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프리카의 미신의 영향력이 큰데, 왜 그런가? 기독교 교리가 약해서?
2. 세속화 된 서구 -> 불신 사회의 배경에서
기독교인들이 갖추어야 할 것이 무엇일까?
* 90도 선교 -
특정 종족으로 선교사 파송, 복음 전도
* 180도 선교 -
사람들이 구원받고, 새로운 교회가 개척
* 270도 선교 -
신생 교회가 자치, 자전, 자립
* 360도 선교 -
신생 교회가 선교회를 조직하여 타문화권에서 선교
로마제국 내외
이름도 모르는 선교사들
주로 아래로부터의 선교
사방으로 퍼지던 선교
예루살렘
로마
알렉산드리아
콘스탄티노플
조직화된 선교의 시작
정교일치
위로부터의 선교
거의 유럽에 국한
무슬림과 대치
대발견의 시대
스페인 포르투갈의 천주교 선교
스페인
포르투갈
이태리
프랑스
교황청의 선교 (이태리, 프랑스)
개신교의 생존, 다툼
정교회의 중심 이동 -> 러시아로
모라비안-경건주의와 헌신
윌리엄 캐리
영국
미국
독일
북유럽
허드슨 테일러
학생자원운동
1. 지난 주 조별 활동 보고서의 코멘트들
2. 360도 선교
3. 19세기 비서구 교회의 선교적 시도들
4. 20세기 초반 비서구 교회의 선교적 시도들
5. 필리핀, 브라질, 인도, 중국,
한국의 타문화권 선교
* 1956년에 설립해서 5명의 선교사를 버마, 오키나와, 대만, 필리핀에 파송
19세기
비서구 교회의
선교적 노력들
* 1912년 조선 예수교 장로회 총회가 하나님께 감사의 첫 열매로 타문화권 선교 결정
* 1913년 5월, 11월 중국 산동성 내양현 일대에 선교사 파송
* 1937년이후 청도까지 선교 대상지역 확장
* 중국에서 의료선교, 맹인학교, 성경학교, 일반 학교 운영
* 일제강점기였기에 선교 대상국은 중국으로 한정
* 전통적인 농업 경제
* 1955년, 해방 후 최초의 선교사인 최찬영 선교사를 태국으로 파송
* 1960년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파송한 독신 여성 선교사 3명이 파키스탄에서 교육선교
* 1970년도에 67개국과 수교 관계
* 농업이 주된 산업, 산업 기반 시설이 미약
* 선교사, 사역 국가, 선교단체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
* 1973년, 30명의 선교사들이 6개의 선교 단체를 통해서 10개국에서 사역
* 1989년, 92개의 선교 단체를 통해서 1178명의 선교사들이 72개국에서 사역
* 1980년대부터 OM, OMF, SIM, Wycliff/GBT등의 초교파 국제 선교 단체 소속의 한국인 선교사들이 생김
* 기독교 인구는 천만명이 넘은 시기
* 1990년, 145개국과 수교를 맺음
* 여전히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타문화권 선교사 파송
* 1988년, 선교한국 시작
* 1990년에 소련, 1992년에 중국과 수교 관계
* 1996년 OECD 회원국으로 가입
* 1988년도 서울 올림픽 개최
* 1990년 여행자유화조치로 1-2주 단기 선교, 장기 선교가 가능해졌다
* 2011년, 한국인 해외 선교사 숫자는 22,014명
* 매년 10%이상의 성장률
* 한국인 선교사 가운데 국제적으로 지도력을 발위하는 사람들의 출현
* 한국 선교단체의 국제화
* 한국 교회의 성장
1903년 30,000명 미만 -> 2010년 700~1000만
* 한국 경제의 발전
1961년 82$ -> 2010년 20,000$
* 한국의 국내 정치 및 외교의 변화
혼란 -> 안정, 1953년 6개국 -> 1990년 145개국
* 1959년도에 브라질에 한 명의 선교사를 파송, 브라질인, 일본인 교회를 개척
* 1929년 설립된 최초의 중국인 선교회
* 1929년 3명의 선교사 인도네시아로 파송
* 1937년까지 21명의 선교사 인도네시아로 파송
* 1976년 22명의 선교사가 인도네시아에서 사역
* 중국 선교에서 선교 중국으로
현재 최대 1억명 정도의 기독교인
삼자교회+가정교회+신흥도시교회
* 백투예루살렘 운동
1920년대 '예수가족교회운동'에서 시작
초대교회처럼 희생하며 예루살렘까지 전도
단기 선교사 1500명 파송
* 2030년까지 2만명의 선교사 파송
선교중국 2030 / 홍콩, 제주도
* 동남아에서 선교사 훈련
* 무슬림 선교
* 시작 단계
* 2004년, 500여 선교 단체에서 4만 4천명의 선교사를 자국내 타문화권, 외국으로 파송
* 타문화권의 개념으로는
미국 다음으로 선교사를 많이 파송
* 1833년, 미국 선교사의 주도하에 설립
* 1850년, 국내외 카렌족 선교
* 1883년 7명의 카친족이 첫 세례
* 1838년, 자유를 얻은 아프리칸 기독교인들이 존재
* 1843년, 제 1진이 페르난도 포 섬의 해방된 노예들에게 복음 전파
* 제 2진은 천주교, 질병, 지형의 방해로 1847년에 자메이카로 귀환
* 조셉 메릭은 복음 전파, 교회 개척, 성경 번역 등 열심을 냈으나 질병으로 1849년도에 순교
* 한센씨병 집단촌의 교회가 1957, 60년에 2명의 선교사를 라오스의 한센씨병 환자들에게 파송
* 1962년 교단적 차원에서 해외 선교사 파송의 결정적 계기
* 1970년대 중동 근로를 시작으로
해외이주노동자로 전세계 진출
* 2003년, 867,964명의 필리핀인이 해외 취업
* 2020년까지 백만명의 자비량, 전통 선교사를 동원, 훈련, 파송하여 미전도지역에 복음 전파
* 아프리카 전역, 세계 선교를 위해 결성된 8개 교단의 선교 협의회
* 1884년 말레이시아 선교 결정
* 1885년 William F. Oldham을 싱가폴로 파송
* 1903년 인도선교사회가 설립
* 1899년부터 개신교 선교사의 입국 시작
* 1963년 NCCP, 1971년 PCEC 설립
* 1990년대 선교에 대한 관심 증가, 타문화권 사역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
* 1983년 필리핀선교협의회 결성
* SIM 나이지리아가 개척한 600개 교회들이 1956년에 설립
* 설립한지 5년만에 130명의 선교사 파송
20세기 초반의
비서구 교회의
선교적 노력들
* 1899년 자민족 전도를 중심으로 사역
* 1921년 농촌과 도시로 이주하여 복음 전도
* 1960년까지 서말레이지아의 세노이 부족들에게 복음 전도
* 1974년, 제 1차 로잔대회 이후 선교에 대해
눈을 뜨기 시작
* 2000년, 브라질 인구의 20%가 개신교인
(6천만명)
* 1987년 COMBIBAM 결성
* 2011년 3700명의 선교사들이 100여개국에서 사역
인구 밀도는 낮지만, 다 민족들
* 비와족의 소년 벤자민 -> 피지의 한 족장 루아
-> 전 부족이 교회로
PNG 561명
솔로몬 98명
뉴헤브라이드 73명
기타 38명
피 지 269명
사모아 209명
쿡 도서 197명
솔로몬 139명
* 7명의 선교사를 우루과이, 브라질, 삼개국 접경지역에 파송
한 학기 동안 수고 많았어요!!
지중해의 시대
대서양의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