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1. 성간 물질에 제일 많은 원소는?

H

He

C

N

O

2. 이 들은 혼자 존재할까?

No, 원자로 되어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일산화탄소, 질소, 암모니아, 물등 화합물로 되어있음.

3. 성간에서 가장 많은 원소 중

고대의 원소기호와 돌턴의 원소 기호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

N

C

최외곽 전자

왜?

  • 가장 바깥쪽 전자껍질에 배치되는 전자
  • 최외각 전자수에 따라 원자들이 화학결합하는 방식이 정해진다.

참고. 옥텟규칙

물질의 성질을 지니는 최소 단위의 입자

분자

가장 바깥 전자껍질에 8개의

전자를 가져 안정화 되려는 경향

-전자 3쌍을 공유

3중 결합

-전자2쌍을 공유

2중 결합

공유결합의 분류

1. 단일결합

2. 2중 결합

3. 3중 결합

1번째 껍질에는 2개의 전자를 채울 수 있다.

-전자1쌍을 공유

단일결합

2번째 껍질에는 8개의 전자를 채울 수 있다.

공유 결합의 성질

*공유결합*

원자들이 서로 전자를 제공하여 전자쌍을 이루고, 이 전자쌍을 서로 공유하면서 이루어지는 결합

1.CO -독성이 있다.

2.NH3 - 자극성 냄새

공유결합

2.구조식

공유 전자쌍을 선으로 나타낸것.

1.루이스 전자식

원소기호 둘레에 최외각 전자를

점으로 나타낸것.

표시 방법

원자들 사이의 공유 전자쌍의 수가 많을수록

원자의 핵간 거리가 짧을수록 공유결합이 강하다.

부교재 문제로

공유 결합의 원리를..

공유 결합의 예-수소분자

온도

왜?

활성화 에너지 보다 높은 에너지 가진 입자들이 많다.

반응속도의 요인

에너지가 높다!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방향으로 충돌

유효충돌

의 조건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에너지

활성화 에너지

이러한 성간 화합물을 만드는데는 어떤것이 영향을 줄까?

반응 물질들이 반응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최소의 에너지(활성화에너지)를 가지고

서로 반응 하는 알맞은 방향으로 충돌(유효충돌)

하여여 한다.

반응 속도

일정시간동안 물질의 변화량

화학반응의 빠르기

농도

막대한 양의 성간물질

우주의 나이동안 화학반응,

반응 속도의 요인

단위부피속의 입자 수가 많아 입자들끼리 더 자주 충돌

유효충돌 증가

그런데도 많은 이유?

성간물질 매우희박, 온도 낮음

반응 속도 와 성간 분자

정촉매 사용

농도 증가

온도 상승

활성화 에너지 감소

유효충돌 증가

반응 속도 높이는 방법

활성화에너지 이상 입자 증가

학습목표

1. 성간 물질에 다양한 화합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2. 성간 화합물을 만드는 공유 결합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3.4 성간 화합물과 공유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