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IoT 디바이스 및 표준 플랫폼
필요성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활성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의 (Mash -up) 재창출 확보
- 센서, 디바이스, 네트워크를 지원 하면서 수많은 디바이스들의 소프트웨어를 관리 기존 레거시 시스템과의 통합을 지원하기 위함
기술 ,시장 동향
기술 동향
시장 동향
국내
IBM
전자부품연구원
건물/에너지 통합 관제 및 제어기술
2020년 500억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전망하고 있다.
오픈 웹기반 기술들을 중심으로 정의한 WoT(Web of Things)
개방형 IoT 표준 플랫폼 기술개요 및 필요성
국외
패치베이
마켓츠앤마켓츠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인
실시간 개방형 IoT 플랫폼 서비스 Pachube
에게까지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기술 개발 개요
모든 사물
기술의 핵심이
M2M 디바이스의 수동적인 개념의 서비스 형태의 한계점을 극복한
스스로 정보를 생성하고 공유하여 상상하기 힘들 정도의 인간 생활의 변화를 가져올 것
개방형 IoT 플랫폼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에게까지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통해 전세계의 데이터를 실시간 관리
IoT 시장 크기는
2013년 394억 달러에서 2017년 2900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등록한 User에게 수집한 정보 공유 및 협업할 수 있는 환경 제공
개방형 IoT 디바이스
Arduino, Nanode
감 사 합 니 다.
WOT (Web of Things)
네트워크란?
시장조사기관인 SA(Strategy Analytics] 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
WOT 네트워크 구조
ISO9798 3단계 상호인증
WoT환경은 CoAP을 지원하는센서,
CoAP을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디바이스,
모바일 게이트웨이,
인터넷환경의 서버,
클라이언트 등으로 구성
DoS 공격 대응 방안
보 안
재전송 공격 을 막을수 있다
(Replay Attack)
상호 인증 방안은 센서와 모바일 프록시 어느쪽이든 먼저 인증 요청을 할 수 있다
요청메시지는 암호화 되지 않고 전송되며 인증 요청 메시지와 난수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누구나 생성 할 수 있어서, 만약 여러명의 공격자가 센서에 인증요청을 할 경우 센서는 요청받은 횟수에 해당하는 만큼 난수 생성과 암호화를 수행해야 한다.
센서가 감당할 수 있는 정도를 넘어선 수준의 인증요청을 DoS를 발생시킨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DoS 공격에 대응 할 수 있다.
스푸핑 공격 을 막을 수 있다
(Spoofing Attack)
선택 평문/암호문 공격 에 안전하다
(Chosen Plaintext/Ciphertext Attack)
2020년 500억 개 이상
2015년 6억개
I O T
웹 표준화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간 지능화 통신을
실체화
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
의 시대,
모든 사물이 통하다
공 간
M2M
인 간
IoT 디바이스 및 표준 플랫폼의 대표적 수요 분야
M2M(Machine to Machine)
IoT와 마찬가지로 '기계간 통신'을 의미
자동차
차량제어, 텔레매틱스
M2M/IoT통신은 기존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술의 확장
스마트 그리드
원격 검침
서비스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은 어느 곳에나 부착된 태그와 센서노드로부터 사물 및 환경 정보를 감지/저장/가공/통합하고 상황인식 정보 및 지식 콘텐츠 생성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 누구나 원하는 맞춤형 지식 서비스를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첨단 지능형사회의 기반 인프라
결제 솔루션, 택배서비스
물류/유통/금융
보안/관제
무선 보안 시스템
개방형 IOT 플랫폼
확보의 목적
U- 헬스관련 산업
의료
사 물
IoT(Internet of Things)의 기본 개념
자동 판매기,복사기
자산 관리
M2M에 지능과 서비스를 더하다
인간과 사물, 서비스 세 가지 분산된 환경 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
워킹, 정보 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
,
네트워크로
요점은 '사람의 개입이 없는 기계간의 통신'이다.
상호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소통
할 수 있도록 하는 미래 인터넷 기술을 완성하는 것에 있음.
서로
IOT 플랫폼 동향
IoT를 위한 SW 플랫폼으로 가장 유력한 후보
리눅스
오랜 시간 임베디드 분야서 많이 활용돼온 리눅스는 안드로이드, 타이젠과 함께 그 잠재력의 깊이를 가늠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커지고 있음.
개방형 IOT 플랫폼은 개인화 및 휴먼센트릭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와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 가능 .
오픈소스란 특징과 함께 라즈베리파이, 아두이노 같은 오픈하드웨어에 채택되며 다양한 가능성을 내보이고 있음.
그 외
자바 Micro Edition
개방형 IOT 플랫폼 기술 동향 및
안전한 WOT 응용을 위한 개체인증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