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wey
Melvil Dewey (Melville Louis Kossuth Dewey)
DDC 분류기호의 중요한 특징은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본표의 배열체계는 십진식에 근거하여 10개의 주류를 배정하고 각각의 주류의 아래에 다시 10개의 강목을 배정하였다.
+새로운 분류기호 및 토픽
제22판에서는 다수의 새로운 분류기호와 토픽들이 포함되었다. 새로운 분류기호와 토픽들로는 퀴벡 지역의 행정 구역 갱신과 같은 지역구분 항목에서부터 컴퓨터과학과 공학, 사회학, 의학 및 역사분야에서 새로이 출현하고 있는 토픽들에 이르기까지 DDC 전체에 걸쳐져 있다.
예를 들면 새로운 분류기호로 775 디지털 사진촬영술이 있고, 776 컴퓨터예술(디지털예술)은 새로이 설정하여 세분하고 있다. 또한 찾고자 하는 토픽들을 포함하고, 표목어휘(entry vocabulary)의 광범위한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새로운 합성 분류기호(built number) 항목과 부가 용어들을 상관색인에 추가하였다.
주기의 종류와 기능
-DDC의 구성
000총류 – 100철학 – 200종교 – 300사회과학 – 400언어 – 500자연과학 – 600기술(응용)과학 – 700예술 – 800문학 – 900역사
Dewey에 의하면 이러한 구분원리로 총류는 혼돈이라 한다면, 혼돈에서 추출된 사람다운 특성인 정신을 최초의 유인 철학에 다음으로 사람의 신적 위력을 나타내는 종교를 배정하였다. 사람들이 모여서 사회를 구성하므로 사회과학을, 타인과의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언어를 두었고, 사람은 그 사회 환경에 있어서 지식이 여하히 필요한 것인가를 알 수 있게 되므로 필연적으로 과학을 수반하고, 배워 얻은 생명을 유효하게 보존하는 과정으로 기술과학이 필요하며, 이것을 미화하는 것이 미술이고, 최후에 언어를 통해 여하히 기록하느냐가 문햑의 역사라고 풀이하고 있다.
각각의 강목 아래에 다시 10개의 요목을, 그리고 각각의 요목 아래에 10개의 세목, 리목, 모목, 사목, 홀목을 배정하는 등 철저한 십진체계로 구성된 계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강목이나 요목의 구성 체계는 학문의 분류체계 또는 상하개념에 위배되거나 학문 상호간의 대등성과 형평성의 원칙에 벗어나게 배정된 경우가 다수 있으며, 일부의 강목이나 요목은 공백으로 남겨져 있다.
* 제22판의 주요 변경 사항
제7보조표의 삭제 및 매뉴얼의 합리화와 더불어, 제22판에서의 몇가지 주요 사항들이 개정하였다. 새로운 주제들을 위한 분류항목의 대폭적인 갱신과 확장, 재배치등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기독교 중심의 편향성을 줄이고 있으며, 분류표의 여러 곳에서 임의 규정을 마련해 두고 있다.
<표> 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 200, 300, 400, 600 다섯 개의 주류는 변경이 없는 반면에 500, 700, 900 은 간소화 하였다. 특히 DDC 초판에는 아무런 명칭도 부여되지 않았으나, General works, Generalia 등의 명칭을 거쳐 현재까지 계속되어 온 000 총류라는 명칭이 컴퓨터과학, 정보 및 총류로 변경되면서 그 개념을 보다 구체화 하였다.
* DDC 제22판의 개정절차
DDC의 장점 중의 하나는 국가서지기관인 미국의회도서관(LC)에서 문헌분류표를 개발하고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 결과 DDC는 기록된 지식의 발전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효율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진전되어 왔다. DDC 제22판은 1996년 제21판이 발행된 지 7년만인 2003년 9월 오하이오주의 더블린에 있는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에서 주편집자인 Joan S. Mitchell 여사와 Julianne Beall 등 4명의 보조 편집자에 의해 발행되었다. 제22판 개정에 소요된 7년은 DDC의 개정에 소요되는 평균적 기간과 거의 동일하다. 이 DDC의 모든 판권과 DDC의 다양한 이용을 위한 라이센스는 OCLC가 갖고 있다.
따라서 OCLC의 허락 없이는 DDC의 일부분을 어떠한 형식이든 또는 전자적, 기계적 형태, 사진복사, 기록물과 같은 어떤 수단에 의해 검색시스템에 재생, 축적하거나 전송할 수 없다.
