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맞춤법
사고와 표현
되???
복잡한 것 같지만 조금만
신경 쓰면 바르게 쓸 수 있습니다.
돼???
'되-' + '-ㅂ니다' 됩니다
'되-' + '-어요' 되어요 → 돼요
'되-' + '-었어요' 되었어요 → 됐어요
'되-'의 활용
언제 '않-'을 쓰지?
언제 '안'을 쓰고
뒤에 동사나 형용사가
잇따라 나올 경우 '안'을
쓰면 된다.
답은 이미 여러분의 머릿속에 있어요.
한국어의 동사와 형용사의 어간은 단독으로 쓰이는 일이 없다.
항상 어미와 함께 실현된다.
어미
- 동사, 형용사의 어간
이나 서술격조사
(이) 뒤에 결합하는
요소.
다음에서 어미를 찾아보자.
1. 먹다
2. 먹겠소
3. 먹었군
4. 먹어요
5. 먹냐
6. 먹었고
7. 먹어서
8. 먹은
9. 먹게
10. 먹음
동사, 형용사는 결합하는 어미에
의해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모른다 / 모릅니다 / 모르니 / 몰라요 /
모르는데 / 몰라서 / 모를 / 모름 등
어미의 종류
- 선어말어미
- 어말어미 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
'
안
'
- 품사는 부사이다.
- 부사 '아니'의 준말이다.
부사
: 주로 용언 앞에 쓰여
용언의 뜻을 분명하게
해 주는 품사.
부사의 예
: 아주, 매우, 열심히, 잘,
못, 진짜, 과연, 그리고,
야옹야옹, 헉 등
'
않
-'
- 품사는
동사 (그녀는 충격이 컸는지 말을
않는다
.)
보조동사 (죽
지 않아
.)
보조형용사 (무섭
지 않아요
.)
연결어미 '-지' 뒤에 올 때,
여러 어미와 결합할 때는
'않-'을 쓰면 된다.
꼼수
'되-'와 '돼'의 구분이 어려울 때
'하-'와 '해'로 대치해 보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Present Remotely
Send the link below via email or IM
Present to your audience
- Invited audience members will follow you as you navigate and present
- People invited to a presentation do not need a Prezi account
- This link expires 10 minutes after you close the presentation
- A maximum of 30 users can follow your presentation
- Learn more about this feature in our knowledge base article
한글맞춤법1 - '되-'와 '돼' / '안'과 '않-'
No description