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M의 사용목적
- 작업 수행 시 나타나는 문제 영역의 확인
- 작업수행 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들의 우선순위를 제공
- 문제 영역과 관련된 수행도와 만족도를 평가
- 목표설정을 위한 기초 제공
- 작업치료 중재과정 중 작업수행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인식 변화의 측정
COPM 이란?
- 작업수행 시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자가 인식을 평가할 수 있는 개별화 된 평가 도구
COPM의 시행
특정한 작업 수행 문제 확인 후 10점 척도로 중요도를 매긴다.
(1) 1단계 : 문제 정의
- 자기관리(Self-care) :
개인관리, 기능적 이동성, 지역사회 관리
- 생산성(Productivity) :
보수 또는 무보수의 일, 가정관리, 학교와 놀이
- 여가(Leisure) :
정적취미, 활동적 취미, 사회화
작업치료 중재 과정에서
COPM 사용은 언제 하는가?
- 의뢰
- 인터뷰 및 보고를 통해 강점,약점 파악
- 작업 수행을 관찰
- 목표설정을 위한 우선순위를 선정
- 원인의 명확화
- 중재
COPM의 탄생 배경
COPM의 특징
-> 수행요소와 관련된 문제점을 확인
-> 중요도와 관련한 점수를 클라이언트
스스로 정함
-> 자가 평가 함.
- 1980년 캐나다 보건복지부, 캐나다 작업치료사 협회 가 작업치료 실행을 위한 품질보증지침서를 개발하기 위한 위원회 발족 -> 3가지 책 출판
- 1988년 국립건강연구발전 프로그램과 캐나다 작업치료 재단이 작업수행의 결과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프로젝트에 투자->10가지 기준제시
COPM의 시행
(3) 제 3&4 단계 : 점수화
최대 5가지를 선택하게 한 후 평가지에 기록
- 수행도: 현재 당신이 이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얼마인지 점수를 매길 수 있나요?
- 만족도 : 현재 당신이 이 활동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 얼마나 만족하나요?
COPM의 시행
고찰 및 질의 응답
(4) 제 5단계 : 재평가
- 재평가 일은 클라이언트가 원하거나 치료사가 판단하여 결정
- 초기 점수 옆에 칸에 수행도와 만족도를 측정함.
적용 사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