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같은 종류였던 생물들이 서로 다른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환경에 유리한 변이를 가진 생물만이 살아남아 자손에게 그 특성을 전달하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 그 종류의 생물들은 차이가 커져서 다른 종으로 구별될수 있다.
20190626
발표 주제: No. 18
: 생물 사이의 먹고 먹히는 관계가 마치 사슬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
: 생물의 종류가 다양한 정도
: 같은 종류에 속하는 생물의 특성이 다양한 정도
: 어떤 지역의 생태계가 다양한 정도
: 일정한 지역에 얼마나 다양한 종류의 생물이 살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같은 종류에 속하는 생물의 특성이 다양하다면 급격한 환경변화나 전염병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생물이 있어 멸종할 위험이 낮다.
생태계에는 숲, 초원, 강, 바다, 갯벌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생태계가 다양하여 생물의 서식지가 다양할수록 생물의 종류가 많아질수 있다.
생물의 다양성이 클때:
생물의 다양성이 작을때:
(생물이 살아가는 세계)
: 어느 환경 안에서 사는 생물군과 그 생물들을 제어하는 제반 요인을 포함한 복합 체계
먹이 사슬은 생물 사이의 먹고 먹히는 관계가 마치 사슬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해요. 여러 개의 먹이 사슬이 서로 얽혀 그물처럼 보이는 것은 먹이 그물이라고 해요.
먹이 사슬은 생산자, 1차 소비자, 2차 소비자, 3차 소비자 등의 순서로 연결돼요. 생태계에서 생물 요소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요. 생산자의 수가 늘어나면 소비자의 수가 늘어나는 현상 등이 수시로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어요.
: 생물을 분류할때 두 생물이 얼마나 가깝고 먼지를 나타내는 것
사람: 폐호흡
고래 : 폐호흡
상어 : 아가미호흡
화
: 몸의 말단 부위가 작고 몸집이 커서 열의 손실을 줄일수 있다.
: 귀가 크고 몸집이 작아 열을 방출하기 쉽다.
: 무당벌레의 겉 날개 무늬와 색깔이 조금씩 다르다.
: 얼룩말의 줄무늬 색깔과 간격이 조금씩 다르다.
생물 분류의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로, 자연 상태에서 짝짓기를 하여 자손을 낳을수 있는 생물 무리를 나타냄.
종 < 속 < 과 < 목 < 강 < 문 <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