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목사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예민한
감수성 때문에 소년 시절에 많은 발작
증세를 앓았다. 융은 아버지와 친구의
대화에서 자신의 발작 증세에 대해
엿들었다. 그때 대화에서 충격을 받은 융은 정신을 바짝 차리고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 와중에 몇 번의 발작증세는 융에게 나타났지만 융은 굽히지 않고
발작을 극복하고 끈질기게 공부를 계속해 나갔다. 이후 융은 발작증세가 사라졌다.
→ 인간의 심리를 연구하는 데 일생을 바치게 한 결정적인 계기.
정신
→ 개인적 무의식 - 미약한 의식의 영역→ 집단적 무의식
(원형 - 집단 무의식의 구조적 요소)
→ 물리학적 연관성이 없는 사건들
사이에서 우연의 일치와 같은 일들이 연관성을 가짐
→ 다른 미지의 연관으로 이어지는
심리적 평행 현상
칼 구스타프 융
(1875.07.26 ~ 1961.06.06)
자신이 치료하던 환자의 꿈에 나오는 고대 이집트의 장수풍뎅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 중 창문을 통해 장수풍뎅이가 날아든다.
이 우연의 일치 후에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던 환자가 치료 효과를 보기 시작함.
→ 융은 이 우연의 일치를 동시성이라 부름.
성격
서로 반대에 존재하며, 두 심리적
에너지의 균형은 개인들 간에 차이가 있다
→ 내향성 - 주관적인 지향성
사회 관계에 있어 수줍어하고 수동적임
→ 외향성 - 외부적인 세계에 관심
사교적이며 친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