+ 제22판의 새로운 특징
DDC 제22판은 지식정보화가 중요시되고 있는 21세기에 들어 처음으로 개정된 듀이십진분류표로, 이전의 판에서 볼 수 없는 방법으로 분류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고 있다. 이전 판이 발행된 이후, 지난 7년간 문헌분류표에 새로이 추가된 천여 개의 갱신 내용들이 포함되어 4권으로 이루어진 인쇄본을 비롯해 이 인쇄본을 계속적으로 갱신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전자본인 WebDewey가 함께 발표되어, 이용자는 각자 편리한 포맷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예전보다 더 쉽게 도서관 소장자료를 조직화할 수 있다.
DDC 제22판은 웹 환경에 그 내용을 소개한 첫번째 판이다. 웹은 계속적으로 DDC를 갱신하고, 정기적으로 이용자들에게 갱신된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은 정보원으로의 접근을 확장시키고, 문헌분류표 이용자들과의 국제적 협력을 적시에 용이하게 하고 있어서, 분류에서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진전시키는 특징들을 제공하고 있다.
요약-> 1. DDC 제 22판은 웹 환경에 그 내용을 소개한 첫 번째 판이다.
2. 2000년 이후 WebDewey는 갱신을 위한 주요 정보원이 되었으며. 완전히 갱신된 버전은 계간으로 공개되었다. 갱신된 이모든 내용들은 제 22판에 편입되었다.
3. 새로운 분류기호와 토픽들을 추가하였고, 합성분류기호 항목과 부가용어들을 색인에 추가하였다.
4. 10여명으로 구성되는 EPC의 위원을 각 관종에 있는 국제적인 인사로 구성하여 국제적 상호협력을 도모하였다.
-ALA,LC,캐나다국립도서관,영국국립도서관,오스트레일리아편목위원회등에서 추천하는 국제적인 인사들로 위원회 구성.
5. 분류담당자의 능률성을 촉진하기 위해 7보조표를 삭제하고 매뉴얼을 대폭 간소화 하였다.
상관색인에서는 본표에서의 주제들이 학문분야에 따라 분산되는 것을 주제에 따라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여 보완하고 있다.
상관색인에는 기본적으로 본표와 보조표의 표목과 주기상의 용어와 동의어가 수록되어 있다.
-본표의 구성체계
DDC 제 22판은 전판과 마찬가지로 아래처럼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권은 ‘메뉴얼과 보조표 등’, 제 2권은 ‘본표 000~599’, 제3권은 ‘본표 600~999’, 제 4권은 ‘상관생인’이다.
-주류 체계
DDC의 주류구분은 해리스가 발표한 자식의 역 베이컨식의 체계에 기초했다. 1605년에 발간한 베이컨의 「학문의 진보」에서 학문전체를 인간의 지식과 신학으로 대별한 다음, 다시 인간의 지식을 정신 능력에 따라 기억(memory), 상상(imagination), 이성(reason)으로 구분하고 기억에 대응하는 학문을 역사(history), 상상에 대응하는 학문을 시학(poesy), 이성에 대응하는 학문을 철학(philosophy)으로 설정하였다.
해리스는 이것을 역으로 배열하여 과학, 예술, 역사의 순으로 배열하였으며, 듀이도 이러한 해리스의 역 베이컨식의 배열을 따르고 있다. 단지 해리스가 기타 잡류인 부록을 가장 아래에 둔 것에 반해 듀이는 총류를 맨 위에 둔 것이 다를 뿐이다.
DDC의 고안자인 Melvil Dewey는 1851년 12월 10일 미국의 뉴욕 주 북부 지방의 한촌인 Adams Center에서 태어났다. 그는 교육가로서의 꿈을 갖고 있었다. Amherst 대학에 진학한 듀이는 대학 2학년 때 대학 도서관의 학생 보조원으로 일을 시작하면서 인생이 바뀌기 시작했다.
Dewey가 창안한 DDC는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의 하나일 뿐이다.
1876년 미국도서관협회의 결성을 주도, 사무국장을 역임함.
후에 2대에 걸쳐 회장으로도 봉직하며 그 발전에 커다란 공헌 함.
1876-1880년 도서관학 분야 최초의 전문 잡지로 평가되고 있는 Library Journal의 창간을 주도하여 편집자로도 봉사함.
1883년 columbia 대학 도사관장에 취임하였다.
1887년 세계 최초의 공식적인 도서관학 교육 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는 도서관 학교를 columbia 대학에 개설함.
