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8년차_민네이션

  • 2010년 교육훈련팀 인턴, 2011 부르심에 응답
  • 교육훈련팀, 국제협력팀, 국제사업본부에서 근무
  • 긴급구호 담당, 교육훈련
  • '모든 순간에 배운다'라는 철학으로 살고 있음.

//ICONS

//SEPARATE ELEMENTS

vizualwizard.com // hello@vizualwizard.com // +351 912 807 385

LIFE-LONG

DEVELOPMENT

기아대책에서 평생개발의 관점에서 자기개발 하기

원형의 폐허

선한힘 + 방법론 = 대안

2. HOW

4. METHOD

3. what

2. how

CONTENTS

"기아대책 어벤져스?"

1.WHY_나는 왜 여기 있는가?

2.HOW_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3.WHAT_무엇을 했는가?

아이디어 list

CONTACTS

- 어벤져스 1기_회의역량강화 TF : 퍼실리테이션기법을 이용하여 회의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론, 메뉴얼을 개발한다.

- 리더십인증제도 : 리더십들이 스스로 자존감을 가지고, 팀원들도 따를 수 있는 최소한의 역량을 매년 인증받을 수 있도록 인증제도를 만든다.

- 신비한역량사전 : 역량개념을 모듈화시켜서 역량사전으로 만든다.

- 홀라크러시 : 수평적인 조직구조를 만든다

- 학습조직만들기 : 학습을 통해서 현재 닥쳐진 문제를 해결한다

- 혁신툴개발 : 디자인씽킹, 메타인지씽킹, 시스템씽킹, 비쥬얼씽킹

- 미친해커톤 기획 및 진행

- Theory of changes : 변화이론

- Log-frame : 국제개발협력 이론

- 역량성취제도 : 역량군 만들기

- Netflix freedom and responsibility culture dec : 넷플릭스 기업문호 가이드

- Good to Great' social sector virsion : 좋은 조직에서 위대한 조직으로_짐콜린스

우리는 계속 개발해야한다

04

02

03

05

01

아이디어 창출

아래 구글 설문지에 작성해보기

bit.ly/반짝해봄

우리조직의 철학 정립하기

우리 조직이 일을 할 때 실제로 좋은 관행이나 나쁜 관행이 있나요?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일하나요?(빠르게 일처하기, 효율적인 일처리하기, 마음이 담기는 방식으로 업무처리하기 등)

우리는 그들을 대할 때 어떤 기준에 의해서 대하고 있나요? ( 손님은 왕이다, 후원자는 우리의 밥줄이다, 우리는 을이다 그러므로 공손해야 한다 등등)

3. 윤리론

4. 행태론

우리 조직 안에서 개인 업무 스타일은 어떤가요? 대체로 좋은가요? 이상한 사람도 있나요? / 나의 업무스타일은 조직에서 어떻게 기억되나요?

우리는 그 대상들을 어떻게 보고 있나요? 후원자인가요? 협력자인가요? 도움을 주는 사람들인가요? / '나'는 우리 조직에서 어떤 사람으로 인식되나요?

2. 인식론

5. 개체론

우리가 상대하는 대상은 누구인가요? / 일반시민, 공무원, 아동들, 어르신 등 포함 '나'도 조직 안에 고려되는 존재인가요?)

GOD CALLED??

1. 존재론

1. 존재론

1. 존재론

How To Change your Organization

activity 1.

우리조직 정의하기

어떻게 우리 조직을 변화 시킬 것인가? 우리에게는 선한힘'의 존엄함이 사라지지 않도록 기준이 필요하다.

WE ARE PEACEMAKER

다양하게 접근해야 한다. 우리 조직이 가장 빛난던 순간를 만들기 위한 lifesyle innovator로서 거듭나기 위한 아이디어들을 만들어 보자. 조직구조, 제도, 문화, 사람(역량)차원에서 접근하고 그것을 하나로 연결하는 실시간 업데이트 문서를 만들자.

WHY

정복자가 아니라 피스메이커로, 우리는 평화를 만드는 사람입니다

WE ARE FAMILY

우리는 '밥을 함께 먹는' 식구입니다. 식구끼리 사랑합시다.

하나님나라+미시오데이+CALLING

WE ARE FACILITATOR

우리는 서로를 촉진해주는 퍼실리테이터입니다. 서로 섬깁시다

Lifestyle innovator

minnation

prototype

1. WHY

3. WHAT

5.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