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① 전원타격제: 각 팀이 공격과 수비로 나뉘어
공격 측의 타자모두가 타격을 완료했을 때 공수를
교대하고, 규정 회수(이닝)를 끝냈을 때 득점이 많
은 팀이 승자가 된다. 이 경우에 잔루의 주자는
다음 이닝에 이어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7인타격제: 두 팀이 공격과 수비로 나뉘어 공격
측의 7명의 타자가 타격을 완료했을 때 공수를
교대하고 규정 회수(이닝)를 끝냈을 때 득점이 많은
팀이 승자가 된다.
이 경우에 잔루 주자는 다음 이닝에 이어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③ 3아웃제: 두 팀이 공격과 수비로 나뉘어 쓰리
아웃이 되면 공수를 교대하고, 규정 회수(이닝)를
끝냈을 때 득점이 많은 팀이 승자가 된다.
그러나 강팀의 공격이 길어질 염려가 있어서
전원 타격제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쓰인다.
*야구와 같이 잔루승계는 인정되지 않는다.
티볼은 배팅 티 위의 볼을 방망이로 쳐서 득점을
겨루는 신종 스포츠로 1980년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시작됐다. 1988년 국제야구연맹
(IBA)과 국제소프트볼협회(ISF)가 티볼 공식 규정
을 만들어 야구나 소프트볼 입문을 앞둔 어린이를
비롯 여성들을 대상으로 보급했으며. 가까운
일본에서도 1993년에 티볼협회가 발족해 1998년
부터 한국과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티볼은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등지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으며 특히 일본에서는 초등학교의 정식 교과 과
목으로 채택되어 실시되는 등 해외에서 보다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에는 1998년 생활체육
티볼 협회 창립 준비위원회가 발족하며 도입되었으며
2000년에 한국티볼협회가 창립됐다. 2001년부터
는 국민생활체육협의회를 통해 전국 500여개의 보
호시설에 티볼이 보급되는 등 빠른 속도로 확산되
고 있다.
① 기존의 야구나 소프트볼은 투수 역할이 절반이
상 이므로 다른 포지션의 선수들은 활약의 기회가
그만큼 적어지게 된다. 이것은 모두가 참가하여 함
께 즐긴다는 관점에서 보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티볼은 참가자 전원이
참가하고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생활체육
종목이라고 할 수 있다.
② 야구가 가지고 있는 위험성을 최소화함으로서
남녀노소 구분 없이 안전하게 경기를 즐길 수 있다.
③ 룰이나 규칙 등이 간단하여 볼을 치고, 달리고,
던지고 하는 전신운동으로 누구나 쉽게 실시하고
즐길 수 있다.
④ 티볼은 단체운동을 통한 협력스포츠이므로 경기
자들이 협력하여 게임을 해야 하기 때문에 협동정
신이 길러진다.
티볼 경기 진행 방법과 규칙
① 티볼이 야구나 소프트볼과 크게 다른 점은 홈플레
이트 뒤에 있는 배팅 티(Tee)에 볼을 올려놓고 정지
되어 있는 볼을 타자가 친다는 점이다. 따라서 투수가
필요 없는 것이 특징이다.
② 티볼은 인원의 수에 상관 없이 즐길 수 있는 게임이
다. 전국대회나 지역대회에서는 공식 규칙에 따라서 플
레이한다. 소수의 인원일 때는 그때 그때 모인 인원 수,
성별, 연령, 그라운드(운동장)의 넓이, 기술의 차, 용구
의 질과 수를 고려한 로컬 룰 아래에서 플레이하는 것
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