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1910년- ‘특위연대 군악대’→‘이왕직 양악대’로 바뀜,

파고다공원 양외음악당 정기연주회 개최

1930년- 민간 유지 도움으로 경성악대로 운영되다 해산

☛ 군악대 활동의 의의-서양악기 대량 수입, 음악전공교사의 음악교육,

대중에게 음악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 심어줌

1910년 5월-<보통교육 창가집> 발행

1909년 설립<조양구락부>가 1912년 최초 전문음악교육기관인 <조선정악전습소>로 개칭

조선악-가곡, 거문고, 가야금, 양금, 단소 등

서양악- 성악, 음악이론, 풍금, 사현금 등

갑신정변:1884년

배경: 청의 내정 간섭에 대한 불만 ↑,

청 · 프 전쟁으로 청 군의 일부 철수

주도 세력: 김옥균, 박영효를 비롯한 급진 개화파

전개: 우정국 (우리나라 최초의 우체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하여 정변 반발-> 개혁 정강 발표-> 청 군의 개입으로 3일 만에 정변 실패-> 주도 세력 망명

근대적 개혁 주장: 청에 대한 사대 관계 청산, 문벌 폐지, 조세 개혁등

BUT 조선에 대한 청의 내정 간섭 ↑

의의: 근대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 최초의 정치 개혁 운동

→갑오개혁에 반영

한계: 일본에 의존한 급진적 방식,

백성과 관료층의 지지를 얻지 못함.

1) 개화기의 음악교육

조선말기 1880년 미국 선교사

-기독교 서양문화유입, 근대화의 교육체계 갖춤

1886년

-아펜젤러 배재학당, 스크랜턴 이화학당,

언더우드 경신학교

1887년

-엘러스 정신여학교

1890년

-존스 영화여학교

☛ 이 학교 교육과정 ‘창가’

-찬송가와 쉬운 외국 민요(최초 서양 음악교육)

2) 일제 강점기 음악교육

1910년 8월 한일합방조약 이후

-<보통교육 창가집> 조선총독부발행, 식민지정책교육 시작

일본의 창가 그대로 번역-일본 노래, 서양 가곡과 민요

→젊은 학도들의 애국적 사회풍토 흐트러놓을 목적

1911년 제1차 조선교육령 학제 내용

- 우민화 정책-소학교부터(일본어, 실업 교육)

‘창가’는 체조와 함께 수업-음아교육 경시함

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모든 학교에서 ‘창가’과목 필수

1938년 제3차 조선교육령-‘노래의 가사’는 황국 신민으로서의 정조 함양,

일본에 대한 애국심, 복종심 강요

일본 민요나 창가만 노래, 한국 전통음악과 언어 말살

1939년 이후-창가집 모든 노래는 일본어, 한국 작곡가들 동요 보급 노력

1924년 윤극영 ‘반달

’-일제 치하 우리 만족에게 용기와 희망 준 우리나라

최초 동요

- 방정환, 윤석중, 홍난파, 박태준, 정순철, 이흥렬, 김성태 활동

- 현실 비판적인 동요 조선총독부 맹렬한 탄압

2.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역사

배재학당 피아노 등록문화재480호

최초의 서양음악

http://cafe.daum.net/suguncp/2kdc/120?q=%ED%92%8D%EA%B8%88%EA%B8%B0

1780년

청나라다녀 온 연암 박지원 <열하일기> -‘풍금기’

선교사-서울과 지방 학교와 교회 설립-찬송가로 음악교육

1895년

관립소학교 설립, 소학교 교원양성기관-관립사범학교 설립

일본 학제모방-음악교육 없음, 음악교사, 교재

1884년 갑신정변 이후 별기군

-일본식 재편, 군악대-신호나팔, 북 등으로 편성,

'곡호대'로 개편

이화학당

갑신정변이란?

1884년(고종 21) 개화당이 청국의 속방화정책에 저항하여 조선의 완전 자주독립과 자주 근대화를 추구하여 일으킨 정변.

1880년 이화학당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서양식 군악대 절실

1901년

-독일 에케르트-양악대 창단<대한제국 국가> 작곡

배제학당 건물

직원과 학생들

스크랜턴 여사

배제학당

역사채널e 대한민국 애국가

애국가 작사 미스테리

대한민국 임시정부 애국가

설립자 아펜젤러

3) 해방 이후의 음악교육

1948년 해방 후 대한민국

-주권국가, 문교부 교육법 제정, 공포

1950년대

-국가 교육 제도 정초기, 학제 정착 6-3-3-4

1954년 1차 교육과정

- 음악과 교육과정-음악체험을 통한 인격 형성과 국민적 교양, 애국 애족의 정신 강조

-내용 체계(가창, 기악, 감상, 창작, 음악기초이론)

-전통음악-한국이 전통악기와 음악가 소개

1950년대-국립국악원, 국악고, 서울대 국악과 신설

(전통음악 체계적 지도)

숭례문 화재

노틀담 대성당 화재

-파리시민은 마음을 모아 이 노래를

노트르담(Notre Dame) 뜻?

우리들의 귀부인!

성모 마리아

1963년 교육과정

-미국 진보주의 영향 생활중심,경험중심 이론에 바탕

- 아동의 경험, 흥미보다는 음악적 기능, 태도 중시

-음악적 감각을 바탕으로 한 실제적인 표현, 감상에 중점 둠

1970년대-학문중심 교육과정

–미국 유학파- 개념적 접근법, 포괄적 음악교육론 소개

1973년 개정 교육과정

- 음악 기초능력 계발, 표현 및 감상 능력 함양,

민족 주체의식 고양, 민족문화의 창조

1975년

- 국악교육연구회 조직, 국악교육비중 점차 증가

갑오개혁

배경: 일본의 경복궁 점령 후 김홍집 중심의 내각 구성,

일본의 내정 개혁 강요

개혁의 추진

① 군국기무처 설치-> 군국기무처 폐지,

김홍집 · 박영효의 연립 내각 출범

② 홍범 14조 발표: 개혁에 대한 방향 제시

③ 내용: 청에 대한 사대 관계 청산, 개국 기원 사용,

국왕권 제한, 과거제 와 신분제 폐지,

재판소 설치, 과부 재혼 허용,

한서 사범 학교와 외국어 학교 관제등 발표 

1981년 4차 교육과정

-전인적 발달에 중점, 음악기능 훈련보다는 미적 체험 강조

-학생중심의 개념적 접근법,

창의적인 음악활동을 통한 포괄적 음악교육

1990년 국악학습 현저히 증가

1992년 개정 교육과정- 음악의 기초적인 구성요소 이해 토대, 실음에 의한 표현력 육성 중점

1997년 7차교육과정

-세계화, 정보화 시대-자율적, 창의적 인재 육성 목표

-학습자중심 교육과정

(지역, 학교, 개인의 특성에 따른 다양성 추구)

국민공통교육과정, 선택중심교육과정 채택

2007 개정교육과정- 음악의 가치 인식, 실생활 활용 목표,

생활화영역 추가, 국악관련내용 구체화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음악의 다양한 역할과 기능 강조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