1889-1906년 대학 이사회와의 의견 충돌로 이 대학을 사직하고 Albany에 있는 뉴욕주립도서관의 관장으로 부임하여 퇴직할 때까지 봉직함.
또한 Dewey는 도서관학 이외의 많은 분야에도 관심을 가졌다. 특히 남녀 공학과 미터법 운동, 철자법 간소화 운동은 대표적 분야였다.
그의 원래 이름은 Melville Louis Kossuth Dewey 였는데 간소화 하기 위해서 Melvil Dewey로 바꾼 것이다. 심지어는 더 간소화하여 성마저 Dui로 간략화한 것은 그의 과감한 성격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Dewey는 여러 분야에서 뛰어났으나 그의 이름을 담고 있는 분류표의 창안자로서 가장 널리 알려져있다. 그가 오래전 세상을 떠난 지금에도 그의 분류표는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분류자의 효율성
DDC 제22판에서는 분류자의 효율성을 촉진하기 위해 두 개의 두드러진 변경, 즉 제7보조표를 삭제하고 매뉴얼을 간소화 하였다. 제22판에서는 매뉴얼의 이용 방법을 포함해 본표와 보조표에서 이미 불필요하게 된 정보를 매뉴얼에서 삭제하고, 필요한 정보를 본표와 보조표의 주기에 각각 제시하여 181면으로 크게 간소화 하였다. 아울러 신속한 이해와 능률적 이용을 위해 일관성있는 양식으로 남아 있는 매뉴얼의 엔트리도 개정하였다.
⑴ 조기성 또는 조기법(mnemonics): 기억을 돕거나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나 방법 또는 그것을 통해 기억을 새로이 하거나 향상시키는 것이다.
⑵ 분류기호의 조기성 : ‘분류체계가 개념을 표현할 때 어떤 개념이 출현하는 위치에 관계없이 이를 동일한 기호로 표현하여 기억을 돕는 것, 또는 그 반대로 분류체계에서 동일기호는 동일한 개념을 표현하도록 하여 기억을 돕는 것’
⑶ DDC에서는 특히 주제의 합성을 위해 많은 부분에서 조기성의 기법을 도입하고 있는데, 동일한 개념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호를 부여하도록 하는 체계적 조기성(systematic mnemonics) 또는 일정적 조기성 내지 표에 의한 조기성(scheduled mnemonics)의 기법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⑷ 보조표를 사용하는 경우 외에도, DDC에서는 본표의 다른 부분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류기호를 해당 분류기호에 직접 추가하도록 함으로써 조기성을 부여하거나, 특정주제분야에 대해 별도의 부가표(add tables)를 만들어 놓고 본표의 구체적인 사용지시에 따라 이를 추가하도록 함으로써 조기성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주기는 현대 분류법의 분류항목에는 반드시 포함되는 기본 구성요소로서 기호법에 의한 계층구조나 표목에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은 순서나 구조, 종속관계, 주제의 의미와 범위, 한계 등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준다. DDC22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의 주기가 포함되어 있다.
1) 정의주: 표목으로 사용된 용어의 의미를 기술한 주기이다.
2) 범위주: 분류기호의 의미가 표목에 나타나 있는 것보다 좁은지 넓은지를 기술한 주기이다.
3) 조합된 분류기호주: 본표와 보조표에 포함된 조합된 분류기호의 출처를 주지시키거나 설명해주는 주기이다.
4) 이전표목주: 대개 해당 분류기호의 의미는 그대로 이면서 이전표목과 현표목이 유사성이 거의 없거나 전척 없이 병경된 경우 이전표목을 안내하는 주기이다.
5) 별명주: 표목의 동의어나 유사 동의어를 나타내는 주기이다.
6) 분류지시주: 토픽의 의미가 분류표상의 표목보다 좁거나 넓거나 중복될 경우 그 표목 아래에 분류하도록 지시하는 주기이다. 분류지시주기에 표시된 토픽은 전체에 상당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표준구분표를 적응할수 있다. 분류지시주는 다학적인 저작과 포괄적인 지작에도 사용된다.
-DDC의 기호법
DDC는 아라비아 숫자의 순수기호를 사용하고 있다. 아라비아 숫자 채용이유는 전 세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문자에 비해 쓰기 쉽고 간편하며, 기억하기 쉽고 암기하기에 편리하고, 오기 할 염려가 적다. 또한 문자 기호보다 빨리 눈에 띄고 이상한 것이 없다.
