상의 성장률

* 한국인 선교사 가운데 국제적으로 지도력을 발위하는 사람들의 출현

* 한국 선교단체의 국제화

* 한국 교회의 성장

1903년 30,000명 미만 -> 2010년 700~1000만

* 한국 경제의 발전

1961년 82$ -> 2010년 20,000$

* 한국의 국내 정치 및 외교의 변화

혼란 -> 안정, 1953년 6개국 -> 1990년 145개국

일본 CM&A 교회

* 1959년도에 브라질에 한 명의 선교사를 파송, 브라질인, 일본인 교회를 개척

* 1929년 설립된 최초의 중국인 선교회

* 1929년 3명의 선교사 인도네시아로 파송

* 1937년까지 21명의 선교사 인도네시아로 파송

* 1976년 22명의 선교사가 인도네시아에서 사역

선교 중국

* 중국 선교에서 선교 중국으로

현재 최대 1억명 정도의 기독교인

삼자교회+가정교회+신흥도시교회

* 백투예루살렘 운동

1920년대 '예수가족교회운동'에서 시작

초대교회처럼 희생하며 예루살렘까지 전도

단기 선교사 1500명 파송

* 2030년까지 2만명의 선교사 파송

선교중국 2030 / 홍콩, 제주도

인도 선교

* 동남아에서 선교사 훈련

* 무슬림 선교

* 시작 단계

자메이카 침례 교회

서아프리카 복음주의교회 아프리카선교회

* 2004년, 500여 선교 단체에서 4만 4천명의 선교사를 자국내 타문화권, 외국으로 파송

* 타문화권의 개념으로는

미국 다음으로 선교사를 많이 파송

버마의 카렌족 교회

* 1833년, 미국 선교사의 주도하에 설립

* 1850년, 국내외 카렌족 선교

* 1883년 7명의 카친족이 첫 세례

* 1838년, 자유를 얻은 아프리칸 기독교인들이 존재

* 1843년, 제 1진이 페르난도 포 섬의 해방된 노예들에게 복음 전파

* 제 2진은 천주교, 질병, 지형의 방해로 1847년에 자메이카로 귀환

* 조셉 메릭은 복음 전파, 교회 개척, 성경 번역 등 열심을 냈으나 질병으로 1849년도에 순교

수단 그리스도의 교회들의 협의회

태국복음교회

필리핀 선교

Missionary as a Overseas Foreign Worker (OFW)

남인도 감리교연회

* 한센씨병 집단촌의 교회가 1957, 60년에 2명의 선교사를 라오스의 한센씨병 환자들에게 파송

* 1962년 교단적 차원에서 해외 선교사 파송의 결정적 계기

* 1970년대 중동 근로를 시작으로

해외이주노동자로 전세계 진출

* 2003년, 867,964명의 필리핀인이 해외 취업

* 2020년까지 백만명의 자비량, 전통 선교사를 동원, 훈련, 파송하여 미전도지역에 복음 전파

* 아프리카 전역, 세계 선교를 위해 결성된 8개 교단의 선교 협의회

* 1884년 말레이시아 선교 결정

* 1885년 William F. Oldham을 싱가폴로 파송

* 1903년 인도선교사회가 설립

* 1899년부터 개신교 선교사의 입국 시작

* 1963년 NCCP, 1971년 PCEC 설립

* 1990년대 선교에 대한 관심 증가, 타문화권 사역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

* 1983년 필리핀선교협의회 결성

* SIM 나이지리아가 개척한 600개 교회들이 1956년에 설립

* 설립한지 5년만에 130명의 선교사 파송

인도네시아

바딱 루터교회

20세기 초반의

비서구 교회의

선교적 노력들

* 1899년 자민족 전도를 중심으로 사역

* 1921년 농촌과 도시로 이주하여 복음 전도

* 1960년까지 서말레이지아의 세노이 부족들에게 복음 전도

브라질 선교

* 1974년, 제 1차 로잔대회 이후 선교에 대해

눈을 뜨기 시작

* 2000년, 브라질 인구의 20%가 개신교인

(6천만명)

* 1987년 COMBIBAM 결성

* 2011년 3700명의 선교사들이 100여개국에서 사역

남태평양 섬들

인구 밀도는 낮지만, 다 민족들

* 통가 -> 피지 (1840년대 이후 50년간)

조엘리 불루 -> 피지내 통가인들 ->

-> 해안가 피지인들 -> 내륙 피지인들 ->

-> 다른 섬들로 확산 ---> PNG

* 비와족의 소년 벤자민 -> 피지의 한 족장 루아

-> 전 부족이 교회로

PNG 561명

솔로몬 98명

뉴헤브라이드 73명

기타 38명

피 지 269명

사모아 209명

쿡 도서 197명

솔로몬 139명

아르헨티나

CM&A 교회

* 7명의 선교사를 우루과이, 브라질, 삼개국 접경지역에 파송

배 느 실

The Era of the Pacific Ocean

다수세계의 선교

한 학기 동안 수고 많았어요!!

지중해의 시대

대서양의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