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content…
Loading…
Transcript

GPGP(헤헤)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

플랑크톤들도 섭취하게 된다.

이 해양 생물들을 먹이사슬로 삼고 있는 동물들이 연속적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다.

이 플라스틱 쓰레기들은 해류에 의해 마모되거나, 태양열에 의해 부스러지면서 더 작게 부스러진다.

먹이사슬의 최상위개체인 인간 또한 플라스틱을 먹게 된다는 것입니다.

GPGP란?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로 하와이 섬 북쪽과 일본과 하와이 섬 사이에 있는 태평양을 떠다니는 두개의 거대한 쓰레기 더미

GPGP의 원인

바람과 해류의 영향으로 북미·중남미·아시아에서 바다로 흘러나온 쓰레기가 모여 만들어졌으며, 쓰레기 중 30%에 일본어가 29.8%에는 중국어가 적혀 있는데 이는 아시아에서 북태평양 방향으로 흘러가는 쿠로시오 해류가 이를 실어 나른 것이라고 합니다.

동물들이 먹는다

바다 생물들은 반짝거리는 이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를 물고기 알과 같은 먹이라고 착각해 주식처럼 먹는다.

미세 플라스틱을 삼킨 바다 생물들은 섭식 장애를 동반한 장폐색증을 앓거나, 심각한 경우 죽음으로 이어져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마이크로플라스틱: 5mm 미만의 미세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제품이 부서져 생성된 작은 조각을 지칭합니다

GPGP의 문제

2017년 초 광고제작자 마이클 휴와 달 데반스 드 알메이다는 UN에 쓰레기 섬을 국가로 인정해 달라는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이들은 국명을 ‘쓰레기 섬’이라는 뜻의 ‘Trash Isle’로 정하고 소셜미디어컴퍼니 을 통해 온라인 청원을 진행했습니다. 이 운동으로 많은 사람들이 GPGP를 알게 되었고, 미국의 전직 부통령 앨 고어는 이 청원에 참여해 쓰레기 섬의 1호 국민이 됐습니다.

추가적으로...

국기와 여권, 화폐, 우표는 런던에서 활동 중인 디자이너 마리오 커크스트라와 토니 월슨이 만들었습니다. 화폐에는 플라스틱 그물에 목이 칭칭 감긴 바다사자와 갈매기, 플라스틱 바다를 헤엄치는 고래의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화폐의 단위는 쓰레기 잔해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 '더브리(debris)'로 정했습니다.

20122 서승희 20125 이하늘

감사합니다 헤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