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Bottom-up

- 하부요인의 평가 및 중재를 통해

상위결과인 작업수행의 향상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것

- 문제점으로 파악된 하부요인의 증진이 실제 작업참여라는 결과로

이어지는 데 한계

-Client의 필요와 희망이 고려되지않으며,

작업수행의 질적 내용에 대한 평가가 등한시 될수 있다는 단점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OTIPM 틀

Reference

Intervention Model

  • 이경민, 노종수, 지석연 역. Fisher AG.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7판 1권. Fort Collins, Co: Three Star Press. 2005.
  • 김지현.(2011).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의 적용: 감각통합기능장애 아동 사례".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9(2):p2-3
  • 지석연 ,이성아 ,박소연 ,홍민경 . (2013)."초등학생집단 다전문가 협업프로그램에서의 School AMPS 분석을 통한 작업치료와 감각통합접근의 의미".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11:p11-27

교육모델

보상모델

  • 일상과제수행에 초점을 맞춘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시행한다.

  • 감소된 작업기술을 보상하기 위해

적응적 작업을 계획하고 시행한다.

회복모델

습득모델

  • 작업기술을 습득하고 발달시키기 위해 습득적인 작업을 계획하고 시행한다.
  • 개인적 인지와 신체기능을 회복/발달 시키기 위해서 회복적 작업을 계획하고 시행한다.

OTIPM

수행문맥

  • client의 수행분석을 한 후

자원 / 제한점 확인

  • 추후 작업치료 중재과정에서 사용됨.

시간적

환경적

문화적

Goal Setting

  • 과제 수행시 공유하고 있는 문화적 신념, 가치와 관습

-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어떤 도구나 재료로 과제를 수행하는가?

  • Client가 과제를 수행할때

- 누가 있나?

- 무슨 물건을 사용하나?

- 어떤 물리적 공간에서 수행하나?

  • Client의 일과는?

  • 현재 생애의 단계는?

  • 다른 모든 측면들에서 연관되는

과거,현재,미래는?

  •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

역할적

  • Goal : Measurable and Observable

사회 제도적

사회적

  • 고려해야만 하는 제도와 제한점이 있는가?

- 이용 가능한 서비스

- 경제적 요소

- 규정과 건강정책

- 의학적 주의점

  • Client에게 가장 중요한 역할은?

  • 역할과 관련된 과제를 적절히 수행하는가?

  • Client의 욕구와 요구받는 역할이 일치하나?

- 역할에 Client가 실제 참여하는가?

- 사회적으로 기대되고

Client가 원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 Client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고 있는가?

  • Client와 다른 사람들과 협력의 범위와 질은 어떠한가?
  • Baseline에 근거하여 설정
  • Baseline

양말신기를 하는동안 단계마다

신체적 언어적 도움이 필요하였고

안전상에 경도의 위험과 중증도의 비효율성을 보이며 신체적 노력이 중증도로 증가되었다.

  • Goal

아동은 1년이내 양말을 언어적 지시만으로

혼자서 신을 수 있을 것이다.

( 양말이 뒤집어 지거나 앞뒤가 맞지 않아도 되며 발을 끼우고끌어당겨서 신기만을 봄.)

과제적

  • Client와 협력하여 목표를 수립한다.

적응적

동기적

  • Client가 필요하고 사회적 기대로 수행되길 요구받는 과제는 무엇인가?

  • 과제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 아래에 사항에 대한 뒷받침 할 수 있는가?

- 수정된 행동 또는 채택한 환경이

문제를 극복 할 수 있게 하는가?

- 변화해야 한다는 생각에

유연하고 열려 있는가?

  • 작업에 동기와 의미를 제공하는 Client의

가치, 흥미, 목적은 무엇인가?

  • 미래의 작업수행에서 Client의 우선순위,

바라는것, 걱정은 무엇인가?

  • 내적 욕구의 근원은 무엇인가?

신체기능적

  • True Top-down
  • Client – centered
  • Occupation-base Assessment

Intervention

Documentation

  • Client의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능력과 손상 정도는?

  • 초기 면접에서 Client의 관찰 시

첫 인상은?

  • Client의 잠재적 회복 정도는?

강점과 문제점 파악 후

우선순위 기술

Client 저하된 작업수행의 원인을 정의/해석

  • 역할 참여에 있어 Client가 잘하거나 / 못하는 과제 무엇인지
  • Client의 작업수행을 제한하는

기초가 되는 신체기능, 개인적 요소, 또는

환경적 요소를 분석

  • 인터뷰나 평가도구를 사용한 추가적인 평가 실시

과제수행 관찰

  • 우선 순위를 매긴 과제들의 수행을 관찰
  • 관찰 후 효과적/비효과적 기술 정의

  • 측정도구

-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

- School Version of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School AMPS)

- 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ESI)

  • Global or Specific Baseline 설정

Global and Specific baseline

  • Measurable
  • Observable

클라이언트가 희망하는

수행의 질에 기초하여 기술

- Time / Space efficiency

- Physical effort

- Need for assistance

- Safety

- Social appropriateness

- Satisfaction 혹은 Pain

Top-down

- Client 중심의 수행문맥 안에서 Client에게

의미 있는 작업을 찾고,

그 작업수행의 어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한 후 그 과제-중심의(task- specific)

요인들을 중재함으로써 Client의 작업참여를 강화하는식

Client – centered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