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FONTS

정보전자상거래학부 강동원

고재호

임솔

수학정보통계학부 김대웅

Active X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Active X 대체기술

2. ActiveX-Free

  • 말그대로 Active X가 없는 사이트를 만드는것

정부가 전자상거래에 가장 큰 걸림돌로 지목된 '액티브엑스(ActiveX)' 퇴출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고 나섰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일 '민간 분야 액티브엑스 이용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2017년까지 민간 분야 주요 100대 웹사이트 가운데 90% 이상을 ActiveX-Free 즉, ActiveX가 없는 사이트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주요 100대 웹사이트는 포털과 교육, 엔터테인먼트, 쇼핑, 미디어 등 분야별로 월간 순 방문자 수를 기준으로 선정됐다.

미래부는 이들 100대 웹사이트 가운데 중소·중견기업의 ActiveX 퇴출을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중소·중견기업이 웹사이트에서 기존 ActiveX를 'HTML5' 등 새로운 웹표준 활용 솔루션으로 교체할 때 드는 비용을 사이트당 최고 1억 원까지 지원받는다.

미래부는 올해는 솔루션이 개발된 보안·결제·인증 분야(전체 ActiveX의 66%) 도입을 우선 지원한다.

파일처리와 전자문서, 멀티미디어 등 다른 분야는 올해 개발된 솔루션을 기반으로 내년부터 지원될 예정이다.

미래부는 "이번 조치가 간편결제 도입에 따른 ActiveX 이용 대폭 감소 효과를 금융과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다른 분야로 확산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Active X 대체기술

Active X 문제점 1

1.HTML5로의 전환

2015-04-01 아이티 데일리

  • HTML 이란 웹을 통해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들 때 사용하는 프로그래밍의 한 종류로써 인터넷에서 웹을 통해 접근되는 대부분의 웹 페이지들은 HTML로 작성되어 있음.
  • HTML5가 대안으로 거론되는 이유는 액티브 X 를 사용하지 않아도 동일한 기능을사용할 수 있고 플래시나 자바의 별도 플러그인 없이도 웹 브라우저의 화려한 그래픽 효과를 낼 수 있음.
  • 또한 액티브X와 달리 웹브라우저의 종류나 OS(운영체제)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것이 큰장점

가장 큰 단점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익스플로러에서만 쓸 수 있다는 점이다. 인터넷익스플로러가 PC용 웹브라우저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2000년대부터 모질라의 파이어폭스,

구글의 크롬과 같은 타사의 웹브라우저가 점유율을 크게 끌어올렸으며, 2011년에 들어서는 전세계 PC용 웹브라우저 시장에서 인터넷익스플로러의 점유율이 60% 이하로 떨어졌다. 더욱이, 윈도 기반의 PC가 아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컴퓨터에서는 액티브엑스를 전혀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접근성 면에서 명백한 한계가 존재한다.

Active X 란?

  • MS가 윈도 사용자들이 기존 응용 프로그램으로 작성한 문서 등을 인터넷과 연결시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기술.

  • 인터넷 뱅킹을 하려면 금융거래 및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한 PC에서만 가능한데 액티브X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유포하는 수단.

MS의 웹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IE)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해 서비스를

이용하려 할 때 '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이것이

대부분 액티브X다. 국내 인터넷 사이트의 대다수가 IE의 액티브X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파이어폭스 등 다른 웹 브라우저로는 정상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HTML5 제한사항

Active X 문제점 2

  • 결론

HTML5를 지원하는 버전은 위와 같음

이하 버전에서 일부를 지원하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는 아니다.

  • 현재 국내 사용자 10명 중 7명은 HTML5를 지원하지 않는

구형 웹브라우저 사용중

  • HTML5의 사용이 활발해지기 위해선 사용자의 웹브라우저 업그레이드 필요.

액티브X는 사용자가 한번 설치에 동의하면 이후 재동의 없이도 실행되는 특성이 있어 공격자들이 나중에도 언제든지 새로운 악성코드를 배포할 수 있다.

이런 수법은 우리나라 인터넷 사용자 대부분이 액티브X 설치창이 뜨면 무심코 설치에 동의하는 습관이 있는 점을 노린 것

이렇게 감염된 PC는 온라인게임 계정 탈취 등을 목적으로 한 악성코드 등에 추가 감염될 가능성이 크다.

사용이 불편하고 보안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 액티브X에 사용에 대해 아직도

찬반 의견이 많은 현실이다.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OS 사용률의 98%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를

사용하는 우리나라에서 액티브X와 공인인증서를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은

없는 상황이다.

액티브X와 공인인증서가 폐지 되어야 하는것은 맞다. 하지만 현재까지 안정성 면에서

이를 따라갈만한 수단은 없다.

정부에서 액티브X 퇴출을 발표하고 대체기술을 도입했지만 이는 기존보다 더

위험하고 그저 보안을 핑계로한 회피기술밖에 되지 않는다.

거기에 금융권에서 공인인증서를 대체할만한 인증수단 마련이 쉽지않은것도 문제다.

액티브X든 대체기술이든 공인인증서든 언제 사라질지 모른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기존기술의 단점만을 부각시켜서 아예 뒤엎어버리는 것 보다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고 안정성까지 보장되는 대체기술이 나올때 까지는 기존의 기술을 유지해야 한다고 본다.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