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content…
Transcript

동아시아 문화권의 요소 (2) :

유교

1. 유교의 성립과 발전

유교의 등장과 발전

-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의 하나

- 공자, 맹자, 순자 등 다양한 이들에 의해 발전

- 한 무제 때 국가 이념으로 채택

1) '태학'의 설립과 '오경박사'의 존재

2) 성적 우수자를 관리로 선발, '향거리선제' 실시

3) '훈고학'의 성립과 발전

- 동아시아의 사회와 삶을 규정하다

유교 관련 제도의

정착 : 중국

1) 수나라 : 유교 소양 평가를 위한 '과거제' 실시

2) 당나라

- 과거제 계승 + '국자감' 설치

- 훈고학의 완성 (공영달의 '오경정의' 편찬)

3) 송나라 : 과거제의 발전, '전시' 제도 추가

유교의 보급과 발전 :

일본과 베트남

유교의 도입과 발전 :

한반도

1) 일본

- 백제를 통해 유교, 한자 수용

- 백제에서 파견된 '오경박사'들이

유교 교육 실시

2) 베트남

- 리 왕조 : 문묘 설립, 학교 부설

1) 삼국시대

- 고구려 : '태학', '경당' 등 교육기관 설립

- 백제 : '오경박사'의 존재

- 신라 : '세속 5계'를 통해 확인 가능

2) 남북국시대

- 통일신라 : 신문왕 대의 '국학' 설치, 원성왕 대의

'독서삼품과' 실시

- 발해 : '주자감'과 '문적원' 설치

3) 고려

- 광종 대에 과거제를 실시

- 성종 대의 '시무 28조'

- 교육기관으로 국자감 설치

4) 조선

- 유교의 흐름인 '성리학'이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자리매김

-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 설치

1. '유교'의 성립과 발전에 대하여

2. 유교의 한 갈래인 '성리학'에 대하여

3. 학습활동 :

'공자는 필요한가?' - 21세기의 유교 윤리

2. 성리학의 확산

성리학의 탄생과

확산 : 중국

성리학의 보급과 발전

: 한반도

1) 남송의 '주희'가 정립, '사서집주'와 '소학'

편찬

2) 원나라 대에 성리학 교재가 보급되기 시작

3) 명나라

- 영락제 시기 '성리대전' 편찬

- 명나라 중기 성리학에 대한 비판으로 '양명학'

등장

- 원 간섭기에 도입 : 신진사대부들의 이데올로기

- 조선 시대의 기본 학문으로 자리매김

- '경연' 시행과 '삼강행실도' 편찬 등을 통해 조선

사회를 지배하는 이념으로서 확산

- 16세기 이황(주리론), 이이(주기론)에 의해 발전

성리학의 보급과 발전 :

일본과 베트남

양명학의 핵심 논리

- 사물의 이치(이)는 어딘가에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이미 내 마음에 있다! (심즉리)

- 깨달은 다음에 행하는 것이 아니다. 깨달음과

실천을 동시에 해야 한다! (지행합일설)

1) 일본

- 가마쿠라 막부 시대에 승려들을 통해

유입

- 에도 막부 시대(17세기)에 후지와라 세이카,

하야시 라잔 등에 의해 정착

2) 베트남 : 15세기 레 왕조 시기에 문묘 정비,

과거제도를 정착시킴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