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척화주전

임오년(1882) 6월 초 9일, 한성 영군들이 큰 소란을 피웠다....

갑술년(1874) 이후 궁궐, 경비가 다하여 기강이 없으며 호조와 선혜청 창고도 바닥나 한성 관리들은 봉급을 못 받았으며, 오영 병사들도 가끔 결식을 하여 급기야 5영을 2영으로 줄이고 노병과 약졸들을 쫒아냈는데, 내쫓긴 사람들은 발붙일 곳이 없으므로 팔을 끼고 난을 일으키려 하였다. 이 때 군량이 지급되지 않은 지 이미 반년이 지난 데다가 호남세선 몇 척이 도착하여, 한성 창고를 열어 군량을 먼저 지급하라는 명이 떨어졌다. 이 때 선혜청 당상관 민겸호의 하인이 선혜청 고지기가 되어 군량을 내주었다. 하인이 쌀을 벼껍질과 바꾸어 이익을 챙기자 많은 백성들이 크게 노하여 하인을 때려눕혔다. 민겸호는 주동자를 잡아 포도청에 가두고 곧 죽여버리겠다고 선언하였다. 수많은 군중들은 더욱 분함을 참지 맛하고 칼을 빼 땅을 차며, “굶어죽으나 법으로 죽으나 죽기는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차라리 죽일 사람이나 하나 죽여서 원한을 씻겠다” 고 하며 서로 고함으로 호응하여 많은 사람들이 모였다. 고함으로 땅이 꺼질 듯 하였다. 무리는 곧바로 민겸호 집으로 쳐들어가 순식간에 집을 부수고 평지로 만들었다. 집에는 진귀한 보물들이 가득 차 있었다. 군중들은 “돈 한 품이라도 훔치는 자는 모두 죽인다” 고 하고 보물을 뜰에 모아놓고 불질렀다. 비단과 구슬이 타서 불꽃은 오색을 띄고 인삼과 녹용과 사향 냄새가 수리까지 풍겼다. 이 때 민겸호는 담을 넘어 대궐로 도망쳤다.

- 매천야록, 제 1권, 갑오이전 -

군대 주둔

고문 파견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제물포 조약

군대 주둔

배상금

양이의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곧 양이와 화친한다는 것이요.

양이와 화친한다는 것은 곧 나라를 판다는 것이다.

이항로

기정진

통상수교 거부한다.!

병인박해

제너럴 셔먼호

병인양요

오페르트 도굴

신미양요

척화비

최익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