3개의 아라비아 숫자를 기본으로 하며 3자리를 채우는데 ‘0’을 사용하며, 3자리 이상으로 구성되며 3자리 뒤에 .을 찍는다
DDC 이용현황
(1) DDC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문헌분류법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135개 이상의 국가에서 사용하고, 3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DDC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채택 현황을 DDC와 KDC를 비교해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T2 예시>
1) 표준구분표의 -09 .-025. -07 등을 사용하여 추가하는 경우
reading in the elementary schools of australia
372.4 + -09 (T1) + -94 (T2) = 372.40994
일본 교육가 인명록 370 -0 + -025 (T1) + -52 (T2) = 370.2552
미국의 문헌 정보학 교육 020-0 + -0711 (T1) + -73 (T2) = 020.71173
2) 본표내의 주기의 지시에 따라 직접 추가하는 경우
secondary schools of austalia 373 + -94 (T2) = 373.94
3) 지역구분표는 동일 주제에 두 번 적용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두 지역기호 사이에 구분을 위하여 0을 삽입
한. 일 경제 관게 337 + -5195 (T2) +0 + -52 (T2) = 337.51955052
<T1 예시>
기독교 사전 230 + 0 + -03 (T1) = 230.003
언어 철학 400-00 + 01 (T1) = 401
미국 변호사 주소록 340 + 025(T1) + -73 (T2) = 340,02573
피겨스케이팅 선수의 전기 796,912 + -092 (T1) = 796,912092
문장작법의 지도 808 + 0 + -071 (T1) = 808,0071
Periodical on psychology 150 -0 + -05 (T1) = 150.5
Use of computers in mining 622 + 0285 (T1) = 622.0285
15217001 고경임 / T1, T2, DDC의 장단점
15217003 김나영 / T3, DDC 조기성
15217013 민예림 / T4, 주기의 종류와 기능
15217029 이은효 / T6, DDC의 특징
15217033 임소영 / Dewey의 업적, PPT 제작
15217039 지혜원 / T5, DDC 이용현황 자료
15217040 최선 / DDC의 구성과 기호법, 자료 발표
<T1>
T1 : 표준구분표 ( standard subdivisions)
표준구분표는 구체적인 지시가 없는 한 본표의 어느 기호에나 추가 될 수 있다.
자료의 서지적 형태를 표현한 것으로 -03, -05, -07, -09 등으로 되어 있다.
(2) 2001년의 대학도서관의 분석에서는 서양서 분류를71.3% 동양서 분류는 52.0%도서관이 DDC를 사용함(아래표 참고) 이것은 1986년 KDC의 사용이 통계를 비교해보면 상당히 줄어든 반면 DDC의 채택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T2>
T2 :지역. 시대. 사람구분표 (geographic areas, historical periods, persons)
지역구분표는 특정 주제를 지역으로 한정할 때 조합하는 보조표로서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으며 본표의 분루기호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T3A의 예시>
토지 /박경리 - 895.7+ -3(T3A) +4(PT) =895.734
이광수와 그의 시대 /김윤식 - 895.7+-3(T3A)+3(PT)= 895.733
T3B와 T3C의 적용하는 대표적인 경우
특정 문학형식에 국한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개별 언어의 문학 기본기호에 T3B의 -01~ -09를 적용한다. 이 때 -08과 -09는 T3C를 사용하여 세분할 수
있다.
<T3 예시>
한국문학사전 - 895.7+-03(T1) =895.703
한국문학전집 - 895.7+ -08(T3B) =895.708
한국전쟁문학전집 - 895.7 +-08(T3B) +0 +-358(T3C) =895.7080358
20세기 한국문학사 - 895.7 +-09(T3B)+00 +4(PT) =895.709004
한국전쟁문학평론 - 895.7+-09(T3B)+-358(T3C) =895.709358
단점
1. 분류기호가 너무 길다
2. 어학과 문학, 사회과학과 역사분리 (베이컨식 구성때문)
3. 구분 방법이 일정하지 못하고 강의 배열이 비논리적
예) 000 도서관학, 100 철학 심리학. 예술 700 오락 790 등
4. 동양관계 자료분류에 부적당.
5. 십진식의 무한히 전개 될 수 있다고 분류기호 대등한 기호사이에 삽입될 수 없다
예) 610과 620사이에 새로운 주제 강목을 삽입할 수 없다.
6. 위치재배정과 특정 주제의 전면 개정은 지식의 발전에 부응하는데는 필요하지만
이 분류표를 사용하는 도서관으로서는 재분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문제도 있다.
장점
1.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용적인 분류법
2. 상관색인을 처음으로 적용. 학문분야에 분산된 동일한 주제의 다른 관점을 모아줌.
3. 아라비아 숫자로된 순수기호로 세계적으로 통용됨.
4. 기호가 단순하여 이해와 기억이 쉬움. 조기성이 있어 서가배열이 용이하고 이용자가 인식하기 쉬움.
5. 분류기호 사이의 상호관계를 잘 나타내어 분류의 전산화에서도 필수적
6. 십진법을 사용함으로써 무한히 전개가능.
7. 대체로 정기적으로 개정판을 발행함으로써 최신성을 보장하고 있다.
8. 상관식배가법을 가능하게 한 최초의 분류법.
<T4 예시>
영문법 :42 + -5(T4) = 425
영한사전(표목 :영어) : 42 + -3(T4) + -957(T6) = 423.967
한영사전(표목 :한국어) : 495.7 + -3(T4) + -957= 495.7321
영불사전 또는 불영사전(표목 : 영어 및 불어)
영어권: 44 + -3 (T4) + -21(T6) = 443.21
불어권: 42 + -3 (T4) + -41(T6) = 423.21
불독사전 또는 독불사전(표목: 불어 및 독일어)
불어권: 43 + -3(T4) + -41(T6) = 433.41
독어권: 44 + -3(T4) + -31(T6) = 443.31
한국내: 44 + -3(T4) + -31(T6) = 443.31 (본표 상 및 번호 불어 440)
<T3>
T3 :예술,개별문학,특수문학형식 구분표
809 및 810~890에서 지시된 대로 추가적인 구분이나 개별문학의 형식을 구분하고자 할 경우에 조합하여 사용하는 보조표이다.
T3A:개별작가에 의한(관한) 제작구분표
T3B:개별 작가 이상에 의한 (관한) 저작구분표
T3C: T3B,700.4,791.4,808~809의 지시된 곳에 추가되는 기호
T3A의 적용방법:T3A는 개인 저자의 제작이나 전집 그리고 개인 저자에 관한 저작이나 비평, 전기에 대하여 세구분하기 위한 보조표이다.
(3) 미국에서는 DDC가 전체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95%와 전체 대학도서관의 25% 전문도서관의 20%가 사용되고 있다.
미국의회도서관(LC)의 DCD(decimar classification division)는 실제로 의회도서관에서 목록을 작성하는 대해 11만건 이상의 DDC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아울러 DDC번호는 MARC 서지레코드에 통합되어 컴퓨터매체와 CIP(Catalogin in
Pubication) 데이터 등을 통하여 도서관에 배포되고 있다.
<T4>
T4 :언어공통구분표
이 구분표는 각 언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늰 사항들을 기호화한 것으로 개별 언어나 어족의 세구분 아래에 제시되어 있는 부가주기에 따라서 또는 420~490 아래에서 *으로 표시되어 있는 개별 언어에 대한 기본기호와 함께 사용한다.
<T5 예시>
1.Religion of the Celts
299 + 16(numbers following -9 in notation -916 from-916 from T.5)-> 299.16
2.The Koreans in Canada
971 + 004(Add table under 930-990) + -957(T.5)->971.004957
<T6 예시>
성경(한국어판) : 220.5(성서번역)+957(T6한국어)=220.5957
月刊 : 059(기타언어로된 잡지)+957(T6한국어)=059.957
Germanic-Language encyclopedic : 033(기타독일계 백과사전)+1(T6 31에서 1)
prverbs in English : 398.9(속담)+21(T6 English)
<T6>
T6 : 언어구분(Languages)
이 구분표는 주로 490과 890을 구체적으로 구분하거나, 본표내에서 어떤 주제를 언어별로 세분하고자 할 경우 여러 곳 에서지시에 따라 사용되는 보죠표이다. 자료에 기술한 각국의 언어, 개별언어를 기호화할 필요가 있을 때 적용하기 위한 보조표로서 반드시 첨가지시가 있어야 부가할 수 있으며 다른 보조표와 사용되기도 한다.
<T5>
T5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
제5 보조표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는 어떤 주제가 특정 만족이나 국가에 한정하여 다루고 있을 때 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더불어 민족 국가군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지시에 따라 추가하여 사용하는 보조표이다. 민족·국가군
구분표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